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51Y1 -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51Y1
KR200470251Y1 KR2020120000244U KR20120000244U KR200470251Y1 KR 200470251 Y1 KR200470251 Y1 KR 200470251Y1 KR 2020120000244 U KR2020120000244 U KR 2020120000244U KR 20120000244 U KR20120000244 U KR 20120000244U KR 200470251 Y1 KR200470251 Y1 KR 200470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kennel
vertical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460U (ko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이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근 filed Critical 이종근
Priority to KR2020120000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5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01K1/034Dog-ke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견이 거주하는 개집을 커버와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수직 지지부, 연결핀 및 방석으로 구성하여 애완견을 데리고 이동할 경우 개집을 분리하여 부피가 작게 형성하므로 휴대가 간편해지는 분리형 개집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져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조각 간을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면 일부가 호 형상으로 개구되는 아치형상의 구조물인 커버와, 상기 커버의 타측면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 바닥에 깔리는 방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DOGHOUSE FOR SEPARATING TYP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본 고안은 분리형 개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견이 거주할 수 있는 개집을 부피가 작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개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가정에서 개를 기르고 있으며, 도시에서는 핵가족화 되면서 실내에서 애완견을 기르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개집은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한옥 구조를 갖도록 성형하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단순하여 주변의 시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애완견이나 개는 별도의 보금자리인 개집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개집의 종류로는 애완견의 종류 또는 체형이나 개의 종류에 따라서 텐트형 개집, 철장형 개집, 울타리형 개집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개집은 보온이 쉽지 않으며, 이동시 최소한의 부피로 줄여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7790호(등록일자 2004년07월22일)가 있다.
본 고안은 애완견이 거주하는 개집을 커버와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수직 지지부, 연결핀 및 방석으로 구성하여 애완견을 데리고 이동할 경우 개집을 분리하여 부피가 작게 형성하므로 휴대가 간편해지는 분리형 개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리형 개집은,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져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조각 간을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면 일부가 호 형상으로 개구되는 아치형상의 구조물인 커버와, 상기 커버의 타측면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 바닥에 깔리는 방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에는 길이방향 중간과 타측면 중간에 지퍼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가 상기 커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타측단의 아치형 굴곡과 하측면 모서리에 지퍼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가 상기 커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은 상기 지지부의 각 조각 간이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집게 또는 클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리형 개집 조립방법은,측면상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일측이 정면상 호 형상으로 개방되는 커버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지지부를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내부로 삽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커버의 타측면에 형성된 수직 삽입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수직 지지부를 삽입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 바닥에 방석을 까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상기 지지부가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져 결합핀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애완견이 지낼 수 있는 개집을 휴대할 수 있도록 커버와 지지부, 수직지지부 및 방석으로 구성하여 분리 및 조립하므로, 애완견을 데리고 이동할 때 개집의 부피를 작게 하여 휴대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개집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와 연결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타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와 지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개집 조립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개집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조각의 지지부(10)와, 지지부(10)의 조각간을 연결하는 연결핀(40)과, 지지부(10)가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20)와, 커버(20)에 수집으로 삽입되는 수직 지지대와, 커버(20)의 내측에 삽입되는 방석(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는 측면상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체형 또는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부(1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인 스펀지 또는 발포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애완견과 함께 개집을 휴대하게 되는데 개집의 무게가 가벼워야 휴대할 수 있기 때문이며, 변형이 가능해야 부피를 축소 시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지지부(10)는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부(10)의 각 조각이 연결핀(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40)은 지지부(10)의 각 