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62Y1 - 덕트용 환기구 - Google Patents

덕트용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362Y1
KR200466362Y1 KR2020110007236U KR20110007236U KR200466362Y1 KR 200466362 Y1 KR200466362 Y1 KR 200466362Y1 KR 2020110007236 U KR2020110007236 U KR 2020110007236U KR 20110007236 U KR20110007236 U KR 20110007236U KR 200466362 Y1 KR200466362 Y1 KR 200466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induction edge
lower cylinder
indu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138U (ko
Inventor
박태업
Original Assignee
박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업 filed Critical 박태업
Priority to KR2020110007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6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류안내수단을 보강하며 개구간격을 유지시켜 원활하게 기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덕트용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고, 이 사다리꼴의 상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원형 차단판을 이루고, 하부는 유도용 연부를 이루고, 유도용 연부의 내측은 개방단을 이루는 상부커버(10)와, 상기 유도용 연부 보다 직경이 작게 대응하고, 상기 상부커버와의 유도용 연부와의 사이에 개구간격(a)을 두고 연결되는 하부통체(20)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 통체사이의 간격(a)사이에 장볼트가 관통되도록 관상체(슬리브)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관상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면을 형성하여 기류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30)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사이에 개재되는 망판(50)과,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를 체결하기 위한 장볼트, 너트로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서 되며,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덕트용 환기구이다.

