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05Y1 - 배관 공사용 집수포 - Google Patents
배관 공사용 집수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905Y1 KR200468905Y1 KR2020130001677U KR20130001677U KR200468905Y1 KR 200468905 Y1 KR200468905 Y1 KR 200468905Y1 KR 2020130001677 U KR2020130001677 U KR 2020130001677U KR 20130001677 U KR20130001677 U KR 20130001677U KR 200468905 Y1 KR200468905 Y1 KR 2004689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unnel
- present
- drain pipe
- catch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철거시에 배관 내부에 남은 잔수 등의 액체를 안전하게 모아서 회수할 수 있는 집수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집수포는 방수천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깔때기부; 및 상기 깔때기부의 배수공에 연결된 배수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관 공사, 특히 배관의 해체시 배관 내부에 남은 잔수 등의 액체를 안전하게 모아서 회수할 수 있는 집수포에 관한 것이다.
화학 공장이나 반도체 공장 등의 제조 라인에는, 각종 공정에 사용되는 물이나 화학약품 등의 액체나 각종 기체를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많은 배관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들은 노후화나 라인 변경 등에 따라 철거나 교체를 해야 할 때가 있다. 배관을 철거할 때에는 먼저, 배관 내부의 물이나 약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배수한 후, 배관의 연결부위에서부터 배관을 해체함으로써 철거하게 된다.
그런데, 배관 내부의 액체를 배수한다고 하더라도 완전히 배수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잔수나 약액이 연결부위의 해체시 갑자기 쏟아져 내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쏟아져 내리는 액체는 주위에 설치된 고가의 각종 장비에 튀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특히 액체가 단순한 물이 아니라 산이나 알칼리성 약품이나 폐수인 경우 작업자의 안전이나 환경을 위협할 수도 있다.
그래서, 종래의 배관 철거시에는, 주 작업자가 배관 연결부위의 해체 작업을 하는 동안, 배관 연결부위의 아래쪽에 비닐을 대고 보조 작업자가 배관 양쪽에서 이 비닐을 붙잡고 있음으로써, 배관 내부의 잔수가 쏟아져 내리더라도 아래쪽에 댄 비닐에 모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임시방편적인 비닐은 매우 불편하고, 잔수의 양이 늘어나면 안정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며, 보조 작업자가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관의 철거시 배관 내부에 남아 있던 액체를, 별도의 작업자가 없이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모아서 회수할 수 있는 집수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집수포는, 방수천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깔때기부; 및 상기 깔때기부의 배수공에 연결된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깔때기부 및 배수관의 적어도 내부 표면은 내화학 또는 내열 코팅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깔때기부 및 배수관은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벨로즈 타입으로 그 길이가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깔때기부의 테두리에는, 단부에 갈고리가 마련된 고정용 끈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집수포에 의하면, 배관의 철거시에 잔수 등의 액체를 안전하게 모아서 회수할 수 있어 철거되는 배관의 주위에 설치된 고가의 각종 장비를 고장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이나 환경 오염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집수포는 유연한(플렉시블한) 방수천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배관의 철거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집수포를 사용하면 잔수 처리를 위한 보조 작업자가 필요없이 용이하게 배관 철거 공사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포를 아래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수포를 지면에 펼쳐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집수포를 실제 현장에 설치한 사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포를 아래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수포를 지면에 펼쳐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집수포를 실제 현장에 설치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포를 아래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집수포를 지면에 펼쳐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집수포를 실제 현장에 설치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포(100)는 크게 깔때기부(10)와 배수관(20)을 포함한다. 깔때기부(10)는 중심에 배수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이다. 따라서, 철거되는 배관(200, 도 3 참조)으로부터 잔수 등의 액체가 쏟아져 내리는 경우 깔때기부(10)로 받아 배수공(12)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배수관(20)은 깔때기부(10)의 배수공(12)에 연결되어 깔때기부(10)로 떨어지는 잔수를 배수관(20) 아래에 배치된 집수통(미도시)으로 모은다. 따라서, 철거되는 배관(200) 아래 주위에 설치된 고가의 장비(210)에 잔수가 튀어 고장이 나는 일이 없다.
