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637Y1 -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 Google Patents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637Y1
KR200469637Y1 KR2020130001995U KR20130001995U KR200469637Y1 KR 200469637 Y1 KR200469637 Y1 KR 200469637Y1 KR 2020130001995 U KR2020130001995 U KR 2020130001995U KR 20130001995 U KR20130001995 U KR 20130001995U KR 200469637 Y1 KR200469637 Y1 KR 200469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filler
body portion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팬트랙
삼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팬트랙, 삼표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1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6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66Mould-pipes or othe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precast slab track) 시공 과정 중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패널의 측면을 막는데 사용되는 전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측면 거푸집은 상기 패널과 상기 기초층 사이의 공간이 모두 주입된 충전재로 충전된 후 충전재가 상기 거푸집의 소정 부분을 통해 위쪽으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하는 거푸집 면의 상기 소정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측면 거푸집은 충전재의 주입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SIDE FORM FOR USE IN SLAB TRACK CONSTRUCTION}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precast slab track) 시공 과정 중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패널의 측면을 막는데 사용되는 전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에 따른 수송량의 증가와 녹색성장의 대안으로 철도산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그 중 철도의 궤도에 있어서, 종래에는 레일, 침목, 도상 밸러스트(track bed ballast)로 구성된 자갈도상 궤도가 설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자갈도상 궤도의 여러 단점을 보완 내지는 해결할 수 있는 슬래브 궤도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갈도상 궤도는 열차의 운행 시 레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열차의 하중으로 인해 자갈이 깨지고 마모되는 등 파손되거나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초기 설치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할지라도 유지보수를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열차 운행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자갈도상 궤도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 타설 콘크리트상 궤도가 개발되어 터널구간 등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궤도는 자갈도상 궤도에 비해 초기 비용이 많이 들지만, 궤도의 강성이 높아서 열차의 하중으로 인한 파손이나 변형 발생이 적어 유지보수를 위한 노력을 절감시킨다. 그러나 현장 타설 콘크리트상 궤도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에 의해 설치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공사 기간이 오랜 걸린다는 등의 문제점이 인식되고 있다. 또한, 궤도 구조물이 파손될 경우 현장 타설 콘크리트도상 궤도는 열차 운행을 중단한 후 궤도 구조물 철거, 재시공, 콘크리트 양생 등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공정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가 개발되었고 점점 기술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는 공장에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미리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전에 조성된 노반과 콘크리트 기초층 위에 올려놓고 조립함으로써 시공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도상 궤도와는 달리 규격화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공장에서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생산할 수 있으므로, 패널의 품질이 뛰어나고 현장에서의 거푸집 제작 및 설치, 콘크리트 타설, 양생 등의 복잡하고 시간을 요하는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는 규격화된 패널의 교체로 짧은 시간에 재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생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파손 시 신속하게 열차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의 불편을 줄일 수 있고 보수비용과 영업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요컨대,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은 공장 제작 후 현장에서 기계화 시공을 함으로써 제품의 고품질, 시공속도 향상, 환경친화성,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궤도 부설 공법이다.
최근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의 전체적인 공정은 패널 제작 단계, 패널 운송 단계, 패널 설치 단계, 궤도 검침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 단계 중 패널 설치 단계에서는 패널을 현장의 콘크리트 기층에 올려놓은 후 패널의 정확한 위치와 높이를 맞추는 패널 정정을 수행한 후,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 후자의 공정은 패널에 형성된 전단포켓을 통해 하부 기초층을 천공한 후 전단앵커를 설치하고, 패널의 측면을 거푸집으로 막은 후 패널과 기초층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고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충전재의 주입 충전 시 충전재가 패널과 기초층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전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워서, 충전재가 상기 공간을 다 채운 후 전단포켓을 넘쳐흐를 때까지 주입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충전재의 주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측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측면 거푸집 하단으로 충전재가 새어 나오지 않는 측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전용 측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패널의 측면을 막는데 사용되는 전용 거푸집인 측면 거푸집을 제공한다. 상기 거푸집은, 세장형 직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로 방향인 상측 단부와 세로 방향인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타면 측으로 일정 너비로 연장되는 상측, 좌측 및 우측 보강부; 및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보강부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면이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된 후 충전재 주입 시 상기 몸체부의 세로 방향으로 충전재가 상향 누출될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하는 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 거푸집은 철판으로 형성되고 표면이 방청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보강부와 평행한 제1 부분 및 상기 몸체부와 평행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세로 방향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세로 방향 일 단부는 상기 몸체 일면의 가로 방향 연장선 상에 있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연장선보다 상기 몸체부의 타면 측으로 후퇴하여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 