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85Y1 -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 Google Patents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85Y1
KR200469085Y1 KR2020130000092U KR20130000092U KR200469085Y1 KR 200469085 Y1 KR200469085 Y1 KR 200469085Y1 KR 2020130000092 U KR2020130000092 U KR 2020130000092U KR 20130000092 U KR20130000092 U KR 20130000092U KR 200469085 Y1 KR200469085 Y1 KR 200469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panel
belt
base plate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종
Original Assignee
최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종 filed Critical 최규종
Priority to KR2020130000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베이스본체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부에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롤러와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피동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좌우측 피동롤러에는 연마용벨트가 권취되어 회동되는 도막연마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장착되면서 좌우측 피동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쿠션부재가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에 의해 연마용벨트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밀착쿠션부와,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의 전방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판넬이 가이드이송되고 선단부 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밀착쿠션부에 의해 돌출된 연마용벨트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판넬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조절하는 도막두께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The coating grinder for a panel}
본 고안은 가정용이나 사무용의 진열장,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에 사용되는 목재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된 판넬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을 원하는 두께로 평활하게 연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베이스본체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부에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롤러와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피동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좌우측 피동롤러에는 연마용벨트가 권취되어 회동되는 도막연마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장착되면서 좌우측 피동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쿠션부재가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에 의해 연마용벨트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밀착쿠션부와,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의 전방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은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판넬이 가이드이송되고 선단부 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마용벨트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판넬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조절하는 도막두께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나 사무용의 진열장,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에 사용되는 판넬은 합성수지재 판넬이나 중밀도섬유판재(MDF) 또는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 등을 가공하여 일정크기의 판넬로 제작되며, 상기와 같이 일정크기로 제작된 판넬은 표면(전,후면 및 외측 둘레면)을 연마한 후 그 표면에 페인트나 자외선도료(UV도료) 또는 우레탄도료 등의 다양한 도료로 하도(1차도장), 중도(2차도장), 상도(3차도장) 등의 도장(塗裝)작업을 통해 광택형성 및 강도보강으로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판넬의 도장작업은 먼저 판넬 전,후면의 도장작업이 완료된 후 외측 둘레면의 도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판넬 측면의 하도(1차도장), 중도(2차도장) 도장작업은 기계화된 장치를 통해 자동화공정으로 처리되어 다량의 판넬을 신속하게 도장처리하고 있으나, 최종적인 도장 마무리작업인 판넬 측면의 상도작업시에는 그 표면이 균일하고 매끄럽게 마감처리되도록 하기 위해 도료를 붓이나 롤러 등으로 칠하지 않고 도료를 스프레이(spray)하여 코팅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상도처리된 판넬은 경화된 후 도막을 전체적으로 평활하게 마감처리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샌드페이퍼 등으로 된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판넬의 도막을 일정두께로 연마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판넬의 연마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796274호에서는 패널이송수단의 도입부 일측에 설치되어 무한궤도로 운동하는 샌드페이퍼에 의해 이송되는 패널의 엣지면을 연마하는 연마수단이 구비된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연마수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종동드럼과, 모터에 의해 피도장패널의 이송방향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드럼과, 상기 구동드럼과 한쌍의 종동드럼을 경유하여 감겨지는 샌드페이퍼와, 상기 샌드페이퍼의 내측에 위치되며 피도장패널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샌드페이퍼를 피도장패널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푸셔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면 구동드럼 및 종동드럼에 감겨진 샌드페이퍼가 무한궤도식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피도장패널이 패널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연마수단측으로 이송되는 것이 감지되면 가압실린더에 연결된 가압푸셔가 샌드페이퍼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의 엣지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을 연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연마수단이 패널의 엣지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수단보다 선공정으로 설치되어 도장처리되지 않은 패널의 엣지면을 샌드페이퍼로 연마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연마수단을 이용하여 패널 측면의 도막을 연마하는 경우 도막과 샌드페이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마할 수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도막을 연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샌드페이퍼가 가압실린더와 연결된 가압푸셔에 의해 완충작용없이 패널의 엣지면과 단단한 면접촉을 하도록 단순 가압되면서 샌드페이퍼의 외측면이 패널의 엣지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지 않아 패널의 엣지면이 균일하게 연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막연마부의 좌우측 피동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의 전방 가운데부분을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밀착쿠션부를 구비하되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실리콘수지,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의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밀착쿠션부의 쿠션부재에 의해 연마용벨트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연마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의 전방에는 각각 연마용벨트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는 좌우측 가이드블럭을 구비하여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되는 판넬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연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베이스본체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부에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롤러와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피동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좌우측 피동롤러에는 연마용벨트가 권취되어 회동되는 도막연마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장착되면서 좌우측 피동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쿠션부재가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에 의해 연마용벨트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밀착쿠션부와,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의 전방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은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판넬이 가이드이송되고 선단부 