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19B1 - 짐볼 받침대 - Google Patents

짐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19B1
KR102026619B1 KR1020180134192A KR20180134192A KR102026619B1 KR 102026619 B1 KR102026619 B1 KR 102026619B1 KR 1020180134192 A KR1020180134192 A KR 1020180134192A KR 20180134192 A KR20180134192 A KR 20180134192A KR 102026619 B1 KR102026619 B1 KR 102026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ball
lower frame
gy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주)멘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멘퍼스 filed Critical (주)멘퍼스
Priority to KR102018013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19B1/ko
Priority to PCT/KR2019/014632 priority patent/WO20200962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짐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상기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10)을 하부프레임(20)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고정하도록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서 사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서포트(30);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십자(+)형으로 설치되어 하부프레임(20)의 내주면에 각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의 상면에 짐볼을 안착시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짐볼 받침대{Suppor fixture for Gym-ball}
본 발명은 짐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이격되면서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의 하부프레임이 상부프레임보가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직경이 작은 상부프레임에 짐볼을 올려놓고 운동을 할 때 짐볼을 안전하게 받쳐주면서 지지하도록 하여 이용자가 편안하게 운동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는 짐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짐볼(gym ball)은 무릎 위까지 올라오는 큰 공 모양의 도구로, 내부에 공기를 채워넣어 탄력감이 좋으면서 충격에 강하여 환자의 재활 치료나 다이어트 운동, 스트레칭을 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자세교정, 요가활동, 근력운동 등을 하는 도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짐볼은 볼의 탄성을 이용하여 몸의 균형을 잡으면서 스트레칭, 요가, 자세교정 등을 하게 되고, 이때 볼이 굴러가지 않도록 하면서 몸의 균형을 잡고 필요한 운동을 수행하므로 외관상 쉽게 보이지만 이를 이용한 운동량은 상당히 많은 편이어서 근력을 키우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운동기구로 이용되기도 한다.
짐볼은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커서 이를 이용해 각종 운동을 하는 경우, 편평한 바닥에 놓여진 짐볼은 이용자의 운동자세나 동작에 따라 바닥면을 따라 구르면서 또는 회전하면서 계속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가 짐볼을 적절하게 컨트롤하지 못하는 경우나 운동신경이 부족한 이용자는 운동시에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7631호(등록일: 20013.6.18)의 「이용이 편리한 짐볼」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짐볼의 일측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를 형성하고, 그 반대쪽에 웨이트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미끄럼방지 몰기가 항상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이용자가 앉거나 누울 때 정해진 위치를 찾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짐볼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개선된 짐볼이 일측에 웨이트가 구비되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쉽게 이동되지 않아 운동을 하는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하는 점은 인정되지만, 외력에 의해 사방으로 쉽게 움직이는 것은 종래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용자가 짐볼 위에 올라앉거나 누워서 운동을 하는 경우 짐볼 자체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사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초보자나 운동능력이 떨어지는 이용자에게는 여전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회피할 수는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일반 가정 등에서 짐볼을 이용하여 운동을 한 후에 짐볼을 실내 공간의 어느 한쪽에 놔두게 되는데, 이때 짐볼에 조그만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리 저리 굴러다니게 되어 사용 후 짐볼을 관리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631호(등록일: 20013.6.18, 고안의 명칭: 이용이 편리한 짐볼) - 한국 특허등록 제10-1693413호(등록일: 2016.12.30, 발명의 명칭: 짐볼을 이용한 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짐볼의 종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짐볼을 이용한 운동시 짐볼이 임의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운동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짐볼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짐볼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고정하도록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사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서포트;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서 십자(+)형으로 설치되어 하부프레임의 내주면에 각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상부프레임의 상면에 짐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부프레임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부프레임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서포트는 직각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수직변이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내측방향을 향하고 경사변이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서포트는 경사변과 수직변이 만나는 상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고 경사변과 밑변이 만나는 하단 외측부가 하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십자형으로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의 각 끝단부는 상기 수직서포트의 수직변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이리 저리 쉽게 이동되는 짐볼을 한 곳에 안착시켜 놓고 안정된 자세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짐볼이 바닥면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동능력이 떨어지거나 신체적 특성이 미흡한 이용자들의 이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이용할 경우에도 받침대가 파손되지 않고 이동과 보관시에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의 외관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의 일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의 분리상태도,
도 6은 수직서포트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에 짐볼이 안착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에 짐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짐볼커버가 씌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는 두개의 환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상/하부프레임이 동심원상에서 상하로 일정 높이 이격되게 구성되되, 상부 프레임은 짐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짐볼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상부프레임보다 자소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은 바닥면에서 상부프레임을 안정되게 받쳐주어 짐볼을 이용한 운동시 이용자가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탱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이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구형의 짐볼 형상과 동질감을 갖도록 구성되고, 짐볼 안착 후 운동시에 큰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한 받침구조와 좌우 횡하중에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십자(+)형 지지 구조로 이루어져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는 취급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비교적 중량이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외관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일 측면도와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분리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상기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10)을 일정 높이 유지시키면서 상부프레임(10)의 내측으로 짐볼이 일정 깊이 끼워져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직서포트(30)와, 하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십자(+)형으로 설치되어 하부프레임(20)의 내주면에 각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40)로 구성된다.
