KR200470403Y1 -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03Y1
KR200470403Y1 KR2020130005004U KR20130005004U KR200470403Y1 KR 200470403 Y1 KR200470403 Y1 KR 200470403Y1 KR 2020130005004 U KR2020130005004 U KR 2020130005004U KR 20130005004 U KR20130005004 U KR 20130005004U KR 200470403 Y1 KR200470403 Y1 KR 200470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ver body
cover
elbow pip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준
Original Assignee
(주)성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성우이앤씨
Priority to KR2020130005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양측이 결합되어 배관 및 단열재를 감싸는 제1커버본체 및 제2커버본체와;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의 양단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제1개구가 형성되도록 만곡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만곡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플랜지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 수용되고, 상기 제1플랜지의 원호길이의 최소 1/2 이상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ELBOW PIPE PROTECTING COVER}
본 고안은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결합구조를 개선한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기체, 액체, 분체 또는 입체물체를 수송하는 배관설비에는 배관 경로의 구부림, 확대, 축소, 합류 등을 위해 그 분기지점에 엘보우가 연결 설치된다. 통상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덕트 파이프와 단열재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감싸 덧 씌워 시공된다.
종래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커버본체가 양측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한 쌍의 커버본체의 결합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제1커버본체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13)가 형성되고, 제2커버본체는 연장바(13)를 수용하는 수용고리(11)가 형성된다. 연장바(13)의 단부(13a)는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수용고리(11)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연장바(13)와 수용고리(11)의 결합력이 충분치 못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커버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 유체흐름의 개폐에 따른 워터햄머 및 펌프 등 동력장치의 구동에 의한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 제20-0377007호 "배관용 엘보우 덕트커버 연결구조"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면서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서로 양측이 결합되어 배관 및 단열재를 감싸는 제1커버본체 및 제2커버본체와;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의 양단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제1개구가 형성되도록 만곡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만곡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플랜지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 수용되고, 상기 제1플랜지의 원호길이의 최소 1/2 이상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의 원호길이와 동일한 원호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는 선단에 타영역에 비해 외경이 작게 형성된 삽입관과, 후단에 타영역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된 수용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과 상기 수용관의 판면에는 각각 반경방향 외측으로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의 단부영역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1커버본체의 연결영역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는 복수개의 절편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곡면을 형성하게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제1커버본체와 제2커버본체에 각각 형성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서로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력이 충분히 전달되어 제1커버본체와 제2커버본체의 결합시 구속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각각 서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돌기수용부가 형성되어 결합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플랜지가 원형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플랜지의 개구 내부로 제2플랜지가 체적이 가변되며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시공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결합영역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결합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결합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들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는 서로 결합되어 배관(미도시)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본체(110,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커버본체(110)와 제2커버본체(120)는 서로 결합되어 원을 형성하도록 각각 반원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커버본체(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삽입관(112)과 수용관(113)이 형성된다. 삽입관(112)은 이웃하는 배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타영역에 비해 외경이 작게 형성되고, 수용관(113)은 이웃하는 배관(미도시)의 삽입관(112)이 수용되도록 타영역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관(112)과 수용관(113)의 외벽면에는 각각 반원형 지지돌기(112a,113a)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112a,113a)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beading) 이웃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간의 결속력을 견고하게 한다.
이에 따라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 내부에 기 시공된 보온대 및 보냉재가 외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커버본체(110)의 양측에는 제2커버본체(120)와 결합되는 제1플랜지(115)가 연장형성된다. 제2커버본체(120)는 제1커버본체(110)와 결합되어 배관(미도시)을 커버한다. 제2커버본체(120)의 양측에는 제2플랜지(125)가 연장형성된다.
제1플랜지(115)와 제2플랜지(125)는 서로 결합되어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플랜지(115)는 단면이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115)는 제1커버본체(110)의 단부에서 제2커버본체(120)의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플랜지(115)의 내부에는 제2플랜지(125)가 수용되므로 제1플랜지(115)는 제2플랜지(125)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플랜지(115)는 제1개구(115')가 형성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개구(115')를 통해 제2플랜지(125)가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제2플랜지(125)는 제1플랜지(1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플랜지(115) 내부에 탄성적으로 삽입 수용된다. 여기서, 제2플랜지(125)는 제1플랜지(115)의 원주의 길이에 대해 최소 1/2 이상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플랜지(125)의 원호의 길이가 제1플랜지(115)의 원호의 길이에 대해 최소 1/2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제1플랜지(115) 내부에 제2플랜지(125)가 감싸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115)의 단면형상과 제2플랜지(125)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즉 제1플랜지(115)의 원호의 길이와 제2플랜지(125)의 원호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2플랜지(125)가 제1플랜지(115)의 내부를 완전히 접촉지지하게 되므로 결합력이 향상되게 된다.
더욱이, 제1플랜지(115)와 제2플랜지(125)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개구(115')와 제2개구(125')에 비해 내부의 직경이 더욱 넓게 되므로 한번 결합이 이루어지면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플랜지(115)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수용부(116)가 형성되고, 제2플랜지(152)는 외주면으로 돌출형성되어 돌기수용부(116)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26)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플랜지(115)와 제2플랜지(125)가 결합될 때 삽입돌기(126)가 돌기수용부(116) 내에 물리적으로 걸림결합되므로 제1커버본체(111)와 제2커버본체(121)의 결합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돌기(126)의 돌출높이는 제2플랜지(125)의 직경에 대해 1/20 ~1/10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돌기(126)는 단면형상이 반원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돌기(126)의 형성위치는 제2플랜지(125)의 자유단 측에 위치되는 것이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플랜지(115)의 단부에 연장단(117)이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제2플랜지(125)의 연결영역을 감싸게 되므로 결합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115a)와 제2플랜지(125a)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115)와 제2플랜지(125)는 단면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타원형의 장축의 방향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플랜지(115a)의 전체 원호의 길이의 1/2 이상을 제2플랜지(125a)가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에 삽입돌기(126a,126b)는 제2플랜지(125)의 자유단 측과 내측 방향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커버본체(111)와 제2커버본체(121)의 결합 구속력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도 5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115b)와 제2플랜지(125b)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115)와 제2플랜지(125)는 각각 제1커버본체(110)와 제2커버본체(120)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었다. 즉, 제1플랜지(115)는 제2커버본체(120)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제2플랜지(125)는 제1커버본체(110)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되었다.
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플랜지(125b)는 제2커버본체(120)의 단부에서 제2커버본체(120)의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제2플랜지(125b)가 원호형상으로 제1플랜지(115a) 전체 면적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므로 결합력이 전영역에 전달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삽입돌기(126c)는 제2플랜지(125b)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제1커버본체와 제2커버본체에 각각 형성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서로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력이 충분히 전달되어 제1커버본체와 제2커버본체의 결합시 구속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돌기수용부와 삽입돌기가 물리적으로 걸림결합되어 제1커버본체와 제2커버본체의 결합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플랜지가 원형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플랜지의 개구 내부로 제2플랜지가 체적이 가변되며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시공이 간편해질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는 제1커버본체(110)와 제2커버본체(120)가 각각 단일 부재로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제1커버본체(110)와 제2커버본체(120)는 사출금형에 사출수지를 공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반면, 내구성을 요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00a)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의 경우 재질의 특성상 곡면 성형이 쉽지 않으므로 제1커버본체는 복수개의 절편(111a,111b)가 서로 스포팅용접(111c) 되어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는 제2커버본체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연결되는 절편의 개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5개로 형성되거나, 3개에서 9개, 나아가 N개까지 가능하다. 절편의 개수가 많은 경우 곡면이 보다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제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110 : 제1커버본체
111 : 삽입부 113 : 수용부
115 : 제1플랜지 116 : 돌기수용부
120 : 제2커버본체 125 : 제2플랜지
126 : 삽입돌기