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마용벨트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판넬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조절하는 도막두께조절부로 구성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막연마부의 좌우측 피동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의 전방 가운데부분을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밀착쿠션부가 구비되어 있되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실리콘수지,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의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밀착쿠션부의 쿠션부재에 의해 연마용벨트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연마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의 전방에는 각각 연마용벨트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는 좌우측 가이드블럭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의 두께가 조절됨으로써 이송되는 판넬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두께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의 전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의 횡단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에 의해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연마처리되기 전의 횡단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에 의해 도장처리된 판넬의 측면이 연마처리되는 상태의 횡단면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1)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이나 사무용의 진열장, 책장, 서가 또는 각종 싱크대나 작업대 등에 사용되는 목재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된 판넬(P)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을 원하는 두께로 평활하게 연마하는 장치로서,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3)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가 설치된 베이스본체부(2)와, 상기 베이스판(3)의 후방 상부에 구동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롤러(15)와 베이스판(3)의 전방 상부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피동롤러(16a)(16b)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15)와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에는 연마용벨트(17)가 권취되어 회동되는 도막연마부(14)와, 상기 베이스판(3)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 실린더(19)의 피스톤(20)에 연결장착되면서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17)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쿠션부재(21)가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P)의 측면이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21)에 의해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밀착쿠션부(18)와,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의 전방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은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판넬(P)이 가이드이송되도록 되어 있고 선단부 후면은 경사면(27)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17)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조절하는 도막두께조절부(25)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본체부(2)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컨베이어, 롤러 등과 같은 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면서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1)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금속판형상의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3)의 후방 하부에는 구동모터(4)가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구동모터(4)의 축은 베이스판(3)을 수직상방으로 관통하여 베이스판(3)의 상면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판(3)의 상면부에 설치되는 도막연마부(14)의 구동롤러(15)가 상기 구동모터(4)의 축에 연결되면서 구동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3)은 쿠션부재(2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전후방향으로 긴 수평으로 눕혀진 판형상으로 상면부 좌우양측 및 상면부 후방 외곽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측면판(5)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판(5)의 외측에 위치된 베이스판(3)의 상면부 전방 좌우양측에는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측면블럭(6a)(6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측면블럭(6a)(6b)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핀관통홀(7)이 복수개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종단부 후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고정부착된 가이드핀(28)이 각각 가이드핀관통홀(7)에 부합되게 관통 개재(介在)되도록 있어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가이드핀(28)이 측면블럭(6a)(6b)을 따라 가이드결합된 상태로 전후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전후위치가 수동식으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가이드핀(28) 후방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조임너트(29)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워지면서 가이드핀(28)을 고정하여 전후위치조절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부(2)는 측면판(5)의 상부에는 이에 부합되는 형상의 상부덮개(8)가 덮혀 씌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5)의 후방에는 집진덕트(10)가 연결장착되는 배기구(9)가 천공되어 있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연마부(14)에 의해 판넬(P)의 도막연마시 발생되는 도료분진이 상부덮개(8)에 의해 외부로 퍼져 나가지 않고 측면판(5)의 후방에 설치된 배기구(9)를 통해 집진덕트(10)로 배출되어 회수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측면판(5)의 상부와 통상의 경첩(30)을 통해 연결되어 힌지식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은 도막연마부(14)의 연마용벨트(17)가 설치되는 부분과 근접된 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진 에어토출관(11)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토출관(11)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에어토출공(1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에어토출관(11)에는 에어공급관(13)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관(13)이 측면판(5)을 관통하여 통상의 에어블로워나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상태로 에어블로워나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에어공급관(13)을 통해 에어토출관(11)으로 공급되면서 복수개의 에어토출공(12)을 통해 도막연마부(14)의 연마용벨트(17) 외주면에 토출되어 도막연마시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도료분진을 고압의 에어(air)로 제거하여 계속적으로 원활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막연마부(14)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P)의 측면을 평활하게 연마처리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판(3)의 후방 상부에 구동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롤러(15)와 베이스판(3)의 전방 상부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피동롤러(16a)(16b)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15)와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에는 샌드페이퍼 등으로 된 연마용벨트(17)가 권취되어 있어 구동롤러(15)의 회전에 따라 연마용벨트(17)가 구동롤러(15)와 좌우측 피동롤러(16a)(16b)를 따라 회동되면서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P)의 측면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외주면에 밀착되게 맞닿아 연마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마용벨트(17)는 외주면에 통상의 다이아몬드분말이 코팅처리되어 있어 더욱 원활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마용벨트(17)는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위치된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좌우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판넬(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17)가 밀착쿠션부(18)의 쿠션부재(21)에 의해 전방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판넬(P)의 이송과정에서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과 맞닿는 판넬(P)의 측면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21)에 의해 밀착되어 전체적으로 고르게 연마용벨트(17)에 맞닿아 일정한 도막두께를 지니도록 연마처리된다.