조각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집게 형태 또는 클립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0)의 각 조각을 맞대고, 상기 조각 간을 고정시키도록 클립 또는 집게 형태의 연결핀(40)을 각 조각이 동시에 물리도록 연결핀(40)으로 지지부(10)의 각 조각 간을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부(10)는 동일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상기 지지부(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커버(20)는 일측이 호 형상으로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에서 내부측으로 애완견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지지부(1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1)와 수직으로 삽입되어 커버(2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10)가 삽입되는 수직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20)는 지지부(10)와 수직 지지부(10)가 삽입되어 내부에서 커버(20)를 지탱하게 되면 애완견용 집이 조립완료된다. 이렇게 조립완료된 애완견의 집 내부 바다에 방석(미도시)을 깔게 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10)는 커버(20)의 수직 삽입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상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1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인 스펀지 또는 발포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애완견과 함께 개집을 휴대하게 되는데 개집의 무게가 가벼워야 휴대할 수 있기 때문이며, 변형이 가능해야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에는 지지대와 수직 지지대가 삽입부(21)와 수직 삽입부(미도시)로 삽입되어 커버(20)와 분리되지 않도록 커버(20)의 길이방향 중간 외주와 타측면 중앙에 지퍼(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퍼(50)는 커버(20)의 타측 하단 모서리와 아치형 형상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커버(20)의 타측 모서리에 지퍼(50)가 형성되는 이유는 지퍼(50)가 가능한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고안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상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애완견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20)의 내부 공간과 외표 간에 삽입부(21)가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부(21)에 다수의 조각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10)가 삽입되어 커버(20)를 지지하여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이때 상기 지지부(10)는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져 연결핀(40)을 통해 하나로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지지부(10)가 커버(20)의 삽입부(21)에 삽입된다.
상기 커버(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수직 삽입부(미도시)에는 평면상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10)가 삽입되어 커버(2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대와 수직 지지대가 삽입된 커버(20)는 애완견이 들어갈 수 있는 개집으로서 완성이 된다. 이렇게 완성된 개집의 내부 공간 바닥에는 방석(미도시)을 깔아 애완견이 편히 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집은 커버(20)와 지지부(10)가 분리되므로 애완견의 주인이 애완견을 데리고 이동할 경우 개집을 분리하여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할 수 있어 개집을 가지고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개집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삽입부(21)와 수직 삽입부(미도시), 애완견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20)와, 다수 조각 또는 하나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 및 수직 지지부(10)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와, 지지부(10)를 커버(20)의 삽입부(21)에 삽입하는 제2 단계(S20), 수직 지지부(10)를 커버(20)의 수직 삽입부(미도시)에 삽입하는 제3 단계(S30)와, 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방석(미도시)을 까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0)는 지지부(10)가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수직 삽입부(미도시)가 삽입되는 수직 삽입부(미도시) 및 애완견이 들어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커버(20)와, 커버(20)의 삽입부(21)에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져 연결핀(40)을 통해 조립되는 지지부(10)와, 커버(20)의 수직 삽입부(미도시)에 삽입되는 수직 지지부(10) 및 방석(미도시)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제1 단계(S10)에서 지지부(10)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동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다수 조각으로 지지부(10)가 이루어질 때 지지부(10)는 아치 형상을 이루어 커버(20)를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각만 연결핀(40)을 통해 결합되어 커버(20)의 십입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단계(S10)를 통해 개집의 각 부품이 준비되면, 제2 단계(S20)를 통해 지지부(10)를 커버(20)의 삽입부(21)에 삽입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커버(20)의 삽입부(21)에 삽입될 때 커버(20)가 아치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소정 높이의 타원형을 갖는 단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체를 커버(20)의 일측까지 삽입하게 된다.
제3 단계(S30)는 지지부(10)가 삽입된 커버(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직 삽입부(미도시)에 수직 지지부(10)가 삽입되어 커버(2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3 단계(S30)에서는 커버(20)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완성된 개집이 무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를 통해 개집이 완성되면, 제4 단계(S40)를 통해 개집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 바닥에 방석(미도시)을 깔아 애완견이 편히 지낼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조립된 개집을 이동을 위해 분리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되어 완성 상태인 개집에서 방석(미도시)을 제거한뒤 커버(2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10)를 수직 삽입부(미도시)에서 빼내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삽입부(21)에서 지지부(10)를 빼내 제거한다.
그러면 커버(20)는 지지체가 없기 때문에 자유로이 유동되는 천 형태가 된다.