거푸집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져 상기 상측 보강부와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부착된 하측 보강부와, 상기 상측 보강부와 상기 하측 보강부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된 복수의 보조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 단부와 상기 하측 보강부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게 배치된 각재(角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거푸집은, 충전재가 거푸집의 하면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거푸집의 가로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각재의 하면에 스폰지가 부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폰지는 타카(tacker) 또는 스탬플러에 의해 상기 목재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위치가 정정된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패널의 측면을 막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상기 패널과 상기 기초층 사이의 공간이 모두 주입된 충전재로 충전된 후 충전재가 상기 거푸집의 소정 부분을 통해 위쪽으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상기 측면 거푸집은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하는 거푸집 면의 상기 소정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로 방향 홈은 상기 측면 거푸집의 좌단 또는 우단에 형성된다. 상기 홈은 측면 거푸집의 본체와 별도로, 소정 크기로 절단된 철판 조각을 본체에 용접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측면 거푸집은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충전재가 완전히 주입되었는지를 측면 거푸집에 구비된 점검부의 틈을 통해 흘러나오는 충전재를 확인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측면 거푸집의 하단에 부착되어 충전재가 거푸집의 하단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펀지는 거푸집의 각재에 타커 고정되므로, 거푸집의 재사용 시 매우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강재 측면 거푸집은 내수성이 높고 변형이나 표면 손상이 적어 반복 사용이 가능하여, 시공 시 소요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 거푸집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측면 거푸집의 하단에 스폰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충전재 주입을 위해 측면 거푸집이 패널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태, 특징 및 이점은 대표적인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포함하고, 그 설명은 수반하는 도면들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PSTS)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 시공하는 궤도 시스템으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706786호에 의해 소개되고 점점 발전을 거듭해가고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에 삽입된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은 기초층(100)과, 상기 기초층(100) 위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200)과, 상기 기초층(100)과 상기 패널(200) 간에 충전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충전재(300)와, 상기 패널(200)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된 다수의 체결구에 체결되는 레일(400)과, 상기 레일(400)를 상기 체결구에 고정시키는 체결장치(5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예컨대, 공장에서 제작된 패널을 시공 현장으로 운송하는 패널 운송 단계와, 패널이 설치될 위치를 확인하고 패널을 설치하는 패널 설치 단계와, 측량 장비를 사용하여 패널의 위치를 확인하고 패널의 방향과 고저를 조절하는 패널 정정 단계와, 기초층과 패널의 결합을 위해 이들 사이의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 단계와, 충전재의 경화 후 패널에 고정된 레일 체결구에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 단계와, 궤도 검침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측면 거푸집은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의 시공 방법 중 충전재 주입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용 거푸집이다.
도 2와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푸집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5는 측면 거푸집의 하단에 스폰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거푸집(1)은 몸체부(10)와, 상측 보강부(20)와, 좌측 보강부(30)와, 우측 보강부(40)와, 하측 보강부(50)와, 보조 보강부(60)와, 각재(70)와, 점검부(80)로 이루어진다. 나무인 각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금속판, 바람직하게는 약 3 mm 두께의 철판으로 제작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일면이 슬래브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게 접촉하여 실질적으로 충전재의 유동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10)는 예컨대 ±1 mm의 평탄도와 약 3 mm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로 방향 길이가 약 1-3 m이고 높이가 약 10-20 cm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거푸집(1)의 전체적인 크기를 결정하는 몸체부(10)의 크기(길이 및 높이)는 거푸집의 취급 용이성, 슬래브 패널의 두께, 슬래브 패널과 기초층 간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거푸집이 패널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의 높이가 패널의 높이가 낮게 위치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보강부(20), 좌측 보강부(30), 우측 보강부(40), 하측 보강부 및 보조 보강부(60)는 모두 상기 몸체부(10) 및/또는 이들 상호 간에 서로 결합되어 몸체부(10)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거푸집을 보강하면서 몸체부(10)와 함께 거푸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구성하고 거푸집에 강성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상기 상측 보강부(20)는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예컨대 약 50 mm 정도 후방(즉, 몸체부가 패널과 접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측 보강부(20)는 몸체부(10)와 별개의 철판 스트립이 몸체부(10)에 용접될 수 있지만, 하나의 소정 크기의 철판을 약 90도로 구부려서, 몸체부(10)와 상측 보강부(20)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제조 공정상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의 양단에는 세로 방향 일단부가 몸체부(10)의 일단부와 접하고 가로 방향 일단부가 상측 보강부(20)의 일단부와 접하는 좌측 보강부(30) 및 우측 보강부(40)가 위치한다. 이들(30, 40)은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몸체부(10) 및 상측 보강부(20)에 접합되고, 상측 보강부의 너비와 몸체부의 높이에 각각 대응하는 가로·세로 크기를 가지며, 약 3 mm 두께의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보강부(30)와 우측 보강부(40) 사이에는 몸체부(10)의 하단으로부터 약간 위쪽으로, 바람직하게는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전체 높이의 약 1/4 내지 약 1/3 높이에, 상측 보강부(20)와 평행하게 하측 보강부(50)가 위치하고,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몸체부(10)와 좌측 및 우측 보강부(30)에 용접된다. 상기 하측 보강부(50)는 상측 보강부(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상측 보강부(20)와 하측 보강부(50)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 거푸집의 전체 길이에 따라 예컨대 2개 내지 5개의 보조 보강부(60)가 위치하고 (도면에서는 3개임), 보조 보강부(60)의 상단은 상측 보강부(20)에, 하단은 하측 보강부(50)에, 그리고 일측단은 몸체부(10)에 용접된다.
