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29Y1 -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29Y1
KR200469129Y1 KR2020110007715U KR20110007715U KR200469129Y1 KR 200469129 Y1 KR200469129 Y1 KR 200469129Y1 KR 2020110007715 U KR2020110007715 U KR 2020110007715U KR 20110007715 U KR20110007715 U KR 20110007715U KR 200469129 Y1 KR200469129 Y1 KR 200469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guide tube
fix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82U (ko
Inventor
오문근
Original Assignee
오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문근 filed Critical 오문근
Priority to KR2020110007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2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객차와 객차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장치의 부속에 마모가 발생할 경우 연결장치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토록 한 것으로, 가이드빔의 양단에 형성되어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관에 제1가이드관을 내장하고, 그 고정관에 끼워지면서 서스펜션 볼트가 내장되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제2가이드관을 내장하여 객차 연결장치의 현가 작동시에 고정관과 서스펜션 볼트와 케이스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이면서도 제1가이드관과 제2가이드관에만 마모가 발생토록 하여 소모성 부품인 가이드관의 교체만으로도 연결장치를 전체 교체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연결장치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of passenger train in railroad car}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객차와 객차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장치의 부속에 마모가 발생할 경우 연결장치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는 객차의 선미에 연결장치를 장착하여 복수의 객차를 직렬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철도의 운행중 임의로 연결장치가 분리될 경우에 안전사고는 물론 대형사고의 위험이 있어 보완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20-0155609호와 같이, 스프링으로 현가되는 써스펜션 보울트의 나사축에 한 쌍의 워엄기어를 치합하여 써스펜션 보울트가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장치의 결속상태 파악이 용이하면서도 써스펜션 보울트의 상하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연결장치의 역할은 철도차량의 주행 중에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철도 운행중에는 객차와 객차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현가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써스펜션 보울트와 케이스가 모두 가이드빔의 고정관 내,외경에 밀착되어 상,하로 승강되어지는 구조이므로 금속마찰에 의한 지나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부분이 반복적인 마찰에 의하여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특히 철도의 객차와 같이 고중량을 연결한 상태에서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재질의 금속이라도 서로의 마찰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수록 마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마모가 발생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철도차량의 승차감이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철도차량의 소음이 심해지게 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부품의 마모가 확인되면 연결장치 전체를 해체하여 새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연결장치를 해체한 후 새로운 연결장치를 장착하는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장치의 전체 교체에 따른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자원활용 측면에있어서도 매우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결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하여 연결장치의 현가 작동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킴은 물론 연결장치의 작동중에 마모가 발생할 경우에도 연결장치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소모성 부품만을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비용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가이드빔의 양단에 고정관을 형성하고, 그 고정관에 서스펜션 볼트의 나선부가 케이스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하며, 그 나선부는 한 쌍의 웜과 웜휠로 치합하여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현가 작동하도록 하고, 가이드빔과 서스펜션 볼트 및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고정관과 케이스의 관통홀에 각각 그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되면서도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이드관을 장착하여 현가 작동시의 소음을 줄이면서도 가이드관의 교체만으로도 연결장치를 전체 교체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연결장치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경도의 금속과 금속 또는 금속과 비철금속이 마찰되는 구조이므로 철도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이 흡수되므로 철도차량의 승차감이 우수해지고 부속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복적인 현가작동에 의하여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도 가이드관만을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연결장치를 유지보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고, 가이드관을 제외한 모든 부속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인 자원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객차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객차 연결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객차 연결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객차 연결장치의 결합된 외관 정면도
도 5는 제1가이드관의 외관 사시도
이하 일 실시 예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객차와 고정되는 가이드빔(10)의 양단에 고정관(11)을 형성하고, 그 고정관(11)에 서스펜션 볼트(20)의 나선부(21)가 케이스(30)의 관통홀(31)을 관통하게 끼워 고정하며, 그 나선부(21)는 한 쌍의 웜(40)과 웜휠(41)로 치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프링(50)에 의하여 객차 연결장치가 현가 작동하도록 한 것으로, 고정관(11)과 케이스(30)의 내측으로는 각각 고정관(11)의 내경과 관통홀(3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을 장착하여 연결장치의 현가 작동시에 부품 간의 금속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즉, 제1가이드관(60)은 관체로 이루어져 고정관(11)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결합하면 서스펜션 볼트(20)의 승,하강 작동시 서스펜션 볼트(20)의 외경이 고정관(11)의 내경과 직접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스펜션 볼트(20)와 제1가이드관(60)이 마찰된 상태로 승강작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제1가이드관(60)의 재질을 서스펜션 볼트(2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장치의 승강 작동시에 서스펜션 볼트(20)의 외경은 마모가 되지 않으면서 제1가이드관(60)의 내경만 마모가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관(60)은 고정관(11)의 내경에 강제 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관(11)의 내경에 내입단턱부(11a)를 형성하여 제1가이드관(60)이 안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이러한 제1가이드관(60)은 하나의 관체를 끼우거나 또는 여러 개의 분할되어진 관체를 끼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가이드관(60)을 도5와 같이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61)를 형성하면 제1가이드관(6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고, 따라서 제1가이드관(60)을 고정관(11)의 내입단턱부(11a)에 강제로 끼워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가이드관(60)이 고정관(11)의 내경에 탄성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관(70)은 내경을 케이스(30)의 관통홀(31)과 동일한 형태인 원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외경을 케이스(30)의 내입부(32)와 동일한 형태인 사각형으로 형성하면 제2가이드관(70)이 내입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케 되는 것으로, 이때 제2가이드관(70)은 내입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스프링(50)으로 탄지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정위치 조립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30)의 내입부(32)는 상술한 사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제2가이드관(70)의 외경 또한 내입부와 동일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은 연결장치의 반복적인 현가 작동시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에만 마모가 발생하면서 서스펜션 볼트(20)와 고정관(11)에는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장기간 작동에 의하여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에 교체가 필요한 정도의 마모가 발생되면 점검 후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만을 교체함으로써 연결장치의 전체 교체가 필요없이 부분적인 교체만으로 객차 연결장치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가이드빔 11: 고정관
11a: 내입단턱부
20: 서스펜션 볼트 21: 나선부
30: 케이스 31: 관통홀
32: 내입부
40: 웜 41: 웜휠
50: 스프링
60: 제1가이드관 61: 절개부
70: 제2가이드관