이렇게 커버(20)내에서 지지부(10)와 수직 지지부(10)를 제거하고, 커버(20)에서 제거된 지지부(10)의 부피가 축소되도록 접거나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의 경우 결합핀을 제거하여 다시 다수 조각으로 분리한다.
그런뒤, 접거나 분리되어 다수조각으로 구성된 지지부(10)와 커버(20), 수직 지지부(10) 및 방석(미도시)을 이동용 가방에 넣어 포장하면 개집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애완견이 지낼 수 있는 개집을 휴대할 수 있도록 커버와 지지부, 수직지지부 및 방석으로 구성하여 분리 및 조립하므로, 애완견을 데리고 이동할 때 개집의 부피를 작게 하여 휴대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분진 발생 방지용 스트리퍼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지지부 20 : 커버
21 : 삽입부 30 : 수직 지지부
40 : 연결핀 50 : 지퍼

Claims (6)

  1. 휴대가 가능하도록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 조각으로 이루어져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조각 간을 연결하는 연결핀;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면 일부가 호 형상으로 개구되는 아치형상의 구조물인 커버;
    상기 커버의 타측면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면을 지지하며, 휴대가 가능하도록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직 지지부; 및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 바닥에 깔리는 방석;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길이방향 중간과 타측면 중간에 지퍼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가 상기 커버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는 타측단의 아치형 굴곡과 하측면 모서리에 지퍼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가 상기 커버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지지부의 각 조각 간이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집게 또는 클립 형태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개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20000244U 2012-01-10 2012-01-10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KR200470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44U KR200470251Y1 (ko) 2012-01-10 2012-01-10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44U KR200470251Y1 (ko) 2012-01-10 2012-01-10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60U KR20130004460U (ko) 2013-07-18
KR200470251Y1 true KR200470251Y1 (ko) 2013-12-06

Family

ID=5075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44U KR200470251Y1 (ko) 2012-01-10 2012-01-10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22U (ko) 2015-07-21 2017-02-02 노규상 조립형 애완동물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192Y1 (ko) * 1987-10-10 1990-04-17 차판열 절첩식 애완동물집
JP2003018931A (ja) * 2001-07-10 2003-01-21 Yamahisa:Kk 愛玩動物の寝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192Y1 (ko) * 1987-10-10 1990-04-17 차판열 절첩식 애완동물집
JP2003018931A (ja) * 2001-07-10 2003-01-21 Yamahisa:Kk 愛玩動物の寝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22U (ko) 2015-07-21 2017-02-02 노규상 조립형 애완동물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60U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519B2 (en) Portable sleeping assembly
KR200470251Y1 (ko) 분리형 개집과 이의 조립방법
CN201800999U (zh) 折叠式收纳箱及其间隔框
KR101368652B1 (ko) 접이식 캐리어 가방
USD653883S1 (en) Aircraft seating configuration
US8011401B1 (en) Toilet bowl protecting method and assembly
KR20170000422U (ko) 조립형 애완동물 하우스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CN203120742U (zh) 一种具有内部格栅支架的卵寄生性天敌昆虫繁殖盒
US10226026B2 (en) Raised slung pet bed assembly
KR200460790Y1 (ko) 고양이 집
CN201905115U (zh) 一条拉链式宠物窝
CN204055530U (zh) 一种活动房车
KR200474034Y1 (ko) 애완동물용 조립식 집
CN207928081U (zh) 挂篮以及具有挂篮的组合柜
CN201577384U (zh) 宠物袋
CN201107960Y (zh) 宠物房固定结构
CN204273842U (zh) 一种网布椅背的底部连接结构
KR200484543Y1 (ko) 헤드의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침대
KR20170000995U (ko) 애완견용 하우스 조립체
KR20180036943A (ko) 매트블록 조립형 범퍼 매트
KR200461578Y1 (ko)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20180002725U (ko) 펫하우스
JP2018007585A (ja) ペット用サークル
CN205321887U (zh) 一种便携式婴幼儿折叠蚊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