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082B1 - 에어 커버 - Google Patents

에어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082B1
KR102064082B1 KR1020180089127A KR20180089127A KR102064082B1 KR 102064082 B1 KR102064082 B1 KR 102064082B1 KR 1020180089127 A KR1020180089127 A KR 1020180089127A KR 20180089127 A KR20180089127 A KR 20180089127A KR 102064082 B1 KR102064082 B1 KR 10206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ate
sliding plate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18008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판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개폐 판과 밀착하거나 떨어지면서 공기 흐름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에어 커버가 개폐 기능만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한 만큼의 유량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누구든지 쉽게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 판이 개폐 판에 요철 형태로 결합하면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거나 차단할 수 있게 개폐하므로, 슬라이딩 판과 개폐 판의 밀착과 더불어 요철 결합을 통해 개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 기능을 하는 방충 판과 유체 통과를 제어하는 슬라이딩 판을 분리 구성하므로, 방충 판을 통해 이물이나 날벌레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커버{AIR COVER}
본 발명은 에어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판이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개폐 판과 맞닿거나 떨어지면서 에어 흐름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판이 회전하지 않아 개폐 정도가 변하지 않고 정확한 개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 판이 개폐 판에 요철 형태로 끼워져서 유체 흐름을 차단하므로, 유체 개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내외부의 공기 순환을 통해 청정상태를 유지하고, 인체에 해로운 먼지 등을 제거하려고 덕트를 많이 설치한다. 이러한 덕트는 건물 전체에 구성하기도 하고, 때에 따라 필요한 곳, 예를 들어서 주방이나 화장실 등 냄새가 많이 나거나 불 등을 사용하여 쉽게 주변 공기가 오염될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한다.
특히, 이처럼 건축물에 장착한 덕트는 통상 벽을 통해 건축물 밖으로 내기를 배출하거나, 외기를 건축물 안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에, 건축물 밖으로 돌출한 덕트 끝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덕트(에어) 커버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466362호
기류안내수단을 보강하며 개구 간격을 유지시켜 원활하게 기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덕트용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고, 이 사다리꼴의 상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원형 차단판을 이루고, 하부는 유도용 연부를 이루고, 유도용 연부의 내측은 개방단을 이루는 상부커버(10)와, 상기 유도용 연부보다 지름이 작게 대응하고, 상기 상부커버와의 유도용 연부와의 사이에 개구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하부 통체와,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통체 사이의 간격 사이에 장볼트가 관통되도록 관상체(슬리브)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관상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면을 형성하여 기류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통체 사이에 개재되는 망판과,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 통체를 체결하기 위한 장볼트, 너트로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서 되며,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취사시에 발생하는 그을음이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덕트용 환기구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디자인 제0727106호
재질은 합성수지로, 주거용 건물의 환기 또는 배기를 위해 건물 내부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분기덕트용 커버로서, 본원 디자인을 분기 덕트에 형성된 원형 연결부에 체결하여 분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기류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54528호
급기 덕트의 내부 둘레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 높이를 자유로이 조정함으로써, 공기의 공급 길이 및 방향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고, 급기 덕트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전,후,좌,우의 공기 공급량도 각기 조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기의 공급을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할 수 있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기관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고, 내부의 중앙에는 다수의 수평 연결대의 연결을 통해 수직너트가 구비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 장착 구비되고,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사각 원뿔통 형상의 급기 덕트와; 상기 수직너트에 연결 구비되어 급기 덕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변경시키기거나, 또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할 수 있는 급기 방향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 덕트(에어) 커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에어 커버는 통과하는 에어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에어 유량 조절이 필요한 곳에서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유량 조절이 필요 없을 때는 에어 커버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따른다.
(2) 즉, 건축물에 시공한 덕트에는 통상 환풍기나 송풍기와 같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반대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게 하는 수단을 갖춘다. 이에, 이러한 수단을 작동함에 따라 유입하거나 유출하는 유량이 정해지므로, 에어 커버를 통해 에어 유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된다.