상기 밀착쿠션부(18)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이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연마처리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판(3)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 실린더(19)의 피스톤(20)에 연결장착되면서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17)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쿠션부재(21)가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P)의 측면이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21)에 의해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도록 되어 있되, 상기 실린더(19)는 통상의 공압펌프(도시하지 않음)와 공압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공압실린더로 상기 공압펌프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전방에 구비된 피스톤(20)을 전후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재(21)는 실리콘수지나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의 탄력성있는 재질로 되어 있고 후방에는 금속재질로 된 장착블럭(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블럭(22)의 후면부에는 실린더(19)의 피스톤(20)이 일체로 고정부착되면서 피스톤(20)에 의해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17)의 전방 가운데부분을 쿠션부재(21)가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켜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에 연마용벨트(17)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21)는 외주면에 흑연패드(23)가 씌워져 있어 연마용벨트(17)와 맞닿는 부분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연마용벨트(17)의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19)는 피스톤(20)의 좌우양측에 가이드축(24)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축(24)은 장착블럭(22)에 연결되어 있어 쿠션부재(21)가 전후일직선상으로 안정되게 전후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막두께조절부(25)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조절하는 부분으로, 상기 도막연마부(14)의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전방과 근접되게 위치된 상태로 좌우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나란히 이격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은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판넬(P)이 가이드이송되고 선단부 후면은 경사면(27)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면서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17)의 두께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가이드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 사이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의 두께가 조절되어 판넬(P)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對向)되게 마주보는 선단부 후면이 각각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뾰족한 경사면(27)으로 형성되어 있어 밀착쿠션부(18)의 쿠션부재(21)에 의해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좌우양측이 경사진 연마용벨트(17)의 전방에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경사면(27)이 부합되어 전후로 근접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종단부 후면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핀(28)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핀(28)은 베이스판(3)의 측면블럭(6a)(6b)에 천공된 가이드핀관통홀(7)에 관통개재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핀(28)에 의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이 안정되게 전후수평방향으로 수동식으로 위치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핀(28)의 후방 외주면에는 도 1, 2 및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조임너트(29)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워지면서 가이드핀(28)을 고정하여 전후위치조절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1)를 이용하여 통상의 판넬(P) 측면에 도장처리된 도막을 일정두께로 연마처리하는 경우에는 도장된 판넬(P)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컨베이어나 레일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투입하여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판넬(P)의 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이송수단을 따라 좌우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수단을 통해 좌우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이 베이스본체부(2)의 구동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15)와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의 외주면에 권취된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외주면에 맞닿아 연마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설치된 밀착쿠션부(18)의 실린더(19)를 전진작동시켜 실린더(19)의 피스톤(20)에 연결된 쿠션부재(21)가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의 연마용벨트(17) 가운데부분을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의 전방에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근접되게 위치된 상태로 좌우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나란히 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을 수동으로 전후위치조절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17)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 사이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마용벨트(17)의 전방 가운데부분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의 두께가 조절되면서 판넬(P)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맞추어 연마처리하며,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P)의 측면이 전후위치조절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좌우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가이드되면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밀착쿠션부(18)의 실리콘수지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등의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21)에 의해 판넬(P)의 측면이 연마용벨트(17)의 돌출된 전방 외주면과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일정두께로 균일하게 연마처리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에어블로워나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에어공급관(13)을 통해 에어토출관(11)으로 공급하면서 복수개의 에어토출공(12)을 통해 도막연마부(14)의 연마용벨트(17) 외주면에 토출하여 연마과정에서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도료분진을 고압의 에어(air)로 제거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원활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연마용벨트(17)에 의해 연마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료분진은 도막연마부(14)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측면판(5)과 상부덮개(8)에 의해 외부로 퍼져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측면판(5)의 후방에 구비된 배기구(9)에 연결된 집진덕트(10)를 통해 외부로 배출제거하게 된다.
