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844B1 - 후드캡 조립체 - Google Patents

후드캡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844B1
KR102187844B1 KR1020190025681A KR20190025681A KR102187844B1 KR 102187844 B1 KR102187844 B1 KR 102187844B1 KR 1020190025681 A KR1020190025681 A KR 1020190025681A KR 20190025681 A KR20190025681 A KR 20190025681A KR 102187844 B1 KR102187844 B1 KR 102187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ap assembly
flow portion
present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109A (ko
Inventor
이능구
Original Assignee
이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구 filed Critical 이능구
Priority to KR102019002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4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벽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장착되는 후드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어셈블리는, 제1 유동부(12); 제1 유동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2); 및 제1 유동부(1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유동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하는 제2 유동부(32);를 포함하는 연결관부(2) 및 연결관부(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드캡 조립체{VENT CAP ASSEMBLY}
본 발명은 후드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벽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장착되는 후드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 벽체에는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가 교환될 수 있도록 공기의 통로인 배기관이 형성되고, 건물 벽체 측의 배기관에는 비, 눈 등의 유입 및 곤충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드캡이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후드캡은 벽체 내에 매설되어 있는 배기관에 부착되는 연결관, 부착된 연결관에 씌워지는 캡 및 연결관과 캡 사이에 배치되는 망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후드캡은 빗물 등의 유입, 이물질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 실내 측으로 불어오는 역풍의 배기관으로의 유입이나 역풍과의 충돌을 막아 수월하게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후드캡에 관한 종래기술이 있으나 여전히 이들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종래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에 관한 개발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28028호 (등록일자: 2015.06.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하하는 빗물, 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성이 향상된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관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캡의 설치로 인하여 건물 외벽에 발생하는 빗물 자국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어셈블리는,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유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하는 제2 유동부;를 포함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동부의 선단부는 제1 유동부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 구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동부보다 돌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의 내측에 상기 제2 유동부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유동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유동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사이는 관통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부는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에는 관통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둘레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면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하여 연결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면은 제1 유동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상기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은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페이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캡의 일 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캡의 양 측에는 상기 개방부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가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부의 일 측면은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낙하하는 빗물, 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성이 향상된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후드캡의 설치로 인하여 건물 외벽에 발생하는 빗물 자국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도 5a의 DD'를 따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부분 A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부분 B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도 5b의 EE'를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가 벽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일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타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가 벽체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종래기술에 따라 벽체에 형성되는 빗물자국을 도시하고,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측캡의 일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측캡의 타측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유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하는 제2 유동부;를 포함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연결관부(2)를 포함한다.