(3) 또한, 이러한 수단을 갖추지 않을 때도, 에어 커버를 완전히 열어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게 한 다음 다시 에어 커버를 닫으면 되므로, 실제로는 에어 커버의 유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 않다.
(4) 한편, 기존 에어 커버는 두 개의 판을 겹치게 한 다음, 어느 하나를 회전하여 관통 구멍이 겹친 정도에 따라 에어 커버를 통과하는 에어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에어 유량을 늘리려고 관통 구멍을 겹친 정도를 넓게 하면, 널어진 관통 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이물이 실내로 들어올 우려가 있다.
(5) 특히, 식당이나 주방에 기존 에어 커버를 설치한 경우, 이처럼 이물이나 날벌레 등이 에어 커버를 통해 실내로 들어옴에 따라 위생 상태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466362호 (등록일 : 2013.04.04) 한국등록디자인 제0727106호 (등록일 : 2014.01.22) 한국등록특허 제1654528호 (등록일 : 2016.08.3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슬라이딩 판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개폐 판과 밀착하거나 떨어지면서 공기 흐름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에어 커버가 개폐 기능만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한 만큼의 유량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누구든지 쉽게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에어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 판이 개폐 판에 요철 형태로 결합하면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거나 차단할 수 있게 개폐하므로, 슬라이딩 판과 개폐 판의 밀착과 더불어 요철 결합을 통해 개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에어 커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 기능을 하는 방충 판과 유체 통과를 제어하는 슬라이딩 판을 분리 구성하므로, 방충 판을 통해 이물이나 날벌레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에어 커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는, 한쪽에 플랜지(120)를 돌출 성형하며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12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에 여러 개의 제1관통 구멍(111)을 관통 성형한 개폐 판(110)을 갖춘 본체(100); 상기 개폐 판(11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게 상기 플랜지(120)에 탈장착하는 메쉬 구조의 방충 판(200); 및 상기 본체(100)의 다른 한쪽을 통해 끼워지고, 한쪽에는 상기 개폐 판(110)과 방충 판(200)을 차례로 관통하는 손잡이(310)를 갖추고, 한쪽 면에는 상기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막아주는 막음 돌기(320)를 돌출 성형하고, 이웃한 막음 돌기(320) 사이에는 제2관통 구멍(330)을 관통 성형한 슬라이딩 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관통 구멍(111)은 상기 개폐 판(110) 면을 가상의 격자 형태로 나누고 상기 제1관통 구멍(111)이 서로 이웃하지 않게 격자에 관통 성형하고, 상기 막음 돌기(320)는 상기 제1관통 구멍(111)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성형하며, 상기 제2관통 구멍(330)은 이웃한 두 개의 상기 막음 돌기(320) 사이에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상기 개폐 판(110)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막음 돌기(320)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돌출 성형하도록 적어도 두 개의 걸림 고리(340)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 고리(340)는 상기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 안에서 회전하거나 본체(100)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제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 고리(340)는, 상기 슬라이딩 판(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하되, 고리 부분이 원 밖으로 향하여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슬라이딩 판을 본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개폐 판과 밀착하면서 유체 흐름을 차단하므로, 개폐 기능만을 통해 정해진 양의 유체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2) 특히, 슬라이딩 판에는 막음 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이 막음 돌기가 개폐 판에 형성한 관통 구멍을 막아서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판과 개폐 판이 밀착하면서 유체 흐름을 차단하면서 다시 요철 형태로 유체 흐름을 차단하므로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본체에는 플랜지에 방충 판을 갖춤으로, 슬라이딩 판을 통해 개폐 상태에 상관없이 에어 커버를 통해 실내로 유입하는 이물이나 날벌레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4) 또한, 슬라이딩 판에는 걸림 고리를 형성하고 이 걸림 고리가 개폐 판에 구성한 관통 구멍에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 걸림 고리가 슬라이딩 판이 본체 안으로 들어가서 덕트에서 빠지지 않게 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개폐 작용 효과가 떨어지지 않게 한다.