1.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2. 베이스본체부
3. 베이스판 4. 구동모터
5. 측면판 6a, 6b. 측면블럭
7. 가이드핀관통홀 8. 상부덮개
9. 배기구 10. 집진덕트
11. 에어토출관 12. 에어토출공
13. 에어공급관 14. 도막연마부
15. 구동롤러 16a, 16b. 피동롤러
17. 연마용벨트 18. 밀착쿠션부
19. 실린더 20. 피스톤
21. 쿠션부재 22. 장착블럭
23. 흑연패드 24. 가이드축
25. 도막두께조절부 26a, 26b. 가이드블럭
27. 경사면 28. 가이드핀
29. 조임너트 30. 경첩
P. 판넬

Claims (5)

  1.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3)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가 설치된 베이스본체부(2)와, 상기 베이스판(3)의 후방 상부에 구동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롤러(15)와 베이스판(3)의 전방 상부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피동롤러(16a)(16b)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15)와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에는 연마용벨트(17)가 권취되어 회동되는 도막연마부(14)와, 상기 베이스판(3)의 전방 상부에 고정설치된 실린더(19)의 피스톤(20)에 연결장착되면서 좌우측 피동롤러(16a)(16b) 사이에 위치되는 연마용벨트(17)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쿠션부재(21)가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도장처리된 판넬(P)의 측면이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쿠션부재(21)에 의해 연마용벨트(17)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는 밀착쿠션부(18)와, 상기 좌우측 피동롤러(16a)(16b)의 전방에 좌우일직선상으로 이격설치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은 평면으로 된 전면을 따라 판넬(P)이 가이드이송되고 선단부 후면은 경사면(27)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마용벨트(17)의 전방 좌우양측 외주면과 전후일정간격 근접되게 위치조절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 사이를 통해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마용벨트(17)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판넬(P)의 측면에 도장된 도막의 연마두께를 조절하는 도막두께조절부(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은 수평으로 눕혀진 전후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상면부 좌우양측 및 상면부 후방 외곽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측면판(5)이 고정부착되며 상기 측면판(5)의 외측에 위치된 베이스판(3)의 상면부 전방 좌우양측에는 각각 측면블럭(6a)(6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측면블럭(6a)(6b)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핀관통홀(7)이 복수개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종단부 후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고정부착된 가이드핀(28)이 각각 가이드핀관통홀(7)에 관통개재되도록 있어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가이드핀(28)이 측면블럭(6a)(6b)을 따라 가이드결합된 상태로 전후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전후위치가 수동식으로 조절되고 좌우측 가이드블럭(26a)(26b)의 가이드핀(28) 후방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조임너트(29)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워지면서 가이드핀(28)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5)은 상부에 이에 부합되는 형상의 상부덮개(8)가 덮혀 씌워지도록 되어 있고 측면판(5)의 후방에는 집진덕트(10)가 연결장착되는 배기구(9)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본체부(2)는 도막연마부(14)의 연마용벨트(17)가 설치되는 부분과 근접된 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진 에어토출관(11)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토출관(11)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에어토출공(1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에어토출관(11)에는 에어공급관(13)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어 에어블로워나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에어공급관(13)을 통해 에어토출관(11)으로 공급되면서 복수개의 에어토출공(12)을 통해 도막연마부(14)의 연마용벨트(17) 외주면에 토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21)는 실리콘수지나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재(21)의 후방에는 장착블럭(22)이 구비되어 있고 장착블럭(22)의 후면부에는 실린더(19)의 피스톤(20)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재(21)는 외주면에 흑연패드(23)가 씌워져 있어 연마용벨트(17)와 맞닿는 부분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KR2020130000092U 2013-01-04 2013-01-04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KR200469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092U KR200469085Y1 (ko) 2013-01-04 2013-01-04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092U KR200469085Y1 (ko) 2013-01-04 2013-01-04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085Y1 true KR200469085Y1 (ko) 2013-09-16