본 실시예의 집수포(100), 즉 깔때기부(10)와 배수관(20)은 방수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수천으로는 이른바 타포린(tarpaulin)이라 불리우는 방수 시트를 예로 들 수 있다. 타포린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PVC 재질의 시트, 또는 직포 또는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PVC 등으로 코팅한 시트이다. 타포린은 질기고 방수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천막이나 우의 등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방수천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이른바 테프론(polytetrafluoroethylene) 코팅 등의 적절한 내화학 또는 내열 코팅을 함으로써 산이나 알칼리 등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거나 고온에도 견디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방수천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하거나 방수천을 난연재나 불연재로 제조함으로써 난연성(불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타포린은 재단 등 가공이 용이하다. 즉, 타포린 시트 원단을 필요한 크기와 형태로 재단하고 연결부위를 접합하여 연결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연결부위, 예컨대, 전술한 배수공(12)과 배수관(20)의 연결부위(15)나, 시트상 원단을 접어 이어서 배수관(20)을 만들 때 그 이음부위(25)의 접합은 초음파 융착이나 열융착 등의 가열 압착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수밀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집수포(100)에 타포린 등의 방수천을 사용함으로써, 그 형상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배관의 철거시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집수포(100)의 적어도 내부 표면에 내화학, 내열 코팅을 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로서 물뿐만이 아니라 화학약품이나 폐수까지도 모아서 회수할 수 있고, 재질을 난연재나 불연재로 함으로써 공사중 불의의 화재 사고시에도 쉽게 연소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깔때기부(10)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접합하여 만든 테두리(14)는, 그 내부에 끈(16)을 넣고 이 끈(1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테두리(14), 즉 깔때기부 입구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14)에는 단부에 갈고리(32)가 마련된 고정용 끈(30)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용 끈(30)을 배관(200) 둘레에 감거나, 갈고리(32)를 배관 주위의 적당한 시설물에 걺으로써 본 실시예의 집수포(100)를 철거하고자 하는 배관(200)의 아래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집수포(100)를 이용하여 배관 철거 공사를 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철거하고자 하는 배관(200)과 관련된 밸브를 개폐 제어하여 배관 내부의 잔수 등 액체를 배수하고, 배관 아래 주변의 장비(210) 등에 잔수 등의 액체가 튀더라도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를 씌운다.
이어서, 배관(200)의 연결부위 등 철거 공사를 하고자 하는 부위의 아래에 집수포(100)의 깔때기부(10)를 위치시키고, 테두리(14)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끈(1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테두리(14), 즉 깔때기부 입구의 직경을 조절한다. 이어서, 고정용 끈(30)을 배관(200) 둘레에 감거나 주변 시설물에 묶거나 갈고리(32)를 이용하여 걸어서 깔때기부(10)를 설치한다.
이어서, 배수관(20)을 아래로 늘어뜨리고 그 끝에 집수통(미도시)을 연결함으로써 배관 철거 공사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렇게 배관 철거 공사 준비가 완료되면, 철거하고자 하는 배관(200)을 절단하거나 해체함으로써 배관을 철거한다. 그러면 배관(200)의 절단 또는 해체되는 부위에 남아있는 잔수 등의 액체가 쏟아져 내리더라도 그 아래에 설치한 집수포(100)의 깔때기부(10)로 모이고 배수관(20)을 통해 집수통으로 안전하게 회수된다.
