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628Y1 -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628Y1
KR200467628Y1 KR2020120000645U KR20120000645U KR200467628Y1 KR 200467628 Y1 KR200467628 Y1 KR 200467628Y1 KR 2020120000645 U KR2020120000645 U KR 2020120000645U KR 20120000645 U KR20120000645 U KR 20120000645U KR 200467628 Y1 KR200467628 Y1 KR 200467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body portion
reflector
sock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2020120000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벌브를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하는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은 벌브의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장공 형태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벌브, 상기 벌브가 삽입되는 소켓, 상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 및 상기 소켓을 상기 반사경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과,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장공 형태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반사경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Bracket for fixing bulb and head lamp for vehicles using the bracket}
본 고안은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브를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하여 장기적으로 벌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벌브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야간 주행 시 안전한 시계 확보와 주위 차량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외부에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헤드 램프는 후드와 범퍼 사이의 라디에이터 그릴 양측에 위치하여 차체에 고정된 전조등을 지칭하며,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함과 동시에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위치를 인식시킨다.
헤드 램프는 통상적으로 광원체인 벌브, 반사경 또는 내측에 반사경을 가지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데, 벌브를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다. 종래의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한 벌브 및 반사경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10)은 배면에 복수개의 탄성 받침부(11)를 포함하고, 나사가 벌브 소켓 수용부(12)로부터 돌출된 플랜지(13)에 형성된 원형의 홀을 통과하여 반사경(30)의 배면에 삽입된다.
벌브 소켓(22)이 반사경(30)의 배면에 고정될 때, 반사경(30)의 배면과 벌브 소켓(22)의 정면은 벌브 소켓(22)에 형성된 레퍼런스 포인트(23)를 중심으로 접한다. 즉, 고정용 브라켓(10)의 배면에 형성된 탄성 받침부(11)를 통해 벌브 소켓(22)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레퍼런스 포인트(23)를 통해 반사경에 전달된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10)의 탄성 받침부(11)가 형성하는 반경이 상기 레퍼런스 포인트(23)의 반경보다 큰 바, 종래에는 복수개 형성된 상기 탄성 받침부(11)에 의해 벌브 소켓(22)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 소켓(22)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받침부(11)에 의해 벌브 소켓(22)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동일해야 하나,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는 없기 때문에 공차 범위 내에서는 항상 탄성력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모멘트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벌브 소켓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고,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는 반사경 배면 또한 높이가 동일해야 벌브 소켓에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제품에는 공차가 필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모멘트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홀이 원형이기 때문에 제품이 큰 공차를 갖고 형성되는 경우 나사가 상기 홀과 반사경 배면의 홈에 동시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벌브를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 시 제품 공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 및 힘의 불균형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는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 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은 벌브의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장공 형태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벌브, 상기 벌브가 삽입되는 소켓, 상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 및 상기 소켓을 상기 반사경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과,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장공 형태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반사경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벌브 소켓과 접하는 브라켓의 지지점을 하나로 축소하여 지지력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벌브 소켓에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장공의 슬롯을 통해 제품 공차에 의해 상기 벌브 소켓의 일측에 여분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벌브 소켓에 벌브를 고정 시 필요치 않은 힘을 작용하지 않게 하여 본 발명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통해 벌브 및 반사경, 또는 벌브 및 벌브 하우징 조립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벌브 및 반사경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벌브 소켓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벌브 및 반사경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벌브 및 반사경 조립체의 배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벌브 소켓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벌브 및 반사경 조립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구성 및 동작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은 몸체부(100), 지지 홈(110) 및 장공의 홀(122)이 형성된 체결부(120)를 포함한다.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몸체부(100)는 벌브(21)의 소켓(22)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 소켓(22)의 배면 및 네 측면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벌브 소켓(22)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바 몸체부(100) 또한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벌브 소켓(22)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몸체부(100) 또한 그에 따라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판상이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20)는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몸체부(1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부(120)에는 장공의 홀(122)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통해 벌브(21)가 고정되는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대칭되게 나사 홈(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부(120)는 상기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의 나사 홈(31)이 형성된 부분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 홈(31)에 대응되는 배치를 가지며 몸체부(10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사가 체결부(120)에 형성된 장공의 홀(122)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 홈(31)에 삽입됨으로써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벌브(21)를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부(120)에 형성된 홀(122)은 장공을 이룬다. 