연결관부(2)는 건물 벽체 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연결관부(2)는 제1 유동부(12), 플랜지부(22) 및 제2 유동부(32)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부분 A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동부(12)는 건물 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구성으로서, 외경을 갖는 외면(112a) 및 내경을 갖는 내면(112b)을 포함한다. 제1 유동부(12)의 외경, 즉, 외면(112a)의 지름은 설치될 배기관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끼움결합에 의해 배기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유동부(12)의 내경, 즉, 내면(112b)의 지름은 제1 유동부(12)의 두께만큼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유동부(12) 내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내측에는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는 제1 유동부(12)의 내면(112b)으로부터 외면(112a)을 향해 구배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유동부(12)의 내면(112b)은 선단에 접근할수록 외면(112a)을 향해 일정 기울기를 형성한다. 즉, 구배의 형성을 통해 제1 유동부(12)의 직경을 점진적으로 확장한다. 건물의 배기관에 삽입되는 종래 연결관은 배기관 내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기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감소되는 면적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배출 흐름이 약화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동부(12)의 직경을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선단부(112c)의 구성을 통해 공기의 배출 흐름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부(22)는 제1 유동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플랜지부(22)는 제1 유동부(12)의 길이방향에서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보다 후퇴한 위치에 형성된다. 선단부(112c)는 벽체로부터 제1 유동부(12)의 직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제1 유동부(12)의 내면에서 외면을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의 부분 B의 확대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부(2)는 제2 유동부(32)를 포함한다.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제1 유동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22) 상에서 돌출한다. 제2 유동부(32)는 튜브의 형태로 외면(132a) 및 내면(132b)을 구비하며, 플랜지부(22)와 가까운 측인 근접단부(232a) 및 플랜지부(22)와 먼 측인 원위단부(232b)를 포함한다.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와 동심축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포개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유동부(32)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과 더불어 빗물과 바람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동부(32)는 플랜지부(22)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22)와 유사한 방식으로, 플랜지부(22)에서 연장함에 따라 제2 유동부(32)의 내면(132b)이 외면(132a)에 근접하도록 구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동부(32)는 플랜지부(22)에서 돌출하여 연장하면서 내면(132b)이 외면(132a)에 가까워지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여 플랜지부(22) 측 근접단부(232a)에서 제2 유동부(32)의 원위단부(232b)로 이동함에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부(32)의 이와 같은 구성도 제1 유동부(12)와 더불어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동부(32)는 플랜지부(22)에 대하여 제1 유동부(12)보다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유동부(12) 및 제2 유동부(32)는 2중의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는 대략 플랜지부(22) 측으로부터 구배를 가지고 일정 거리 돌출하고,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거리에서 플랜지부(22)로부터 일정 거리 돌출한다. 또한, 제2 유동부(32)가 플랜지부(22)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제1 유동부(12)가 플랜지부(22)에 대하여 돌출하는 길이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제2 유동부(32)가 제1 유동부(12)가 더 길게 형성되어, 즉, 이중의 단차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커버부(6)의 관통면(26) 또는 외측캡(7)의 개방부(17)를 통해 유입되는 외풍이 제2 유동부(32)에 가로막혀 다시 되돌아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중 단차는 역풍과의 충돌의 최소화를 위하여 마련되며, 따라서, 원활한 배기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동부(12)와 제2 유동부(32) 사이에는 간격(G)이 형성된다. 제1 유동부(12)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에 근접하면서 구배를 따라, 즉, 확장된 면적을 통해 이동하면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제1 유동부(12) 및 제2 유동부(32)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동하는 공기의 또 다른 일부는 제1 유동부(32)의 선단부(112c)를 따라 간격(G)측으로 흐르면서 보다 확장되는 제2 유동부(32)의 내면(132b)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보다 확장하여 배기가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부(22)는 제2 유동부(3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착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동부(32)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장착부(122)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동부(3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장착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2)의 유무는 후술하는 커버부(6) 또는 내측캡(5) 및 외측캡(7)의 장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부(2)는 가이드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2)는 배기의 유도 및 역풍에 대한 저항성 향상 내지는 역풍을 방지하는 가이드로서,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배기를 원활히 할 수 있고, 역풍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42)는 제2 유동부(32)의 내측에 제2 유동부(32)와 연결하여 형성된다. 가이드부(42)는 코어부(142) 및 복수의 리브(242)를 포함한다.
코어부(142)는 제2 유동부(32)의 내측에 제2 유동부(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142)의 직경은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코어부(142)는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일 측이라 함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먼저 접근하는 측을 의미하고, 타 측은 배출되는 실내의 공기가 나중에 다다르는 측을 의미한다.