하측 보강부(50) 아래로 몸체부(10)와 좌측 및 우측 보강부(30, 4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는 각재(70)가 위치한다. 상기 각재(70)는 상기 공간에 들어맞는 크기를 가지거나, 그 하단이 몸체부(10)의 하단에서 약간 떨어지게, 예컨대 약 3 mm 정도 떨어지게 위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각재(70)는 하측 보강부(50)에 마련된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못(N)에 의해 하측 보강부(50)에 고정된다. 따라서 각재(70)의 상면은 하측 보강부(50)의 하면과 밀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각재(70)는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그 측면이 몸체부(10)의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못에 의해 몸체에 또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재(70)는 나사못(N)에 의해 체결되므로, 거푸집(1)의 반복 사용 시 오염되거나 손상된 각재(70)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각재(70)는 충전재가 거푸집(1)의 하단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스폰지를 거푸집(1)의 하단에 쉽게 부착시키고 떼어내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좌측 보강부(30)의 측면에는 점검부(80)가 구비된다. 점검부(80)는 직사각형 철판으로 된 두 부분 즉, 좌측 보강부(30)와 평행한 제1 부분(81)과 몸체부(10)와 평행한 제2 부분(82)으로 이루어지고, 제2 부분(82)의 양측단은 제1 부분(81)과 좌측 보강부(30)의 측면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점검부(80)는 휨 방지를 위해 몸체부(10)나 보강부들(20, 30, 40, 50, 60)을 구성하는 철판보다 약간 더 두꺼운 철판, 예컨대 약 5 mm의 철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분(81)은 약 53 mm의 폭을, 제2 부분(82)은 약 50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검부(80)에 있어서, 제1 부분(81)은 일측단이 몸체부(10)의 패널과 접촉하는 면의 연장선 상에 있고 제2 부분(82)이 상기 연장선보다 몸체부의 앞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약간 후퇴하여, 예컨대 약 5-15 mm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mm 정도 뒤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거푸집(1)의 설치 시 몸체부(10)가 패널에 밀착되면 점검부(80)의 제1 부분(81)은 상기 일측단이 패널의 측면에 밀착되고 제2 부분(82)은 패널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점검부(80)와 좌측 보강부(30)와 패널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직사각형의 공간(S)이 형성된다. 이 공간(S)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재가 흘러나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거푸집(1)의 실제 사용에 있어서, 거푸집의 하단에는 가로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두께, 예컨대 약 10-20 mm 두께의 스폰지(90)가 부착된다. 스폰지(90)는 예컨대 타카에 의해 각재(7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점검부(80)의 하단까지 즉, 제1 부분(81)의 하단 또는 그 이상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도 5는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거푸집(1)과 달리, 점검부(80)가 우측 보강부(40)의 측면에 구비된 거푸집(1’)의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충전재 주입을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푸집이 패널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슬래브 패널(200)의 설치를 위해 기초층 위에 패널(200)의 위치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패널(200)은 기초층 위로 약간 떠 있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로 위치 고정된 패널(200)은 여러 지점에서 스핀들(3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사이의 공간을 무수축 모르타르인 충전재로 채워서 패널(200)을 기초층과 결합시키기 위해, 패널(200)의 측면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측면 거푸집(1’)이 설치되는데, 거푸집(1’)의 몸체부(10)의 앞면은 패널(200)의 측면에 밀착되어야 하고, 스펀지(90)는 거푸집의 무게로 인해 기초층의 상면에 밀착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패널의 한 측면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실제로는 패널(200)의 네 측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수 개의 거푸집이 설치된다.