종래 고정용 브라켓에서는 나사가 통과하는 홀이 원형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제품 제작 시 제품 공차보다 큰 오차가 생기는 경우 나사가 상기 홀을 통과하여 나사 홈(31)에 삽입되지 못하거나, 삽입되는 경우라도 브라켓에 좌우로 장력이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나사가 통과하는 체결부(120)에 장공의 홀을 형성하여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홀에 여유를 두어 제품의 공차 또는 제작상 오차에 의해 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결과 제품 제작 상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큰 공차에 관계 없이 벌브(21)를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는 몸체부(100)의 측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몸체부(100)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장공의 홀(122)이 형성된 체결부(120)가 몸체부(100) 측면과 90˚를 초과하는 둔각을 이룸으로써, 체결부(120)가 몸체부(1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경우 각 체결부(120)를 통과하여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과 결합하는 나사의 결합력이 달라 각 체결부(120)에 가해지는 힘이 다르더라도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좌우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제품 공차 또는 제품 제작 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서 상기 체결부(120)와 접하면서 나사 홈(31)이 형성되는 부분의 높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120)가 몸체부(100) 측면과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서로 다른 높이의 면과도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홀(122)이 장공을 이루므로 상기 나사 홈(31)에 삽입되는 나사가 상기 장공의 홀(122)을 여유 있게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쪽 체결부(120)에 가해지는 나사의 체결력이 다르더라도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벌브 소켓(22)에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고, 이에 따라 벌브(21)가 기울어지거나 벌브 소켓(22)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20)가 몸체부(100) 측면과 수직 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대칭으로 형성된 체결부(120) 중 한쪽을 먼저 체결 시 상기 체결된 체결부(120)에 가해지는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상기 체결부(120) 쪽으로 기울어 짐으로써 반대편의 체결부(120)가 공중에 뜨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반대편의 체결부(120)를 손으로 누른 채 반대편을 체결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120)가 몸체부(100) 측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우, 한쪽을 먼저 체결 시 나사의 체결력과 체결부(120)의 각도로 인해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반대편으로 기울게 된다. 그 결과, 반대편 체결부(120)는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더욱 밀착되어, 사용자는 반대편 체결부(120)에 나사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지지 홈(110)은 본 실시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 몸체부(10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에 벌브 소켓(22)을 수용하여 벌브(21)를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하는 경우 벌브 소켓(22)의 배면과 접한다. 일 예로, 지지 홈(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구형일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구형 홈의 최 내측을 통해 벌브 소켓(22)과 1점 접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 홈(110)과 벌브 소켓(22)의 접촉점은 벌브(21)가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상기 벌브(21)를 뒤에서 미는 힘의 작용점이 됨으로써, 지지 홈(110)은 종래의 고정용 브라켓의 배면에 형성되어 벌브 소켓(22) 배면을 지지하던 탄성 받침부를 대신한다.
이 때, 상기 지지 홈(110)은 벌브 소켓(22)의 정면에서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점인 레퍼런스 포인트(23)가 형성하는 반경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홈(110)은 벌브 고정용 브라켓의 몸체부(100) 배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복수의 탄성 받침부를 포함하는 고정용 브라켓의 경우, 벌브 소켓(22)을 미는 힘의 작용점이 여러 개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제품 제작 상 오차 또는 큰 공차가 발생하거나 브라켓 양쪽에 형성된 체결부(120)에 가해지는 나사의 체결력이 달라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작용점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 소켓(22)에 모멘트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지지 홈(110)과 벌브 소켓(22)이 1점 접함을 이루기 때문에 벌브 고정용 브라켓으로부터 벌브 소켓(22)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은 하나뿐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하나의 작용점이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으로부터 벌브 소켓(22)의 정면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레퍼런스 포인트(23)) 내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품 제작상 오차 또는 큰 공차가 발생하거나 양쪽 체결부(120)에 가해지는 나사의 체결력이 다르더라도 벌브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벌브 소켓(22) 배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포함하는 몸체부(200)는 디귿(ㄷ) 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벌브 고정용 브라켓 또한 단일의 지지 홈(21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00)로부터 돌출 형성된 체결부(220) 및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장공의 장공의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부(200)를 통해 더 컴팩트한 벌브 고정용 브라켓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이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하는 벌브(21)는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21)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에 수용되는 벌브 소켓(22)은 HID 벌브(21)의 이그나이터(igniter, 점화기)일 수 있다. HID 벌브(21)의 이그나이터는 HID 최초 점화 시 벌브(21)에 인가되는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시켜 최초 스파크를 튀기는 작용을 하며, 통상적으로 벌브 소켓(22)처럼 벌브(21) 후방에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HID 벌브(21)의 이그나이터는 벌브(21) 점등 시 필수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이그나이터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벌브(21)가 점등되지 않고, 이러한 고장이 HID 벌브(21)를 포함한 램프 불량의 주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의 벌브 고정용 브라켓은 벌브 소켓(22), 본 실시예에서는 HID 벌브(21)의 이그나이터, 에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이그나이터가 반사경(30) 또는 램프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이그나이터의 불량으로 인해 HID 벌브(21)를 포함한 램프가 고장이 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벌브(21), 상기 벌브가 삽입되는 소켓(22), 상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30) 및 상기 벌브(21)를 상기 반사경(30)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인 벌브(21)는 HID 벌브(21)일 수 있으며, 반사경(30)은 광원인 벌브(21)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 시켜 빛을 일정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용 램프는 크게 프로젝터 타입 광학계와 리플렉터 타입 광학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프로젝터 타입 광학계에서는 반사된 빛이 한 곳으로 모여 렌즈에 입사할 수 있도록 반사경(30)이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타원의 두 초점 중 어느 한 초점에 벌브(21)가 위치하여 빛을 조사하고, 이렇게 조사된 빛이 반사경(30) 내측 곡면에 의하여 반사된다. 그 후, 상기 반사된 빛은 상기 타원의 다른 초점에 모이게 되고,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광학계 외부로 출사된다. 그에 반해, 리플렉터 타입 광학계에서는 반사된 빛이 상기 광학계의 외부로 평행하게 출사되도록 반사경(30)이 파라볼라형일 수 있다. 반사경(30)의 내측 곡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곡면에는 알루미늄이 증착된다.