또한, 코어부(142)에는 중공(11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코어부(142)의 중공(1142)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142)의 직경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중공(1142)도 동일한 방식으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배기를 가이드하고 실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코어부(142)는 복수의 리브(242)에 의해 제2 유동부(32)와 연결된다. 각 리브(242) 사이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리브(242)는 코어부(14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제2 유동부(32) 내지는 제2 유동부(32)의 내면(132b)에 결합한다. 도면에는 복수의 리브(242)를 세 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부(4)와 가이드부(42)의 존재로 인해 실내 공기 배출 면적이 감소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는 제1 유동부(12)가 아닌 제2 유동부(32)에 형성된다.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 때문에 줄어들 수 있는 배기면적을 보상하기 위하여 배기관 내측 면적보다 확장된 제2 유동부(32)에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를 형성함으로써, 배기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부(42)는 외풍 유입시에는 가이드부(42)의 존재로서 외부로부터의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고, 배출되는 공기 측면에서 보면 가이드부(42)가 공기의 흐름을 확대시켜 배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장착부(122)를 포함하는 연결관부(2), 메쉬부(4) 및 커버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부(2)는 위에 설명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내용이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쉬부(4)는 제2 유동부(32)의 원위단부(232b) 측에 제2 유동부(32)의 원위단부(232b)를 덮도록 장착된다. 메쉬부(4)는 망상 구조의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충, 해충, 먼지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후드캡 조립체는 커버부(6)를 포함한다. 커버부(6)는 메쉬부(4)가 장착된 연결관부(2)를 덮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위하여 커버부(6)는 장착부(122)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6)는 일차적으로 빗물과 바람의 유입을 차단한다. 커버부(6)는 상면부(16a), 측면부(16b), 결합부(16c) 및 관통면(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16a)는 후드캡 조립체가 건물에 장착될 때, 건물 외벽에서 가장 돌출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측면부(16b)는 상면부(16a)의 둘레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면부(16a)에서 대략 직각으로 만곡하며, 만곡하는 부분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측면부(16b)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면(26)이 형성된다. 관통면(26)은 배기관 및 연결관부(2)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면(26)은 실내에서 실외로 유동하는 공기가 원활하고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면적을 고려하여 형성되며, 동시에, 직접적으로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측면부(16b)의 하측 180° 내지 240°에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측면부(16b)의 하측 18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원활한 배출과 빗물 유입 차단이라는 상충되는 두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하여 커버부(6)의 측면부(16b)에, 그리고 측면부(16b)에서도 일부 면적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관통면(26)의 면적은 제1 유동부(12)의 단면적 또는 내경 면적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1 유동부(12)보다 관통면(26)의 면적을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배기가 원활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동부(12)의 내경 면적과 관통면(26)의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제1 유동부(12)의 내경 면적보다 관통면(26)의 면적을 대략 40%이내 범위로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배기 시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배기가 가장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관통면(26)은 측면부(16b)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이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후드캡 조립체가 벽체(W)에 장착되는 모습을 상정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면(26)은 커버부(6)가 연결관부(2)에 장착되고 외부에서 관찰할 때, 측면부(16b)의 하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면(26)은 측면부(16b)의 하측 180 내지 240도 사이에 형성된다. 도 8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면(26)은 중심선(C)과 대략 일치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16b)의 타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되는 결합부(16c)가 형성된다. 결합부(16c)는 연결관부(2)의 장착부(12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역풍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역풍방지를 위하여 후드캡 조립체에 제1 유동부(12)와 제2 유동부(32)를 형성하여 이중 단차를 구성한다. 따라서, 커버부(6)의 관통면(26)을 따라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 관통면(26) 바로 내측에 구성된 제2 유동부(32)에 부딪혀 관통면(26)을 통해 되돌아 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2)가 형성되는 경우, 관통면(26)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은 일차적으로 그 내측의 제2 유동부(32)에 부딪혀 바람이 분산되고 차단되며, 이차적으로는 제1 유동부(12)와 가이드부(42)의 존재로 말미암아 바람의 유입을 가로막음으로써 역풍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차단된 바람은 제2 유동부(32)를 따라 돌아 관통면(26)을 통해 다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의 유입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대략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빗물은 일차적으로 커버부(6)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부(16a) 및 측면부(16b)를 통하여 그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 내지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하며 후드캡 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제2 유동부(32)에 의해 그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설사 빗방울이 제2 유동부(32)에 튄다거나 하여 일부가 연결관부(2)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또는 결로 발생 시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에 형성되는 구배에 의하여 더 이상 내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외부로 자연히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역풍의 충돌이 방지되고 내기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실내에서 실외 측으로 배출되는 바람이 원활하게 유동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없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과의 충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제2 유동부(32)가 수행한다. 