(5) 이때, 걸림 고리는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하는 데, 실제 걸림 작용을 하는 걸림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판이 요동 작용을 하더라도 이 걸림 고리가 관통 구멍에서 쉽게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하여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방충 판과 개폐 판의 형상을 보여주려고 본체에서 방충 판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판과 슬라이딩 판의 결합 위치를 비교하여 설명하려고 같은 평면에 펼쳐놓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a)는 닫힌 상태를, (b)는 열린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체(100), 방충 판(200), 그리고 슬라이딩 판(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판(300)은 본체(100) 안에서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본체(100) 안에 구성한 개폐 판(110)과 밀착하거나 떨어지면서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체(100) 내부 전체를 통해 개폐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막음 돌기(320)를 돌출 성형하고, 이 막음 돌기(320)가 개폐 판(110)에 형성한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개폐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개폐 판(110)과 슬라이딩 판(300) 사이의 개폐 작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걸림 고리(340)를 돌출 성형하고, 이 걸림 고리(340)가 개폐 판(110)에 형성한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상기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 안으로 들어가서 나오지 못하거나 본체(10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슬라이딩 판(300)이 회전하는 것을 막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본체(100)의 한쪽에는 플랜지(120)를 돌출 성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버를 덕트나 파이프 등에 끼울 때 이 플랜지(120)가 덕트나 파이프 끝에 걸려 에어 커버가 더는 안으로 끼워지지 않게 막아준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개폐 판(1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개폐 판(110)은 상술한 플랜지(12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에 위치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개폐 판(110)과 후술할 방충 판(2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은 후술할 걸림 고리(340)가 움직이는 공간으로, 걸림 고리(340)의 걸림 부분이 방충 판(200)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하고 또한, 이 걸림 부분이 개폐 판(110)에 형성한 제1관통 구멍(111)에 걸려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 밖으로 빠지는 것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개폐 판(11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여러 개의 제1관통 구멍(111)을 관통 형성한다. 제1관통 구멍(111)은 본체(10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결정하는 구멍으로, 가능한 한 개폐 판(110)의 면적을 기준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구성함으로써, 본체(100)를 통과하는 유체 유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관통 구멍(111)은 여러 개를 형성하는 데, 각 제1관통 구멍(111)의 합은 개폐 판(110)의 면적의 절반을 넘지 않게, 가장 바람직하게는 절반을 차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슬라이딩 판(300)이 이 개폐 판(110)과 밀착하여 유체 흐름을 차단하거나 떨어져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데, 이때 개폐 판(110)에서 에어가 통과하는 부분과 마주하는 슬라이딩 판(300) 부분은 에어가 통과하지 않고, 반대로 개폐 판(110)에서 에어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과 마주하는 슬라이딩 판(300) 부분은 에어가 통과하게 하여 에어 유동이 이루어지거나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관통 구멍(111)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개폐 판(110) 전체를 가상의 격자 형상으로 나누고 격자에 관통 성형하여 제1관통 구멍(111)을 형성하되, 이들 제1관통 구멍(111)이 서로 이웃하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슬라이딩 판(300)에 형성하여 제1관통 구멍(111)을 막기 위한 막음 돌기(320)의 형성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방충 판>
방충 판(2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방충 판(200)은 플랜지(120)에 장착함으로써, 본체(100)를 덕트나 파이프 끝에 장착했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플랜지(120) 부분을 통해 외기가 실내로 들어갈 때 방충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방충 판(2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플랜지(120)에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방충 판(200)이 파손 등으로 교환이 필요할 때나, 이물 등이 방충 판(200)에 부착하여 청소가 필요할 때 등에는 플랜지(120)에서 방충 판(200)을 분리하여 쉽게 청소하거나 교환 수리하여 다시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충 판(200)은 상기 플랜지(120)에 나사나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체결 방식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돌기를 이용하여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원터치 방식으로 방충 판(200)을 플랜지(120)에 끼워서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충 판(200)은,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개폐 판(110)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는, 후술할 걸림 고리(340)가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슬라이딩 판(300)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
이러한 방충 판(200)은 이물이나 날벌레 등이 통과하지 못한 정도의 메쉬 형태로 형성하여 유체 흐름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제작한다.