Family

ID=5139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092U KR200469085Y1 (ko) 2013-01-04 2013-01-04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8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73B1 (ko) * 2014-01-08 2014-06-10 박원태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KR101795762B1 (ko) * 2015-07-14 2017-11-08 최규종 벨트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KR101804948B1 (ko) * 2015-10-08 2017-12-05 최규종 벨트빗각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KR101870258B1 (ko) 2018-01-29 2018-06-22 (주)진승테크 무한궤도 방식의 연마장치
KR101886585B1 (ko) 2017-10-13 2018-08-07 반성욱 목재패널용 연마장치
KR101947449B1 (ko) 2018-09-04 2019-02-13 박원태 연마 및 드릴링이 가능한 자동 연마기
KR2022007669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63U (ja) * 1991-09-24 1993-04-20 アミテツク株式会社 ベルトサンダー
JPH0711256U (ja) * 1993-07-20 1995-02-21 アミテック株式会社 ベルトサンダー機の研削装置
JPH11170151A (ja) * 1997-12-12 1999-06-29 Meinan Mach Works Inc 研磨装置
JP2007268638A (ja) 2006-03-30 2007-10-18 Tdk Corp 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63U (ja) * 1991-09-24 1993-04-20 アミテツク株式会社 ベルトサンダー
JPH0711256U (ja) * 1993-07-20 1995-02-21 アミテック株式会社 ベルトサンダー機の研削装置
JPH11170151A (ja) * 1997-12-12 1999-06-29 Meinan Mach Works Inc 研磨装置
JP2007268638A (ja) 2006-03-30 2007-10-18 Tdk Corp 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73B1 (ko) * 2014-01-08 2014-06-10 박원태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KR101795762B1 (ko) * 2015-07-14 2017-11-08 최규종 벨트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KR101804948B1 (ko) * 2015-10-08 2017-12-05 최규종 벨트빗각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KR101886585B1 (ko) 2017-10-13 2018-08-07 반성욱 목재패널용 연마장치
KR101870258B1 (ko) 2018-01-29 2018-06-22 (주)진승테크 무한궤도 방식의 연마장치
KR101947449B1 (ko) 2018-09-04 2019-02-13 박원태 연마 및 드릴링이 가능한 자동 연마기
KR2022007669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KR102455686B1 (ko) 2020-12-01 2022-10-1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085Y1 (ko)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KR101804948B1 (ko) 벨트빗각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KR101795762B1 (ko) 벨트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KR101556844B1 (ko) 글라스 측면 광택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광택방법
CN203843640U (zh) 一种密度板砂光机
CN205465635U (zh) 一种红木家具板材多级抛光装置
KR20150118241A (ko) 곡면 유리기판용 폴리싱 장치
KR101557153B1 (ko) 판넬용 모서리연마장치
KR20110136428A (ko) 판넬 측면상도장치
CN110052380A (zh) 一种实木门板的辊涂工艺
JPH08118228A (ja) 木工の仕上げ方法と木工用研磨装置
CN113715175A (zh) 无机人造石材表面处理机构
KR200466397Y1 (ko) 판넬용 도막연마장치
CN115256910A (zh) 一种板材包覆生产装置
KR101948161B1 (ko) 접착 신뢰도가 개선된 목재 패널의 에지 밴드 형성장치
CN210388700U (zh) 一种板材面弹性刮刀磨砂一体机
CN107735234B (zh) 板的连续边缘处理方法及边缘处理装置
US90563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ding edges of a panel
KR101828075B1 (ko) 파티클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1582B1 (ko) 목재패널의 모서리 처리장치
CN112917281B (zh) 一种家具制造用双面打磨机
KR20160033974A (ko) 패널용 도장장치
CN103240649A (zh) 一种压型板用表面打磨机
TW200531781A (en) Straight advancement type abrasive finis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729160B (zh) 一种插片式柔性研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