내측에서 배출되는 상당량의 유해 물질과 바람은 제1 유동부(12)를 통한 배출이 이루어지고 제1 유동부(12)보다 면적이 확장된 제2 유동부(32)를 통과한 뒤, 커버부(6)의 관통면(26)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유동부(12)가 아닌, 직경 내지는 단면적이 확장된 제2 유동부(32)에 메쉬부(4)를 장착함으로써 정압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부(42)가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확대시킴으로써 배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캡 조립체는 장착부(122)를 포함하지 않는 연결관부(2), 내측캡(5) 및 외측캡(7)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부(2)는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내측캡(5)은 연결관부(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캡(7) 및 연결관부(2)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내측캡(5)은 메쉬부재(15), 안착부(25), 스페이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캡(5)은 메쉬부(4)와 유사한 메쉬부재(15)를 포함한다. 메쉬부재(15)는 내측캡(5)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측캡(5)과 별도로 형성되어 내측캡(5)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메쉬부재(15)는 연결관부(2)의 제2 유동부(32)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메쉬부재(15)는 망상 구조의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충, 해충 먼지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착부(25)는 제2 유동부(3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부(25)는 제2 유동부(32)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유동부(32)의 외면(132a)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즉, 안착부(25)는 내측캡(5)을 연결관부(2)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안착부(25)에는 메쉬부재(15)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부재(15)는 안착부(2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캡(7)은 개방부(17)를 포함한다. 안착부(25)는 안착부(25)가 내측캡(5)에서 돌출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 확장부(235)의 두께까지 더하여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므로 개방부(17)를 통해 외풍이 도달한다고 하더라도 후드캡 조립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방부(17)를 통해 후드캡 조립체에 도달한 역풍은 안착부(25)에 부딪혀 방향을 틀게 되고, 외측캡(7)에 형성되는 윈도우(27)를 향해 용이하게 후드캡 조립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역풍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부(4)와 가이드부(42)의 존재로 인해 실내 공기 배출 면적이 감소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가 제1 유동부(12)가 아닌 제2 유동부(32)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 바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메쉬부재(15) 및 가이드부(42) 때문에 줄어들 수 있는 배기면적을 보상하기 위하여 배기관 내측 면적보다 확장된 제2 유동부(32)에 메쉬부재(15) 및 가이드부(42)를 형성함으로써, 배기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캡(5)은 안착부(25)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스페이서부(35)를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부(35)는 안착부(2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길이방향 내지는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스페이서부(35)는 제1 확장부(135) 및 제2 확장부(235)를 포함한다.
제1 확장부(135)는 메쉬부재(15)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되고, 제2 확장부(235)는 제1 확장부(135)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길이방향 내지는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 확장부(235)는 벽면 및 후드캡 조립체 사이, 바람직하게는, 벽면 및 플랜지부(22) 사이 간극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제2 확장부(235)는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역풍이 후드캡 조립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와의 간섭, 그리고 마찰 내지는 정압을 감소시킴으로써 배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2 확장부(235)는 제1 확장부(135)와 이루는 각이 90°보다 작게 형성되는 예각면부(1235)를 포함한다.
도 12c 내지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확장부(235)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예각면부(1235)는 0°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각도(θ)를 이루며 제1 확장부(135)로부터 만곡한다. 예각면부(1235)가 90° 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며 만곡한다는 것의 의미는 제1 확장부(135)와 제2 확장부(235) 내측면 사이각을 지칭한다.
예각면부(1235)는 벽체(W)와 근접한 측으로부터 벽체(W)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하향 기울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울기 내지 구배는 빗물 자국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후드캡의 경우 빗물 자국이 벽체에 남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확장부(235) 및 예각면부(1235)의 형성으로 말미암아 빗물이 예각면부(1235)의 기울기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고 바로 아래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예각면부(1235)의 기울기 하측 끝에서 빗물이 모여 바로 바닥 측으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자국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인 벽면에 빗물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a 및 14b를 참조하면, 후드캡 조립체는 외측캡(7)을 더 포함한다.
외측캡(7)의 일 측에는 개방부(17)가 형성되고, 외측캡(7)의 양 측에는 개방부(17) 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27)가 각각 형성된다. 개방부(17)는 벽체 내에 형성되는 배기관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배출 성능이 향상된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외측캡(7)은 내측캡(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외측캡(7)이 내측캡(5)에 조립될 수 있도록 외측캡(7)은 예각면부(1235)를 제외한 제2 확장부(235)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장착면(37)을 내측면에 포함한다.