한편, 철거하고자 하는 배관(200)의 높이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20)의 길이도 그에 따라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량생산등을 위한 규격화의 관점에서 깔때기부(10)의 크기나 배수관(20)의 길이를 다양화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배수관(20)의 길이를 일단 충분하게 하여 생산하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잘라서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다. 그러나, 이는 재료의 낭비는 물론 집수포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20)은 벨로즈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또는, 배수관(20)을 길이가 짧은 단위 배수관으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단위 배수관들을 복수 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배수관(2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배수관의 양단부는 나사를 형성해 두고, 형상과 직경이 일정한 파이프 형태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배수관은 방수천으로 만들 수 없어 유연성이 없지만, 깔때기부(10)에 유연성이 있는 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집수포
10 : 깔때기부
12 : 배수공
14 : 깔때기부 테두리
15 : 연결부위
16 : 끈
20 : 배수관
25 : 이음부위
30 : 고정용 끈
32 : 갈고리
200 : 배관
210 : 장비
10 : 깔때기부
12 : 배수공
14 : 깔때기부 테두리
15 : 연결부위
16 : 끈
20 : 배수관
25 : 이음부위
30 : 고정용 끈
32 : 갈고리
200 : 배관
210 : 장비
Claims (5)
- 방수천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깔때기부; 및
상기 깔때기부의 배수공에 연결된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부의 테두리에는, 단부에 갈고리가 마련된 고정용 끈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 및 배수관의 적어도 내부 표면은 내화학 또는 내열 코팅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 및 배수관은 난연재 또는 불연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벨로즈 타입으로 그 길이가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677U KR200468905Y1 (ko) | 2013-03-06 | 2013-03-06 | 배관 공사용 집수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677U KR200468905Y1 (ko) | 2013-03-06 | 2013-03-06 | 배관 공사용 집수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8905Y1 true KR200468905Y1 (ko) | 2013-09-06 |
Family
ID=5139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1677U KR200468905Y1 (ko) | 2013-03-06 | 2013-03-06 | 배관 공사용 집수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905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5412U (ja) * | 1992-03-18 | 1993-10-15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自在設置型オイル受け皿 |
JPH08215929A (ja) * | 1995-02-10 | 1996-08-27 | Sankyu Inc | 液体用配管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
JP3052827U (ja) * | 1998-03-31 | 1998-10-09 | 明 大井 | エアコン用洗浄装置 |
JPH10278756A (ja) * | 1997-03-31 | 1998-10-20 | Nitto Kogyo Co Ltd | 自動車用オイルフィルタ交換時の漏れオイル受け器 |
-
2013
- 2013-03-06 KR KR2020130001677U patent/KR20046890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5412U (ja) * | 1992-03-18 | 1993-10-15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自在設置型オイル受け皿 |
JPH08215929A (ja) * | 1995-02-10 | 1996-08-27 | Sankyu Inc | 液体用配管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
JPH10278756A (ja) * | 1997-03-31 | 1998-10-20 | Nitto Kogyo Co Ltd | 自動車用オイルフィルタ交換時の漏れオイル受け器 |
JP3052827U (ja) * | 1998-03-31 | 1998-10-09 | 明 大井 | エアコン用洗浄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12700A (en) | Portable containment device for treatment of hazardous materials | |
CN108644529A (zh) | 一种cipp现场固化修复装置及修复方法 | |
US5725009A (en) | Fitting removal fluid discharge bag | |
KR200468905Y1 (ko) | 배관 공사용 집수포 | |
US20140224369A1 (en) | Steam diffus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
JP6625843B2 (ja) | サイホン式取水システム | |
KR101963941B1 (ko) | 벌룬셔터 및 그를 포함하는 원격 배관설비 관리 시스템 | |
CA2936599C (en) | Adjustable containment envelope | |
EP3018427B1 (de) | Schutzeinrichtung und warmwassergerät | |
KR20190000615U (ko) | 배관 이음부 커버체 | |
CN209958532U (zh) | 一种防火溢水装置和变形缝防水防火系统 | |
KR101380413B1 (ko) |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 |
RU131978U1 (ru) |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JP6251537B2 (ja) | 漏水処理方法 | |
GB2449898A (en) | Central heating radiator draining tool/device | |
WO2014108586A3 (es) | Dispositivo para evitar pérdidas de agua incontroladas en redes de distribución de agua | |
US20170191277A1 (en) | Flexible safety sock system | |
KR20100000235U (ko) | 변압기 맨홀의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 |
RU125292U1 (ru) | 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оизоляции оборудов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 |
JP5406240B2 (ja) | アスベスト飛散防止装置 | |
JP2019219152A (ja) | 給湯器の取付部構造及び給湯器の取付方法、並びに、給湯器の取外方法及び給湯器のメンテナンス方法 | |
US928039A (en) | Temporary roof. | |
JP2018100540A (ja) | ごみ除去具 | |
CN208268636U (zh) | 一种管道膨胀格栅 | |
JP2022070840A (ja) | 屋根カバー、および、屋根の養生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