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631Y1 - 이용이 편리한 짐 볼 - Google Patents

이용이 편리한 짐 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631Y1
KR200467631Y1 KR2020110009008U KR20110009008U KR200467631Y1 KR 200467631 Y1 KR200467631 Y1 KR 200467631Y1 KR 2020110009008 U KR2020110009008 U KR 2020110009008U KR 20110009008 U KR20110009008 U KR 20110009008U KR 200467631 Y1 KR200467631 Y1 KR 200467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ym
weight
gym b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342U (ko
Inventor
하성수
Original Assignee
하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수 filed Critical 하성수
Priority to KR2020110009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3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2B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4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an eccentric centre of gravity; with mechanism for changing the centre of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짐 볼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와 대응되는 반대쪽에 웨이트를 구비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항상 미리 정해진 방향(예를 들어서, 윗쪽)을 향하게 되어 이용자가 앉거나 누울 때에 쉽게 정해진 위치를 찾아 바로 이용할 수 있게 한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짐 볼 전체를 투명한 재질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짐 볼이 가벼운 느낌을 느끼게 하여 운동이나 재활에 임하고 싶은 충동을 더욱 더 느낄 수 있게 한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웨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짐 볼과 동일한 재질로 그 두께를 두껍게 제작함으로써, 짐 볼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한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이용이 편리한 짐 볼{EASILY USING GYM BALL}
본 고안은 짐 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짐 볼 운동시 신체가 미끌리지 않도록 형성된 돌기가 항상 윗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짐 볼이 항상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짐 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짐 볼은 무릅 위까지 올라오는 큰 공 모양의 도구로서 초기에는 유아들의 놀이기구로서 개발되었다. 그 후 짐 볼은 놀이 기구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재활 치료라든가 다이어트 그리고 스트레칭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짐 볼에는 그 표면에 미끌림 방지를 위하여 돌기를 더 형성하기도 한다. 이는 운동이나 재활치료시 신체가 짐 볼의 표면에 닿게 되는데, 이때 신체가 짐 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짐 볼의 일예가 게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한 원판형에 의한 공기팽창시의 팽창면의 차이로 인한 터짐을 방지토록 한 짐 볼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짐 볼은 운동 부위, 예를 들어서 지면에 짐 볼을 두고 그 위에 등을 대고 누워 허리를 움직임에 따라 짐 볼도 함께 움직이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짐 볼은 특허문헌1의 형상 뿐만 아니라 그 종래기술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球)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짐 볼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미끌림 방지용 돌기가 짐 볼 표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신체 부분이 닿는 부분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구 형태로 이루어진 짐 볼이 쉽게 굴러다니기 때문에 돌기 부분이 항상 위에 있지 않게 되었다.
2) 재활 치료에 쓰이는 경우 이처럼 돌기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몸을 쉽게 가눌 수 없는 환자의 경우 앞이나 옆으로 쓰러져서 또 다른 부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3) 짐 볼의 색상이 원색으로 제작하거나 여러가지 색상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무거운 느낌이 들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08-0003816(공개일 : 2008년 09월 11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짐 볼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와 대응되는 반대쪽에 웨이트를 구비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항상 미리 정해진 방향(예를 들어서, 윗쪽)을 향하게 되어 이용자가 앉거나 누울 때에 쉽게 정해진 위치를 찾아 바로 이용할 수 있게 한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짐 볼 전체를 투명한 재질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짐 볼이 가벼운 느낌을 느끼게 하여 운동이나 재활에 임하고 싶은 충동을 더욱 더 느낄 수 있게 한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웨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짐 볼과 동일한 재질로 그 두께를 두껍게 제작함으로써, 짐 볼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한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용이 편리한 짐 볼은, 탄성 변형되는 구체 형상의 볼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볼몸체에는 신체가 미끌리지 않도록 비끄럼 방지를 위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웨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볼몸체는 투명한 실리콘 또는 고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는 원색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웨이트는 볼몸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용이 편리한 짐 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웨이트에 의해 항상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미리 정해진 방향, 예를 들어서 위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쉽게 이 방지용 돌기 위에 걸터 앉거나 눕는 등 이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마사지 효과를 더불어 얻을수 있다.
2) 재활 치료시와 같이 몸을 지탱하기 힘든 환자와 같은 경우에도 짐 볼이 항상 미리 정해진 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원하는 형태로 놓여진 짐 볼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3) 짐 볼을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상대편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짐 볼이 가벼운 느낌을 주게 하여 누구라도 쉽게 편안하게 짐볼을 가지고 운동이나 재활을 하고픈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된다.
4) 웨이트를 짐 볼과 동일 재질로 제작하면서 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제작함으로써, 웨이트와 짐 볼이 일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짐 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짐 볼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몸체와 웨이트의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짐 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짐 볼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몸체와 웨이트의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짐 볼은, 볼몸체(10)를 포함하고, 특히 볼몸체(10)에는 양측에 각각 미끌림 방지용 돌기(11)와 웨이트(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몸체(10)는 자체적으로 탄성변형되는 재질로 제작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구체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그 형상은 구형 뿐만 아니라 정다면체(정사면체·정육면체·정팔면체·접십이면체 및 정이십면체)의 형태로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구를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상관이 없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볼몸체(10)는 탄성재질로서 그 위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서 탄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몸체(10)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재질 중에서도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투명한 재질에 공기가 주입되어 반대편이 보이는 경우 짐 볼이 가벼운 느낌을 주어 주변 환경을 밝게 해 주는 효과와 함께 쉽게 짐 볼을 가지고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감정은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볼몸체(10)에는 외표면에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며, 이들 돌기(11)는 볼몸체(10)에 신체가 닿는 부분을 예상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11)는 볼몸체(10)의 일측에서 위로 감기면서 반대쪽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볼몸체(10)의 상부에 일정한 크기의 정다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돌기(11)들은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패턴이 없이 불규칙하게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볼몸체(10)에는 웨이트(12)가 형성된다. 웨이트(12)는 상기 복수의 돌기(11)가 미리 정해진 방향, 예를 들어서 복수의 돌기(11)들이 위로 향하도록 그 반대쪽에 형성된다.
이러한 웨이트(12)는 모래주머니와 같은 통상의 웨이트를 이용하여 볼몸체(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트(12)는 볼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여 짐 볼 전체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동일재질을 이용하되, 그 두께를 볼몸체(10)의 두께보다 두껍게 제작함으로써, 웨이트(12)의 기능을 갖게 제작할 수 있게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트(12)는 볼몸체(10)와 다른 색상, 예를 들어서 빨강색과 같은 원색으로 제작함으로써, 짐 볼 전체가 안정적인 느낌을 갖게 하면서 돌기(11)가 위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짐 볼은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항상 위로 향하기 때문에 누구라도 쉽게 짐 볼을 이용하여 운동이나 재활 치료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볼몸체
11 : 돌기
12 : 웨이트