<슬라이딩 판>
슬라이딩 판(300)은, [도 2]·[도 3]·[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본체(100)에 끼워서 개폐 판(110)과 밀착하여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에어 흐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판(300)은 플랜지(110)를 형성하지 않은 본체(100)의 다른 한쪽을 통해 본체(100) 안으로 삽입하여 장착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300)은, [도 2]·[도 3]·[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한쪽 면에 손잡이(310)를 돌출 성형한다. 이때, 손잡이(310)는 상술한 개폐 판(110)과 방충 판(200)을 차례로 관통하여 그 끝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본체(100) 밖에서도 이 손잡이(310)를 잡고서 슬라이딩 판(30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잡아당기거나 밀어넣어서 개폐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도 2]·[도 3]·[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한쪽 면에 막음 돌기(320)를 형성한다. 이때, 막음 돌기(320)는 슬라이딩 판(300)을 본체(100)에 장착했을 때 개폐 판(110)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하되, 상술한 제1관통 구멍(111)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한 막음 돌기(320)는, [도 7]과 같이, 손잡이(310)를 잡아 본체(100)로 당김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제1관통 구멍(111)에 요철 형태로 끼워져서 에어가 개폐 판(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도 2]·[도 3]·[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제2관통 구멍(3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관통 구멍(330)은 이웃한 두 개의 막음 돌기(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 판(300)이 개폐 판(110)과 밀착했을 때, 이 개폐 판(110)에서 제1관통 구멍(111)이 형성되지 않고 막힌 부분이 제2관통 구멍(330)과 밀착하여 슬라이딩 판(300)을 통해 에어 흐름이 발생하지 않고 차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도 2]·[도 3]·[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막음 돌기(320)를 돌출 성형한 면에 걸림 고리(34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걸림 고리>
걸림 고리(340)는, [도 2]·[도 3]·[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막음 돌기(320)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고, 특히 이웃한 두 개의 막음 돌기(320) 사이에 돌출 성형함으로써, 걸림 고리(340)의 끝이 개폐 판(110)에 형성한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걸림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 고리(340)는, [도 7]과 같이,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진 끝이 개폐 판(110)과 방충 판(200) 사이에 형성한 공간 사이에서 움직이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에서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이처럼 걸림 고리(340)에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 안에서 회전하지 않고 걸림 고리(34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를 받아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걸림 고리(340)는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4개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판(300)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 고리(340)는, [도 5]와 같이, 슬라이딩 판(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같은 간격, 도면에서는 직각을 이루게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딩 판(300)을 안으로 본체(100) 안으로 집어넣어 개방했을 때 각 걸림 고리(340)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50"은 슬라이딩 판(300)에 돌출 성형하여 개폐 판(1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나타낸다. 이러한 가이드 기능은 상술한 걸림 고리(340)를 통해서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잡아서 당김에 따라 슬라이딩 판이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막음 돌기가 제1관통 구멍을 막고, 동시에 개폐 판이 제2관통 구멍을 막아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게 차단한다. 또한, 손잡이를 본체 안으로 밀면, 제1 및 제2관통 구멍이 열리면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판은 본체 내에서 회전하거나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본체 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 작용을 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개폐 판
111 : 제1관통 구멍
120 : 플랜지
200 : 방충 판
300 : 슬라이딩 판
310 : 손잡이
320 : 막음 돌기
330 : 제2관통 구멍
340 : 걸림 고리

Claims (4)

  1. 한쪽에 플랜지(120)를 돌출 성형하며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12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에 여러 개의 제1관통 구멍(111)을 관통 성형한 개폐 판(110)을 갖춘 본체(100); 상기 개폐 판(11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게 상기 플랜지(120)에 탈장착하는 메쉬 구조의 방충 판(200); 및 상기 본체(100)의 다른 한쪽을 통해 끼워지고, 한쪽에는 상기 개폐 판(110)과 방충 판(200)을 차례로 관통하는 손잡이(310)를 갖추고, 한쪽 면에는 상기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막아주는 막음 돌기(320)를 돌출 성형하고, 이웃한 막음 돌기(320) 사이에는 제2관통 구멍(330)을 관통 성형한 슬라이딩 판(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관통 구멍(111)은 상기 개폐 판(110) 면을 가상의 격자 형태로 나누고 상기 제1관통 구멍(111)이 서로 이웃하지 않게 격자에 관통 성형하고,
    상기 막음 돌기(320)는 상기 제1관통 구멍(111)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성형하며,
    상기 제2관통 구멍(330)은 이웃한 두 개의 상기 막음 돌기(320) 사이에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버.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딩 판(300)에는 상기 개폐 판(110)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막음 돌기(320)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돌출 성형하도록 적어도 두 개의 걸림 고리(340)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 고리(340)는 상기 제1관통 구멍(11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판(300)이 본체(100) 안에서 회전하거나 본체(100)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제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버.