도 15에는 연결관부(2), 내측캡(5) 및 외측캡(7)이 조립된 후드캡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향상된 배기성능을 제공한다.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 또는 연결관부(2)의 제1 유동부(12)의 면적보다 제2 유동부(32), 외측캡(7)의 개방부(17) 및/또는 윈도우(27)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저항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배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역풍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벽면과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드캡 조립체에 내측캡(5)을 형성하고, 내측캡(5)에 제2 확장부(235)를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역풍 유입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와의 간섭과 마찰 내지는 정압을 줄여서 배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유입 방지 및 벽체에 형성되는 빗물자국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내측캡(5)의 일 측면에는 기울기가 형성되는 예각면부(1235)가 형성되어 빗물이 기울기를 타고 흘러 예각면부(1235)의 꼭지점에서 바닥으로 바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면에 빗물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 연결관부 4: 메쉬부
5: 내측캡 6: 커버부
7: 외측캡 12: 제1 유동부
15: 메쉬부재 16a: 상면부
16b: 측면부 16c: 결합부
17: 개방부 22: 플랜지부
25: 안착부 26: 관통면
27: 윈도우 32: 제2 유동부
35: 스페이서부 37: 장착면
42: 가이드부 112a: 외면
112b: 내면 112c: 선단부
122: 장착부 132a: 외면
132b: 내면 135: 제1 확장부
142: 코어부 212: 관통공
232a: 근접단부 232b: 원위단부
235: 제2 확장부 242: 리브
G: 간격 1142: 중공
1235: 예각면부

Claims (12)

  1. 내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제1 유동부의 선단부보다 후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유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동부와 동심축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동부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포개어지는 제2 유동부;를 포함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부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상기 제1 유동부가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돌출하는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동부 및 상기 제2 유동부는 2중의 단차를 가지고,
    상기 연결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은,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페이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메쉬부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제1 확장부와,
    상기 제1 확장부로부터 이루는 각이 90°보다 작게 형성되는 예각면부에 의해 일정 각도 만곡하여 길이방향 내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캡의 일 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캡의 양 측에는 상기 개방부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캡이 상기 내측캡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캡은 상기 예각면부를 제외한 제2 확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장착면을 내측면에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부의 선단부는 제1 유동부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 구배를 형성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의 내측에 상기 제2 유동부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유동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유동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사이는 관통하는 복수의 리브;
    를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관통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둘레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면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하여 연결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면은 제1 유동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상기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의 일 측면은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KR1020190025681A 2019-03-06 2019-03-06 후드캡 조립체 KR10218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81A KR102187844B1 (ko) 2019-03-06 2019-03-06 후드캡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81A KR102187844B1 (ko) 2019-03-06 2019-03-06 후드캡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09A KR20200107109A (ko) 2020-09-16
KR102187844B1 true KR102187844B1 (ko) 2020-12-07

Family

ID=7266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81A KR102187844B1 (ko) 2019-03-06 2019-03-06 후드캡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7B1 (ko) * 2022-11-17 2023-11-29 허성일 손쉬운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8988A (ja) *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39U (ja) * 1992-04-17 1993-11-26 利春 高橋 防雨型排気口
KR101543603B1 (ko) * 2013-05-01 2015-08-13 이정아 방수형 환기구캡
KR101528028B1 (ko) 2013-07-11 2015-06-1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환기용 외부 후드캡
KR20170025899A (ko) * 2015-08-31 2017-03-08 임종갑 환기용 후드캡
KR20190005664A (ko) * 2017-07-07 2019-01-16 박진수 건축물용 후드 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8988A (ja) *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09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5653B2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102187844B1 (ko) 후드캡 조립체
JP2009133592A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200466362Y1 (ko) 덕트용 환기구
JP5379557B2 (ja) 通気見切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KR102588279B1 (ko)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KR20170025899A (ko) 환기용 후드캡
JP2009138989A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JP2008089264A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2173650B1 (ko) 직배기용 환기캡
KR20110009419U (ko) 건물 벽체용 후드 캡
JP5292866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2494103B1 (ko) 방풍형 후드캡
KR102592130B1 (ko) 역풍방지 후드캡
JP2000193300A (ja) 建物用換気口枠体
KR200491399Y1 (ko) 다기능 역풍 빗물 방지캡
JP4851929B2 (ja) 窓障子装着型の換気装置
JP2936999B2 (ja) 換気通風器
KR102608237B1 (ko) 손쉬운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JP4930351B2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WO2018143326A1 (ja) 換気口フード
JP5843676B2 (ja) 屋外端末部品
JP3055016U (ja) 屋内換気筒
JP4549801B2 (ja) 換気口具
JP3461812B2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