Claims (3)

  1. 탄성 변형되는 구체 형상의 볼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볼몸체(10)에는 신체가 미끌리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및 마사지를 위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1)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웨이트(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이 편리한 짐 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몸체(10)는 투명한 실리콘 또는 고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12)는 원색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이 편리한 짐 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12)는 볼몸체(10)의 두께보다 두껍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이 편리한 짐 볼.
KR2020110009008U 2011-10-10 2011-10-10 이용이 편리한 짐 볼 KR200467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08U KR200467631Y1 (ko) 2011-10-10 2011-10-10 이용이 편리한 짐 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08U KR200467631Y1 (ko) 2011-10-10 2011-10-10 이용이 편리한 짐 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342U KR20130002342U (ko) 2013-04-18
KR200467631Y1 true KR200467631Y1 (ko) 2013-06-24

Family

ID=5139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008U KR200467631Y1 (ko) 2011-10-10 2011-10-10 이용이 편리한 짐 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59Y1 (ko) 2012-09-20 2013-10-02 김은지 다용도 짐볼
KR102026619B1 (ko) 2018-11-05 2019-09-30 (주)멘퍼스 짐볼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152A (ja) * 1991-08-07 1993-02-23 Shima Seiki Mfg Ltd 接合された状態の二重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KR20080000378U (ko) * 2006-10-02 2008-04-07 김재영 짐볼 의자
US20080176726A1 (en) * 2007-01-22 2008-07-24 Richard Lin Fitness ring
KR20080003816U (ko) * 2007-03-07 2008-09-11 이정연 원판형 짐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152A (ja) * 1991-08-07 1993-02-23 Shima Seiki Mfg Ltd 接合された状態の二重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KR20080000378U (ko) * 2006-10-02 2008-04-07 김재영 짐볼 의자
US20080176726A1 (en) * 2007-01-22 2008-07-24 Richard Lin Fitness ring
KR20080003816U (ko) * 2007-03-07 2008-09-11 이정연 원판형 짐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59Y1 (ko) 2012-09-20 2013-10-02 김은지 다용도 짐볼
KR102026619B1 (ko) 2018-11-05 2019-09-30 (주)멘퍼스 짐볼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342U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933B1 (en) Exercise and massage roller
US10307325B1 (en) Cylindrical core exercise and massage roller
JP3178780U (ja) ヨガブロック
EP3453288A1 (en) A multifunctional airbed
KR200467631Y1 (ko) 이용이 편리한 짐 볼
JP2017528284A (ja) マットが付着されたステッパー用足踏板
US7353554B2 (en) Floating water bed
US20150018176A1 (en) Exercise device
US20180243166A1 (en) Proprioceptor Stimulation Material
JP3150330U (ja) 水中運動用補助具
JP2007068784A (ja) 足置きマット
KR200483997Y1 (ko) 짐볼
JP2007160056A (ja) 指圧ボール
CN206979973U (zh) 一种瑜伽球
JP2004194795A (ja) 運動器具
JP3200405U (ja) バランスボール全体を包む袋カバー
CN202951202U (zh) 一种两用按摩健身球
JP7222572B1 (ja) シーソー運動用具
US8827881B2 (en) Exercise device, method of use, and method of treating an individual
JP3220730U (ja) 腰痛改善用ストレッチベンチ
CN202146576U (zh) 爬行训练装置
JP3208649U (ja) 敷マット
CN208274871U (zh) 一种跳跃辅助装置
JP3214498U (ja) 指圧器具
JP3122957U (ja) バランス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