Description

덕트용 환기구{Vent cap for using duct}
본 고안은 종래 환기구조를 보완하여 기류안내수단(이하,가이드부재라함)에 더하여 개구간격을 유지시켜 원활하게 기류의 이동을 분배가능하게 하며, 특히,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게 된 덕트용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려진 덕트용 환기구 예는 도 1a,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방용 덕트공에 여러 모양으로 설치되어 사용되어 왔다.
전자의 경우 실내기류가 외부 안내되는 기류의 흐름에 따라 외부로 배기되는 환기구로서 실내에 설치가능한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단지 덕트공의 전방을 간격을 두고 차단판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덕트용 환기수단들은 대부분 외부 기류의 기류흐름에 의하여 실내기류가 배기되는 구조이지만, 비가 내리는 경우 그 차단면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황사 발생시 이물질이 쉽게 실내에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날파리등의 이물질 유입에도 취약했다.
한편, 종래 이러한 환기구의 경우 대부분 덕트공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차단판이 막힌 구조를 이루므로 외부기류의 이동력에 대응하는 실내기류의 배기력이 약하여 개선된 실내,외 기류 이동을 안내하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종래 덕트용 환기구의 플랜지단부를 컬링 처리하여 외부에서의 빗물(낙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울러 본 고안은 많은 량의 실내기류를 배기할 때에는 배기덕트방향에 맞추어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기류안내수단을 보강함과 아울러 측면 개구간격을 형성하여 원활하게 기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덕트용 환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덕트용 환기구는,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고, 이 사다리꼴의 상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원형 차단판을 이루고, 하부는 유도용 연부로서 수평 연장되어 링형을 이루고, 유도용 연부의 내측은 개방단을 이루며, 유도용 연부의 단부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컬링처리하여서 된 상부커버와, 상기 유도용 연부 보다 직경이 작게 대응하는 유도용 연부를 이루되, 컬링 처리된 컬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와 유도용 연부와의 사이에 개구간격(a)을 두고 연결되는 하부통체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사이에 개재되는 망판과,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부커버의 유도용 연부를 관통하는 장볼트, 상기 하부통체의 유도용 연부 하방에서 상기 장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덕트용 환기구로서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덕트용 환기구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 통체사이의 간격(a)사이에 장볼트가 관통되도록 관상체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관상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기류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종래 플랜지단부를 컬링 처리하여 외부에서의 빗물(낙수)의 유입과 역풍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많은 량의 실내기류를 배기할 수 있도록 하며,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1b는 종래 알려진 덕트용 환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덕트용 횐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는 크게 상부커버(10)와, 하부통체(20)와, 가이드부재(30),체결수단(40),망판(5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부커버(10)는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면(14)으로 이루어져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고, 이 사다리꼴의 상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원형 차단판(15)을 이루고, 하부는 유도용 연부(12)로서 수평 연장되어 링형을 이루고, 유도용 연부(12)의 내측은 개방단을 이루며, 유도용 연부(12)의 단부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컬링부(11)로서 컬링처리하여 후술하는 하부통체(20)와 간격(a)을 두고 결합된다.
하부통체(20)는 상기 유도용 연부(12) 보다 직경이 작게 대응하는 유도용 연부(22)를 이루되, 그 단부를 컬링 처리하여 컬링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커버(10)와의 사이에 개구간격(a)을 두고 연결되는 원형 통체(25)와, 이 통체(25)에서 컬링부(21)사이에 상광하협의 경사면(24)을 360°일주하여 위가 넓은 경사진 원통형을 형성하여서 된다.
가이드부재(30)는 관공(31a)을 형성한 관상체(31)와, 이 관상체(31)에서 판상으로 짧게 연장된 가이드면(32)을 형성하여서 되며, 유도용 연부(12)의 체결공(13)하부에서 유도용 연부(22)의 체결공(23)사이에 위치하되 후술하는 장볼트(41)가 유도용 연부(12)에서 끼워져 가이드부재(30)의 관공(31a)을 통하여 관상체(31)를 유도용 연부(22)하방에서 너트(42)로 체결 고정하여 상부커버(10)와 하부통체(20)사이에 가이드부재(30)을 사이에 두고 조립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30)의 조립으로 가이드부재(30)의 길이만큼 간격(a)이 발생되어 외부 기류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체결수단(40)은 상부커버(10)와 하부통체(20)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부커버(10)의 유도용 연부(12)를 관통하는 장볼트(41), 상기 하부통체(20)의 유도용 연부(22) 하방에서 상기 장볼트(41)에 체결되는 너트(42)로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덕트용 횐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덕트용 환기구는 크게 상부커버(10a)와, 하부통체(20a)와, 가이드부재(30),체결수단(40),여과수단(그릴,5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커버(10a)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이루어 360°일주하는 원통형을 이루되 경사면(14)을 형성한 상협하광의 중간부와, 이 중간부의 하부에서 수평연장된 링형의 유도용 연부(12)와, 중간부의 상방에서 내측으로 만곡 요입된 고깔형 차단판(15)을 형성하여서 된다.
하부통체(20a)는 상기 유도용 연부(12) 보다 작은 직경으로 대응하며,상기 유도용 연부(12)에 간격(a)을 두고 형성되는 유도용 연부(22)와, 원형 통체(25)와, 이 통체(25)에서 유도용 연부(22)사이에 상광하협의 경사면(24)을 360°일주하여 위가 넓은 경사진 원통형을 형성하여서 된다.
가이드부재(30)은 속이 빈 중공의 관상체(31)와, 이 관상체(31)에서 판상으로 짧게 연장된 가이드면(32)을 형성하여서 되며, 유도용 연부(12)의 체결공(13)하부에서 유도용 연부(22)의 체결공(23)사이에 가이드부재(30)의 관상체(31)를 위치시키되 장볼트(41)가 유도용 연부(12)에서 끼워져 관상체(31)의 관공(31a)을 거쳐 유도용 연부(22)하방에서 너트(42)로 체결 고정되어 상부커버(10a)와 하부통체(20a)사이에 가이드부재(30)을 사이에 끼이게 하여 조립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30)의 조립으로 가이드부재(30)의 길이만큼 간격(a)이 발생되어 외부 기류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체결수단(40)은 상기 상부커버(10a)와 하부통체(20a)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 장볼트머리가 형성된 장볼트(41)와,너트(42)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용 연부(12)에 형성된 체결공(도시생략)을 지나 유도용 연부(22)의 체결공(도시생략)을 관통한 뒤 너트(42)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망판(50)은 작은 미세공을 형성하여 공기는 통과되지만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상부커버(10a)와 하부통체(20a)사이에 개재되어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망판(50)은 먼지를 걸러내는 여과수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커버(10a)와 하부통체(20a)사이에 개재된다.
10,10a: 상부커버, 11: 컬링부, 12: 유도용 연부, 13:체결공, 14:경사면, 15: 차단판, 20,20a:하부통체, 21: 컬링부, 22: 유도용 연부, 23:체결공, 24:경사면, 25:통체, 26:컬링단부, 30:가이드부재, 40:체결수단, 41:장볼트, 42:너트, 50:여과수단,

Claims (2)