특히, 윗쪽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10)과 아래쪽의 하부프레임(20)은 동심원상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10)보다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부프레임(20)의 직경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0)을 일정 높이로 유지 고정하는 상기 수직서포트(30)가 상부프레임(10)의 하단 외주연에 결합될 때, 수직서포트(30)의 상단부와 상부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구(15)가 상부프레임(1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구(15)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일정 깊이의 체결홈(12)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짐볼에 걸리거나 마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측면상태 및 일측 수직서포트(3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을 동시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수직서포트(30)는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면서 직선의 수직변(33)이 내측을 향하고 라운드형의 빗변(34)이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직서포트(30)의 상단부에는 오목한 라운드형의 제1결합부(31)가 형성되어 상부프레임(10)의 저면을 받치면서 고정되고, 빗변(34)의 하단부에는 하부프레임(20)의 내주연에 끼워져 체결구로 고정되도록 오목한 라운드형의 제2결합부(3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서포트(30)의 제1결합부(31)는 짐볼이 상부프레임(10)에 안착되어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상부프레임(10)을 받쳐주도록 상부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제2결합부(32)는 상부프레임(1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과 횡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부프레임(10)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을 동시에 지지 및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서포트(30)는 성형이 용이하고 중량이 가볍으면서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합성수지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서포트(30)의 저면에는 수직서포트(30)를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받침구(50)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동심원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부프레임을 일체로 고정하는 수직서포트는 그 폭이 하부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로 제작되어 짐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운동하거나 또는 짐볼커버를 씌워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나 짐볼커버에 수직서포트가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의 사방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서포트(30)는 하부프레임(20) 내측에 위치되어 구형의 짐볼이 상부프레임(10)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 짐볼에 작용하는 외력은 수직하중 내지는 일정한 기울기의 측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서포트(30)에 수직하중이나 측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그 하단부가 하부프레임(20)의 내측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밀려날 수 없는 구조여서 사방 어느쪽에서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상부프레임(1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0)과 수직서포트(30)를 통해 최종적으로 하중을 받는 하부프레임(20)은 그 내측에 십자형의 지지대(4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40)의 각 끝단부는 하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수직서포트(30)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어 하부프레임(20)의 변형 방지와 수직서포트(30)의 변형과 훼손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분리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수직서포트(30)의 후방 사시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서포트(30)는 상호 대칭되게 네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수직변(33)이 상호 마주보도록 환형의 상/하부프레임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라운드형의 경사변(34)이 상/하부프레임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짐볼에서 하향으로 작용하는 수직하중과 측면에서 작용하는 횡하중에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두 개의 지지대(40)는 그 중앙부가 직각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체결구(도시 생략)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각 지지대(40)의 끝단부가 네 개의 수직서포트(30) 내측단에 끼움 결합되어 체결구(도시 생략)로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서포트(30)의 수직변(33)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지지대 체결부(35)가 형성되어 각 지지대(40)의 끝단부가 일정 깊이 삽입된 후에 하부프레임(20)의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체결되는 체결구(도시생략)에 의해 수직서포트(30)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서포트(30)의 전후면에는 격자모양의 리브(36)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강하고, 상부프레임(10)에서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에 짐볼(B)이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짐볼 받침대에 짐볼이 안착된 상태에서 짐볼과 짐볼 받침대를 짐볼커버로 동시에 감싼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짐볼 받침대(100)의 상부프레임 (10) 위로 짐볼(B)이 안착되면, 짐볼(B)의 하단 일부가 상부받침대(1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짐볼(B)이 짐볼 받침대(100)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짐볼을 이용한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동시에 사용자가 짐볼을 누르거나 기대는 경우, 짐볼(B)을 받쳐주는 상부프레임(10)보다 하부프레임(20)이 더 큰 외경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짐볼에 하중이 가하더라도 짐볼(B)이 짐볼 받침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정된 짐볼을 이용하여 편안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짐볼과 짐볼받침대를 동시에 감싸는 짐볼커버(C)를 씌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짐볼의 움직임을 더욱 제한할 수 있어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짐볼과 짐볼 받침대를 동시에 이동 및 취급할 수 있어 이용과 관리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10 : 상부프레임 12 : 체결홈
15 : 체결구
20 : 하부프레임 30 : 수직서포트
31 : 제1결합부 32 : 제2결합부
33 : 수직변 34 : 경사변
35 : 지지대 체결부 36 : 리브
40 : 지지대 50 : 받침구
100 : 짐볼 받침대
B : 짐볼 C : 짐볼커버

Claims (3)

  1.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상기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10)을 하부프레임(20)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고정하도록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서 사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서포트(30);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십자(+)형으로 설치되어 하부프레임(20)의 내주면에 각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의 상면에 짐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볼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부프레임(10)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서포트(30)는 직각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수직변(33)이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내측방향을 향하고 경사변(34)이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볼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서포트(30)는 경사변과 수직변이 만나는 상단부가 상부프레임(10)의 저면에 결합되고 경사변과 밑변이 만나는 하단 외측부가 하부프레임(2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십자형으로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40)의 각 끝단부는 상기 수직서포트(30)의 수직변(33)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볼 받침대.