Claims (4)

  1. 가이드빔(10)의 양단에 고정관(11)이 형성되고, 그 고정관(11)에 서스펜션 볼트(20)의 나선부(21)가 케이스(30)의 관통홀(31)을 관통하게 끼워지며, 그 나선부(21)는 한 쌍의 웜(40)과 웜휠(41)로 치합하여 고정되어 스프링(50)에 의하여 현가 작동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1)과 케이스(30)의 내측으로는 각각 고정관(11)의 내경과 관통홀(3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이 장착되고,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은 각각 서스펜션 볼트(20)와 고정관(1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져 객차 연결장치의 반복적인 현가 작동시 서스펜션볼드(20)와 고정관(11)은 마모가 발생치 않으면서 제1가이드관(60)과 제2가이드관(70)에만 마모가 발생토록 되며, 상기 제2가이드관(70)은 내경이 케이스(30)의 관통홀(31)과 동일한 형상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제2가이드관(70)의 외경은 케이스(30)의 내입부(32)와 동일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가이드관(70)이 내입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이나 유동이 방지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관(60)은 절개부(61)가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되고, 고정관(11)의 내경에는 내입단턱부(11a)가 형성되어 제1가이드관(60)이 내입단턱부(11a)의 내경에 밀착된 상태로 탄성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4. 삭제
KR2020110007715U 2011-08-25 2011-08-25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KR200469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15U KR200469129Y1 (ko) 2011-08-25 2011-08-25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15U KR200469129Y1 (ko) 2011-08-25 2011-08-25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82U KR20130001482U (ko) 2013-03-06
KR200469129Y1 true KR200469129Y1 (ko) 2013-09-23

Family

ID=5139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715U KR200469129Y1 (ko) 2011-08-25 2011-08-25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16B1 (ko)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발판 일체형 궤도차량용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396U (ko) * 1997-05-30 1998-03-30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KR200316405Y1 (ko) 2003-03-17 2003-06-18 오문근 철도 차량 객차 연결 안전장치의 샹크 가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396U (ko) * 1997-05-30 1998-03-30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KR200155609Y1 (ko) 1997-05-30 1999-10-01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KR200316405Y1 (ko) 2003-03-17 2003-06-18 오문근 철도 차량 객차 연결 안전장치의 샹크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16B1 (ko)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발판 일체형 궤도차량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82U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3099B (zh) 用于将车钩杆铰接于轨道车辆的车体的轴承座
RU166921U1 (ru) Узел подвешивания тягов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US10421021B2 (en) Roller coaster vehicle guidance system including a side guide assembly with wheel suspension
CN102501734B (zh) 一种用于煤矿铰接式防爆车辆的悬架装置
KR200469129Y1 (ko) 철도차량의 객차 연결장치
CN209112183U (zh) 轨道车辆用车间减振装置及轨道车辆
CN104309425A (zh) 一种汽车前悬架下摆臂总成
CN202896212U (zh) 一种稳定杆和衬套的连接结构
JP2005335558A (ja) 鉄道車両の牽引装置
CN203418950U (zh) 自固式衬套汽车稳定杆总成
CN102364151B (zh) 一种减震机构
CN206067410U (zh) 一种带凸肩结构衬套的钢板弹簧吊环
CN104002633A (zh) 单点悬挂装置
CN211280536U (zh) 一种锥度式推力杆
CN202669415U (zh) 平衡轴总成
CN107839824B (zh) 三轮汽车前悬架系统
CN202272081U (zh) 一种减振型驾驶室液压锁
RU176844U1 (ru) Узел подвешивания тягов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CN204821817U (zh) 车座减震器
CN203902194U (zh) 单点悬挂装置
CN213383765U (zh) 防止钢板弹簧及卷耳位移的机构
JP2007182190A (ja) 鉄道車両における車体−台車間結合要素の取付構造
CN108454768A (zh) 一种电动自行车
CN201573670U (zh) 铁路车辆的车钩支撑座
CN104191929A (zh) 一种自限位式稳定杆衬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