Claims (9)

  1. 서로 양측이 결합되어 배관 및 단열재를 감싸는 제1커버본체 및 제2커버본체와;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의 양단에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제1개구가 형성되도록 고리 형태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플랜지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 수용되고, 상기 제1플랜지의 원호길이의 최소 1/2 이상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의 원호길이와 동일한 원호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커버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커버본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는 선단에 타영역에 비해 외경이 작게 형성된 삽입관과, 후단에 타영역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된 수용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과 상기 수용관의 판면에는 각각 반경방향 외측으로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의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2커버본체의 연결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본체와 상기 제2커버본체는 복수개의 절편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곡면을 형성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2020130005004U 2013-06-21 2013-06-21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200470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04U KR200470403Y1 (ko) 2013-06-21 2013-06-21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04U KR200470403Y1 (ko) 2013-06-21 2013-06-21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03Y1 true KR200470403Y1 (ko) 2013-12-12

Family

ID=5077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004U KR200470403Y1 (ko) 2013-06-21 2013-06-21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17B1 (ko) * 2018-09-04 2019-09-03 배강희 엘보 배관 보온용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20Y1 (ko) * 2001-07-07 2001-11-17 신용운 배선보호용 커버
KR101017701B1 (ko) * 2009-08-18 2011-02-25 최성호 배관용 엘보우 커버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20Y1 (ko) * 2001-07-07 2001-11-17 신용운 배선보호용 커버
KR101017701B1 (ko) * 2009-08-18 2011-02-25 최성호 배관용 엘보우 커버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17B1 (ko) * 2018-09-04 2019-09-03 배강희 엘보 배관 보온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99432A5 (ko)
RU2012101706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470403Y1 (ko)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200470402Y1 (ko)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MY186173A (en) T-piece preformer
JP6121107B2 (ja) 脚部継手
KR20140065793A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JP2016211745A (ja) 保護カバー
WO2016089290A1 (en) Fire stop
KR100999519B1 (ko) 배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JP2007333072A (ja) 流体管の移動防止手段
JP3195644U (ja) 管継手の保護カバー
RU189405U1 (ru) Угловой патрубок воздушного фильтра
JP6630925B2 (ja) 配管用継手
JP3185705U (ja) 管継手
KR101202596B1 (ko) 주름관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JP2012139001A (ja) 保護管固定構造
RU2011142231A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ее колено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их сред
KR20120057139A (ko)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KR102641813B1 (ko) 배관용 케이싱 구조체
KR102582081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JP3195760U (ja) 二重管
JP2015098682A (ja) 鋼管矢板連結構造
US10816127B2 (en) Anti-kink device for a hose
KR20140003942U (ko) 파이프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