  1. 덕트용 환기구에 있어서,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고, 이 사다리꼴의 상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원형 차단판을 이루고, 하부는 유도용 연부로서 수평 연장되어 링형을 이루고, 유도용 연부의 내측은 개방단을 이루며, 유도용 연부의 단부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컬링처리하여서 된 상부커버;
    상기 유도용 연부 보다 직경이 작게 대응하는 유도용 연부를 이루되, 컬링 처리된 컬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와 유도용 연부와의 사이에 개구간격(a)을 두고 연결되는 하부통체;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사이에 개재되는 망판;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부커버의 유도용 연부를 관통하는 장볼트, 상기 하부통체의 유도용 연부 하방에서 상기 장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덕트용 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 통체사이의 간격(a)사이에 장볼트가 관통되도록 관상체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관상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기류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덕트용 환기구.
KR2020110007236U 2011-08-10 2011-08-10 덕트용 환기구 KR200466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36U KR200466362Y1 (ko) 2011-08-10 2011-08-10 덕트용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36U KR200466362Y1 (ko) 2011-08-10 2011-08-10 덕트용 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38U KR20130001138U (ko) 2013-02-20
KR200466362Y1 true KR200466362Y1 (ko) 2013-04-12

Family

ID=5138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236U KR200466362Y1 (ko) 2011-08-10 2011-08-10 덕트용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28B1 (ko) 2013-12-18 2014-04-08 주식회사 구펜 원가절감 및 시공 작업성이 개선된 원터치 조립식 후드캡
WO2019208899A1 (ko) * 2018-04-27 2019-10-31 Park Tai Up 무동력 환기구
KR20210004269A (ko) 2019-07-04 2021-01-13 최창호 역풍 및 빗물 유입 방지 환기구
KR20240078822A (ko) 2022-11-28 2024-06-04 이영자 원통형 무동력 환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920B1 (ko) * 2013-01-17 2014-11-10 박태업 덕트용 환기구
KR101865613B1 (ko) * 2016-06-17 2018-06-11 박태업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CN106352515B (zh) * 2016-08-12 2021-1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458U (ko) * 1996-10-14 1998-07-15 박명숙 수밀용 물받이 이음쇠
KR20060000087U (ko) * 2006-11-14 2006-12-05 박태업 고정식 환기구의 가이드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458U (ko) * 1996-10-14 1998-07-15 박명숙 수밀용 물받이 이음쇠
KR20060000087U (ko) * 2006-11-14 2006-12-05 박태업 고정식 환기구의 가이드부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28B1 (ko) 2013-12-18 2014-04-08 주식회사 구펜 원가절감 및 시공 작업성이 개선된 원터치 조립식 후드캡
WO2019208899A1 (ko) * 2018-04-27 2019-10-31 Park Tai Up 무동력 환기구
JP2021519916A (ja) * 2018-04-27 2021-08-12 オプ パク,テ 無動力換気具
JP7144597B2 (ja) 2018-04-27 2022-09-29 オプ パク,テ 無動力換気具
US11473793B2 (en) 2018-04-27 2022-10-18 Tai Up Park Non-powered vent
KR20210004269A (ko) 2019-07-04 2021-01-13 최창호 역풍 및 빗물 유입 방지 환기구
KR20240078822A (ko) 2022-11-28 2024-06-04 이영자 원통형 무동력 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38U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362Y1 (ko) 덕트용 환기구
KR101543603B1 (ko) 방수형 환기구캡
JP2021519916A (ja) 無動力換気具
KR101528028B1 (ko) 환기용 외부 후드캡
US20140170962A1 (en) Bird-proof exhaust vent cover appartus and methods
JP5747152B2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101865613B1 (ko)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KR102588279B1 (ko)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TWI564518B (zh) ventilator
JP2008089264A (ja) 外壁端末換気口
TWI571604B (zh) 氣流交換裝置及其阻隔件
JP2007225220A (ja) 外壁端末換気口
WO2011096186A1 (ja) 外壁端末換気口
JP3198014U (ja) 通気性戸部材
JP5515801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1233680B1 (ko) 고효율 공조 친환경 현관문
KR102187844B1 (ko) 후드캡 조립체
JP5640683B2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102012320B1 (ko)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KR101458920B1 (ko) 덕트용 환기구
KR102064082B1 (ko) 에어 커버
KR101558744B1 (ko) 소음을 저감한 머쉬룸 타입 배기관
KR102669481B1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KR102605928B1 (ko) 환기구 장치
CN203258626U (zh) 具隐藏式风扇的灯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