측면 거푸집(1’)의 설치 후 패널(200)에 미리 형성된 전단포켓(210)을 통해 충전재를 주입하면, 측면 거푸집에 의해 한정되는 패널(200) 하면과 기초층 상면 사이의 공간이 충전재로 채워진다. 이 공간이 모두 채워지고 나면, 거푸집(1’)의 점검부(80)에 있는 공간(S)을 채우게 되고, 결국 상기 공간(S)을 통해 거푸집(1’)의 위쪽으로 충전재가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단지 점검부(80)에서 충전재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 패널과 기초층 사이의 공간이 충전재로 완전히 채워진 것을 확인하고, 충전재의 주입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재의 주입을 완료한 후 충전재의 경화상태를 확인하고 나면, 설치된 거푸집(1’) 등을 제거한 후 레일 설치 등의 후속작업을 수행하여 궤도 시공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의 사상과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고, 본 고안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모든 범위에서 보호받을 권리가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1’: 측면 거푸집 10: 몸체부 20: 상측 보강부 30: 좌측 보강부 40: 우측 보강부 50: 하측 보강부 60: 보조 보강부 70: 각재 80: 점검부 90: 스폰지

Claims (6)

  1.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패널의 측면을 막는데 사용되는 전용 거푸집으로서,
    세장형 직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가로 방향인 상측 단부와 세로 방향인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타면 측으로 일정 너비로 연장되는 상측, 좌측 및 우측 보강부; 및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보강부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면이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된 후 충전재 주입 시 상기 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 충전재가 상향 누출될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하는 점검부;
    를 포함하는 측면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보강부와 평행한 제1 부분 및 상기 몸체부와 평행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세로 방향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세로 방향 일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가로 방향 연장선 상에 있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연장선보다 상기 몸체부의 타면 측으로 후퇴하여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거푸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져 상기 상측 보강부와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부착된 하측 보강부;
    상기 상측 보강부와 상기 하측 보강부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된 복수의 보조 보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 단부와 상기 하측 보강부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게 배치된 각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거푸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면 거푸집의 가로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각재의 하면에 스폰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거푸집.
  5.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 시 위치가 정정된 패널을 기초층에 결합시키기 위한 충전재 주입 공정에서 패널의 측면을 막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상기 패널과 상기 기초층 사이의 공간이 모두 주입된 충전재로 충전된 후 충전재가 상기 거푸집의 소정 부분을 통해 위쪽으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상기 패널의 측면에 접촉하는 거푸집 면의 상기 소정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거푸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 홈은 상기 측면 거푸집의 좌단 또는 우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거푸집.
KR2020130001995U 2013-03-18 2013-03-18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KR200469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995U KR200469637Y1 (ko) 2013-03-18 2013-03-18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995U KR200469637Y1 (ko) 2013-03-18 2013-03-18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637Y1 true KR200469637Y1 (ko) 2013-10-28

Family

ID=5077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995U KR200469637Y1 (ko) 2013-03-18 2013-03-18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63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68A (ja) 2002-05-23 2003-11-28 Yasuda Kogyo Kk 捨て型枠およびその固定用具
KR20080091755A (ko) * 2005-10-07 2008-10-14 코닌크리지케 밤 그로에프 엔.브이. 침목 타설 방법 및 이를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68A (ja) 2002-05-23 2003-11-28 Yasuda Kogyo Kk 捨て型枠およびその固定用具
KR20080091755A (ko) * 2005-10-07 2008-10-14 코닌크리지케 밤 그로에프 엔.브이. 침목 타설 방법 및 이를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898B2 (ja) プレハブスラブ式防振軌道構造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JP382909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既製板
CN101063289B (zh) 城铁钢弹簧浮置板道床道岔施工方法
KR100788992B1 (ko) 고정 레일 선로의 높이 조정 방법
CN105525541B (zh) 轨道交通用预制板式减振轨道结构
CN205934593U (zh) 一种装配板式轨道结构
KR101234092B1 (ko) 피씨 슬래브와 강거더를 포함하는 피씨 합성판형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80224B1 (ko)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의 시공 방법
JP2018112009A (ja) 鉛直部材設置構造、鉛直部材設置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製鉛直部材
CN103132398B (zh) 一种i型板式无砟轨道的维修方法
KR101321972B1 (ko) 리프팅 잭 및 슬라브 패널 위치 정정 방법
KR20160001011U (ko)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225656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갱환 시공방법
KR101321970B1 (ko) 레일 레벨 게이지
KR200469637Y1 (ko) 슬래브 궤도 시공용 측면 거푸집
WO2024041054A1 (zh) 轨道交通内置式泵房地段用预制轨道结构及施工方法
KR102193641B1 (ko)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 구조,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의 시공방법
CN111851155A (zh) 基于线隧同心隧道的钢弹簧浮置板施工方法
JP4136959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架設桁」
ES2258804T3 (es) Procedimiento para la construccion de una bancada de via fija para trafico guiado sobre railes, asi como una bancada de via fija para llevar a cabo el procedimiento.
KR101414408B1 (ko) 트랙 그리고 조립식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조 방법
JPH07259001A (ja) 既設バラスト道床軌道の強化施工法
JP2014095229A (ja) レールの高さ調整方法
KR101986794B1 (ko)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