  4. 제3항에서,
    상기 걸림 고리(340)는,
    상기 슬라이딩 판(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하되,
    고리 부분이 원 밖으로 향하여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버.
KR1020180089127A 2018-07-31 2018-07-31 에어 커버 KR10206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27A KR102064082B1 (ko) 2018-07-31 2018-07-31 에어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27A KR102064082B1 (ko) 2018-07-31 2018-07-31 에어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082B1 true KR102064082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127A KR102064082B1 (ko) 2018-07-31 2018-07-31 에어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0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62B1 (ko) 2001-08-27 2005-01-13 더 에삽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산소-연료 토치의 헤드에 사용하기 위한 역화 어레스터
KR100727106B1 (ko) 2001-10-31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진행 강판의 가장자리 절단장치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20100000372U (ko) * 2008-07-03 2010-01-13 신동규 환기 그릴
KR20130000233U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전동 디퓨저
KR101654528B1 (ko) 2016-07-28 2016-09-07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조덕트용 디퓨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62B1 (ko) 2001-08-27 2005-01-13 더 에삽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산소-연료 토치의 헤드에 사용하기 위한 역화 어레스터
KR100727106B1 (ko) 2001-10-31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진행 강판의 가장자리 절단장치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20100000372U (ko) * 2008-07-03 2010-01-13 신동규 환기 그릴
KR20130000233U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전동 디퓨저
KR101654528B1 (ko) 2016-07-28 2016-09-07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조덕트용 디퓨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0191A1 (en) Bird/animal restricting vent for fluid/air discharge conduits
RU2745151C2 (ru) Подвесной профиль,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прохождение воздуха, и узел потолка,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профиль
US20080182505A1 (en) Air diffuser for high velocity hvac systems
JP5802855B1 (ja) ブロック式吸引ユニット、ブロック式給気ユニッ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環境制御装置
RU2708105C1 (ru) Компактная система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устройство в цел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и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решетка (самостоятельные части устройства)
CA3039032C (en) Supply air device for controlling supply air flow
KR200466362Y1 (ko) 덕트용 환기구
KR102064082B1 (ko) 에어 커버
JP2647478B2 (ja) 空気分配装置
US20120156982A1 (en) Floor Register With Rotatable Air Deflector
KR102173650B1 (ko) 직배기용 환기캡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101559119B1 (ko) 자동 역류 환기장치
KR200482772Y1 (ko) 환기장치용 냄새역류차단장치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KR20180047817A (ko) 공조용 나선형 날개를가진 가변 댐퍼
KR20130003946A (ko)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KR101194721B1 (ko) 급기디퓨저의 역류방지장치
KR200452110Y1 (ko) 다분지 배기팬의 풍량조절 장치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KR20190046492A (ko) 건축용 환기 장치
KR200477301Y1 (ko) 환기설비용 냄새역류방지장치
KR200164658Y1 (ko) 공조용 공기 토출구
KR102669481B1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PL72415Y1 (pl) Kratka wentylacyjna z regulacją przepływ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