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310Y1 -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310Y1
KR200465310Y1 KR2020100010080U KR20100010080U KR200465310Y1 KR 200465310 Y1 KR200465310 Y1 KR 200465310Y1 KR 2020100010080 U KR2020100010080 U KR 2020100010080U KR 20100010080 U KR20100010080 U KR 20100010080U KR 200465310 Y1 KR200465310 Y1 KR 200465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as
waste
waste pipe
discharge syste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453U (ko
Inventor
김범성
티와리
이대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1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6Covers or casing arranged to protect plant or unit from marine enviro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폐가스 통합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주기관, 보조기관 및 보일러에서 각각 배출되는 폐가스를 각각의 배기가스관을 통하여 선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폐가스 통합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폐가스를 각각 배출하는 배기관과, 상기 각 배기관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각 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를 연돌 없이 포집하여 선박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통합배기관을 포함하는 선박용 폐가스 통합 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Gas exhausting system for barge ship}
본 고안은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돌을 제거하여 폐기관의 단부를 주갑판의 상부에 배치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프로펠러는 다양한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게 되는 데 보통은 엔진룸에 위치하고 있는 디젤엔진에 의해서 구동하게 된다. 상기 디젤엔진은 대형선박인 경우 품위가 떨어지지만 가격이 싼 중유(heavy oil)를 사용하여 연료비를 절약하고 있다.
선박에서 동력원으로 디젤엔진 이외에 보일러 및 발전기가 설치되며, 이 동력원 또한 고온의 폐가스를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발생한 폐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관(102)을 통해 모아져 기관실 상부의 연돌(10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선박에 있어서 화물의 선적이나 여객의 수용 등을 위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데, 상기 디젤엔진, 보일러 및 발전기와 같은 동력원(106)에서 발생한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주갑판(100)에 연돌(104)을 설치할 경우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게 된다.
여기서 연돌은 폐가스의 배출경로 역할 뿐만 아니라 폐가스를 모아서 특정장소에만 배출하므로 폐가스로 인한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역할에도 불구하고, 특히 바지선은 화물을 운송 또는 중개해야 하므로 갑판의 너비가 넓고 바닥이 평평해야 한다. 따라서 연돌과 같은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물이 있을 경우 화물의 운송이나 중개시 상당한 방해를 받게 된다. 또한 바지선은 밸러스트(ballast)용 벤트헤드(vent head)와 각종 팬(fan) 및 해치(hatch) 등을 주갑판에 설치해야 하는 데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연돌 없이 폐기관이 주갑판의 상부로 바로 연장되므로 주갑판의 사용공간을 늘릴 수 있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갑판에 연돌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화물의 운송이나 중개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폐기관의 주위에 보호커버를 설치하므로 작업자나 물건이 폐기관의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폐기관의 선단을 선박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시켜 선박의 운행시 폐가스로 인해 선박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갑판의 하부에 폐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밸브부재가 형성되므로 바지선이 운행하지 않을 경우 폐가스가 방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부재로 게이트밸브를 사용하므로 폐기관을 통하여 폐가스를 배출할 경우 밸브부재로 인한 유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폐기관의 선단에 플랩이 힌지결합되므로 폐가스를 배출하지 않을 경우 플랩을 닫아 폐기관을 빗물이나 생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플랩은 상기 폐기관의 선단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링이 형성되므로 폐기관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주갑판의 상부로 연장되며 선단이 선박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곡된 폐기관과, 상기 폐기관의 보호를 위하여 폐기관의 주위에 설치된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폐기관은 주갑판 하부에 폐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밸브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밸브부재는 게이트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기관은 선단에 플랩이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랩은 상기 폐기관의 선단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연돌 없이 폐기관이 주갑판의 상부로 바로 연장되므로 주갑판의 사용공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주갑판에 연돌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화물의 운송이나 중개시 방해를 받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폐기관의 주위에 보호커버를 설치하므로 작업자나 물건이 폐기관의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폐기관의 선단을 선박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시키므로 선박의 운행시 폐가스로 인해 선박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주갑판의 하부에 폐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밸브부재가 형성되므로 바지선이 운행하지 않을 경우 폐가스가 방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밸브부재로 게이트밸브를 사용하므로 폐기관을 통하여 폐가스를 배출할 경우 밸브부재로 인한 유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폐기관의 선단에 플랩이 힌지결합되므로 폐가스를 배출하지 않을 경우 플랩을 닫아 폐기관을 빗물이나 생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상기 플랩이 상기 폐기관의 선단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링이 형성되므로 폐기관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폐가스 배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폐가스 통합 배출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은 주갑판(D)의 상부로 연장되며 선단이 선박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곡된 폐기관(10)과, 상기 폐기관(10)의 보호를 위하여 폐기관의 주위에 설치된 보호커버(20)를 포함한다.
폐기관(10)은 주발전기관(34), 밸러스트펌프 엔진(32) 등의 동력원(30)에 의해서 발생한 폐가스가 배출되는 파이프로서 동력원(3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상기 폐기관(10)의 선단은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주갑판(D)의 상부로 연장되어 노출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폐기관(10)의 선단은 선박의 폐가스가 선상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선박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곡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폐기관(10)은 폐가스가 흘러가는 경로 상에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기(silencer; 12)가 설치되고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창벨로오즈(expansion bellows; 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폐기관(10)은 주갑판(D) 하부에 폐가스의 경로를 차단하도록 밸브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부재(16)는 바지선이 운행하지 않을 경우 폐가스가 방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재(16)는 게이트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밸브는 개방시 유량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폐기관(10)은 선단에 플랩(30)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폐가스를 배출하지 않을 경우 플랩(40)을 닫아 폐기관(10)을 빗물이나 생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랩(40)은 상기 폐기관(10)의 선단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링(42)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랩(40)에 형성된 고무링(42)은 폐기관(10)을 외부와 밀봉시키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주갑판(D)의 상방으로 노출된 폐기관(10)을 보호하도록 폐기관(1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커버(20)는 내부에 단열성이 우수한 글래스울(glass wool), 유리섬유 등을 사용하여 내부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폐기관 12 : 소음기
14 : 팽창벨로우즈 16 : 밸브부재
20 : 보호커버 30 : 동력원
32 : 밸러스트펌프 엔진 34 : 주발전기관
40 : 플랩 42 : 고무링
D : 주갑판