램프가 프로젝터 타입 광학계인 경우엔 상기 반사된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광학계 외부로 출사되지만, 리플렉터 타입 광학계인 경우에는 빛이 반사된 후 바로 광학계 외부로 출사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가 프로젝터 타입 광학계를 이루는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반사경(30) 전방에 구비된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브(21)는 상기 벌브(21)가 삽입되는 소켓(22)을 수용하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반사경(30)에 고정되는데, 상기 브라켓의 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이 벌브(21)의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110),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사경(30)에 밀착되는 체결부(120), 및 상기 체결부(120)에 형성되는 장공의 홀(12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브라켓의 체결부(120)는 몸체부(100)의 측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홈(110)은 상기 몸체부(100) 배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종래의 고정용 브라켓
21: 벌브 22: 벌브 소켓
30: 반사경 31: 나사 홈
100: 몸체부 110: 지지 홈
120: 체결부 122: 장공의 홀

Claims (8)

  1. 벌브의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장공 형태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반사경 또는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벌브 고정용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는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이고, 상기 벌브 소켓은 이그나이터인 벌브 고정용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디귿(ㄷ) 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상 구조를 갖는 벌브 고정용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벌브 고정용 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은 상기 몸체부 배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벌브 고정용 브라켓.
  6. 빛을 조사하는 벌브;
    상기 벌브가 삽입되는 소켓;
    상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 및
    상기 소켓을 상기 반사경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과,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장공 형태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반사경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차량용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 홈은 상기 몸체부 배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2020120000645U 2012-01-27 2012-01-27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KR200467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45U KR200467628Y1 (ko) 2012-01-27 2012-01-27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45U KR200467628Y1 (ko) 2012-01-27 2012-01-27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628Y1 true KR200467628Y1 (ko) 2013-07-01

Family

ID=5139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645U KR200467628Y1 (ko) 2012-01-27 2012-01-27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47B1 (ko) * 2013-12-18 201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CN108674299A (zh) * 2018-05-21 2018-10-19 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车辆大灯的安装支架以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822B1 (ko) 1997-04-28 1999-08-02 류정열 자동차용 램프의 벌브 소켓
KR20070048024A (ko) * 2005-11-03 2007-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포그램프 벌브홀더
KR20090072748A (ko) * 2007-12-28 2009-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홀더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822B1 (ko) 1997-04-28 1999-08-02 류정열 자동차용 램프의 벌브 소켓
KR20070048024A (ko) * 2005-11-03 2007-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포그램프 벌브홀더
KR20090072748A (ko) * 2007-12-28 2009-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홀더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47B1 (ko) * 2013-12-18 201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US9416934B2 (en) 2013-12-18 2016-08-16 Hyundai Motor Company Light source module of lamp for vehicle
CN108674299A (zh) * 2018-05-21 2018-10-19 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车辆大灯的安装支架以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0026B (zh) 车辆用灯具
EP3040601B1 (en) Light emitting diode vehicle headlight
US9182104B2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module
JP2003178612A (ja) 交換可能な光学レンズを備えた交換可能なled電球
PL1610057T3 (pl) Moduł oświetlający dla samochodu i reflektor zawierający taki moduł
JP4677971B2 (ja) 車両用灯具
JP2000156106A (ja) 車両用前照灯
US7527404B2 (en) Lighting and/or signall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JP6791684B2 (ja) 車輌用灯具
KR200467628Y1 (ko) 벌브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JP2009158386A (ja) 車両用前照灯
EP1967787B1 (en) Projector type lamp
PL1491816T3 (pl) Reflektor dla pojazdu samochodowego zawierający odbłyśnik i optyczny element odchylający
JP2007005090A (ja) 車両用灯具
EP3677829B1 (en) Primary lens, light-emitting assembly, light-emitting system, and headlight
JP2010080072A (ja) 車両用灯具
JP6869811B2 (ja) 自動車両の照明および/または合図装置
CN220688846U (zh) 近光灯模组及车辆
JP5035564B2 (ja) 車両用灯具
JP2010080071A (ja) 車両用灯具
KR20160077900A (ko) 차량용 램프
US7314299B2 (en) Vehicle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lamp
CN210511468U (zh) 透光镜及汽车灯具
CN219140587U (zh) 近光灯用投射组件、近光灯和车辆
CN219283147U (zh) 机动车辆灯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