KR1020180134192A 2018-11-05 2018-11-05 짐볼 받침대 KR10202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92A KR102026619B1 (ko) 2018-11-05 2018-11-05 짐볼 받침대
PCT/KR2019/014632 WO2020096276A1 (ko) 2018-11-05 2019-10-31 짐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92A KR102026619B1 (ko) 2018-11-05 2018-11-05 짐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19B1 true KR102026619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192A KR102026619B1 (ko) 2018-11-05 2018-11-05 짐볼 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6619B1 (ko)
WO (1) WO20200962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76A1 (ko) *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멘퍼스 짐볼 받침대
WO2021112413A1 (ko) * 2019-12-03 2021-06-10 (주)멘퍼스 피트니스 짐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1249A1 (de) * 2021-02-10 2022-08-18 Menger Joern Gymnastikballhochlagerungstrainingsvorrichtungsset zum trainieren der rückenstreckmuskulatur sowie verwendu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5626A1 (en) * 2003-05-22 2004-11-25 Acher Raider R. Exercise device
US20090325770A1 (en) * 2008-06-26 2009-12-31 Robert Joseph Baschnagel Exercise ball and similar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US20110124476A1 (en) * 2009-11-24 2011-05-26 Terry Reed Holley Whole body exercise apparatus for use with elastic spherical ball
KR200467631Y1 (ko) 2011-10-10 2013-06-24 하성수 이용이 편리한 짐 볼
US20140210249A1 (en) * 2013-01-31 2014-07-31 Barnett Engineering Ltd Chair
KR200474263Y1 (ko) * 2013-03-18 2014-09-03 최광준 짐볼 행거
KR101693413B1 (ko) 2015-02-03 2017-01-05 백승억 짐볼을 이용한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19B1 (ko) * 2018-11-05 2019-09-30 (주)멘퍼스 짐볼 받침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5626A1 (en) * 2003-05-22 2004-11-25 Acher Raider R. Exercise device
US20090325770A1 (en) * 2008-06-26 2009-12-31 Robert Joseph Baschnagel Exercise ball and similar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US20110124476A1 (en) * 2009-11-24 2011-05-26 Terry Reed Holley Whole body exercise apparatus for use with elastic spherical ball
KR200467631Y1 (ko) 2011-10-10 2013-06-24 하성수 이용이 편리한 짐 볼
US20140210249A1 (en) * 2013-01-31 2014-07-31 Barnett Engineering Ltd Chair
KR200474263Y1 (ko) * 2013-03-18 2014-09-03 최광준 짐볼 행거
KR101693413B1 (ko) 2015-02-03 2017-01-05 백승억 짐볼을 이용한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76A1 (ko) *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멘퍼스 짐볼 받침대
WO2021112413A1 (ko) * 2019-12-03 2021-06-10 (주)멘퍼스 피트니스 짐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76A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619B1 (ko) 짐볼 받침대
US20150360077A1 (en)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US8827879B2 (en)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US5656000A (en) Exercise apparatus
CA2298883C (en) Abdominal exerciser device
US20110224059A1 (en) Stability exercise machine
KR101086029B1 (ko) 스트레칭기구
US9498664B2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20140329651A1 (en) Total Body Exercise Device
US6669611B2 (en) Abdominal exerciser device
US20160074696A1 (en) Exercise Apparatus System
US20150057138A1 (en) Core balance physical training platform
US20190329094A1 (en) Training device for performing balance, meditation and/or yoga exercises
KR101935307B1 (ko) 짐볼 운동기구
US7060015B2 (en) Exercise device
US20150148205A1 (en) Foam exercise bench
KR102016857B1 (ko) 균형운동기구
US20060025291A1 (en) Exercise apparatus
US20080164745A1 (en) Body support that promotes upright posture
JP3177291U (ja) 腹部トレーニング器
JP2017184995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437781B1 (ko) 책상에 부설된 발받침대
EP3570709B1 (en) Relief plate or stand on which a person may stand, in particular in a work situation
KR101982318B1 (ko)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WO2016205229A1 (en) Exercise boar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