Claims (5)

  1. 삭제
  2. 주갑판의 상부로 연장되며 선단이 선박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곡되고 상기 주갑판 하부에 폐가스가 배출되는 경로에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기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팽창벨로우즈 및 운행하지 않을 때 폐가스를 차단하도록 밸브부재가 형성된 폐기관과;
    상기 폐기관의 보호를 위하여 폐기관의 주위에 설치된 보호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관은 선단에 플랩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플랩에는 상기 폐기관의 선단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게이트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2020100010080U 2010-09-30 2010-09-30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KR200465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80U KR200465310Y1 (ko) 2010-09-30 2010-09-30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80U KR200465310Y1 (ko) 2010-09-30 2010-09-30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53U KR20120002453U (ko) 2012-04-09
KR200465310Y1 true KR200465310Y1 (ko) 2013-02-13

Family

ID=4660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80U KR200465310Y1 (ko) 2010-09-30 2010-09-30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63B1 (ko) * 2019-06-12 2020-10-30 국방과학연구소 건식 배기관 구조 및 습식 배기관 구조를 건식 배기관 구조로 변경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52U (ja) * 1992-07-02 1994-04-22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風向指向型排ガス管吹出構造
JP2002337790A (ja) * 2001-05-21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煙突
JP2003011891A (ja) 2001-07-02 2003-01-15 Honda Motor Co Ltd ジェット推進艇の排気構造の排気構造
JP2006273213A (ja) * 2005-03-30 2006-10-12 Honda Motor Co Ltd 船艇の排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52U (ja) * 1992-07-02 1994-04-22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風向指向型排ガス管吹出構造
JP2002337790A (ja) * 2001-05-21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煙突
JP2003011891A (ja) 2001-07-02 2003-01-15 Honda Motor Co Ltd ジェット推進艇の排気構造の排気構造
JP2006273213A (ja) * 2005-03-30 2006-10-12 Honda Motor Co Ltd 船艇の排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53U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7162B2 (en) Machinery arrangement for marine vessel
JP6427103B2 (ja) 舶用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船舶機関システム
WO2017213044A1 (ja) 船体構造
KR200465310Y1 (ko) 바지선용 폐가스 배출시스템
JP6617380B2 (ja) 船舶の機関室構造
KR20140017153A (ko)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130134143A (ko) 선박
KR102314621B1 (ko) 선박의 냉각 해수 시스템을 이용한 황산화물 스크러버 세정수 공급장치
KR200475772Y1 (ko) 선박용 배기 장치
JP4237666B2 (ja)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Mihai et al. Ventilation of engine rooms in diesel engines ships
KR101832895B1 (ko)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 및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의 운전방법
KR20130134142A (ko) 선박
KR101867067B1 (ko)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 및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의 운전방법
KR20210089095A (ko) 선박
KR101168313B1 (ko) 선박용 배기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JP5858375B2 (ja) 摩擦抵抗低減船の空気供給システム
JP2019162966A (ja) 船舶
JP2019162963A (ja) 船舶
KR101842178B1 (ko)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 및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의 운전방법
JP2019162970A (ja) 船舶
KR20130006203U (ko) 우천을 고려한 선박용 배기가스 배출 파이프
JP2017056840A (ja) 船舶の機関室構造
JP2019162965A (ja) 船舶
KR20240045853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