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94Y1 -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94Y1
KR200464694Y1 KR2020120004673U KR20120004673U KR200464694Y1 KR 200464694 Y1 KR200464694 Y1 KR 200464694Y1 KR 2020120004673 U KR2020120004673 U KR 2020120004673U KR 20120004673 U KR20120004673 U KR 20120004673U KR 200464694 Y1 KR200464694 Y1 KR 200464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se
lens
safe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명
Original Assignee
송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명 filed Critical 송종명
Priority to KR2020120004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21S8/03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빛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도로용 빛감지 안전 등화장치는, 렌즈에 의해 개방된 전면이 차폐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램프와 빛 감지센서와 충전배터리로 구성되는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 전체를 가리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며, 중심과 그 일측으로 각각 램프홀과 센서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램프홀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상기 LED램프에 의해 광반사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렌즈와;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반사판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와; 일측에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결합판부가 돌출 구비되고 이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굽힘되면서 일면으로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굽힘 연장되어 대상물에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는, 도로변의 가이드 레일 또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의 농기기 또는 도로변에 설치된 지주 또는 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 고정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장착 대상의 자유도를 높이고 필요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전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점등됨에 따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고안은 태양전지 모듈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지 않아도 안정적인 동작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 대상과 설치 장소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Safety light device}
본 고안은 도로변의 가이드 레일이나 농기계 등 다양한 대상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주의환기를 가능하게 하고, 태양전지 모듈을 탑재하여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없이도 안정적으로 점등되게 하여 유지관리 및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설치 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는 대표적인 것으로 트랙터, 경운기, 농약 살포기 등이 있으며, 이들 농기계는 진행방향 및 야간 주행시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주행방향에 대한 전방을 밝게 비추는 헤드램프와, 차체의 좌·우측에 구비되어 방향전환에 따라 해당 위치의 램프를 점멸시키는 방향 지시등으로 이루어진 등화장치가 마련된다. 즉, 상기 경운기는 농작업을 수행하는 목적으로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주행속도가 일반 차량에 비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도로 주행 빈도가 높은 반면 안전장치가 미흡하기 때문에 농기계 교통사고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야간 사고비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의 경운기는 야광 반사판이나 야광 페인트 및 저속차량 표시판을 적재함 일면에 부착하고 있으나, 타 차량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불구하고 농기계는 도로주행용 차량에서 제외된 농업용으로 지정되어 있어 방향지시등 설치에 대한 법률규제가 미약하여 방향지시등을 설치하지 않은 농기계가 계속 생산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라 농촌지역의 많은 교통사고가 예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신규 제작되는 일부 농기기의 후면 양측부에 방향지시등과 제동등으로 이루어진 후미 등화장치가 부착 사용되고 있으나, 이미 운행 중인 대부분의 농기기에는 적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등화장치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일반 차량이 저속 주행하는 경운기를 빠른 시간 내에 식별하도록 알리는데 있어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일례로, 농촌의 도로는 대개 편도 1차로의 좁은 차선으로 되어 있으면서 길이 곧지 못하고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어 고속으로 주행하는 일반 차량이 저속으로 운행하는 경운기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추돌하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위협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940호를 통해 ′경운기용 안전 등화장치′를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 받은 종래의 경운기용 안전 등화장치는,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이 탑재되며 구동을 위한 바퀴 및 조작을 위한 조작 레버가 마련된 본체와, 이 본체의 후미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것으로 탑승부 및 견인 바퀴와 화물을 싣기 위한 적재공간을 형성한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경운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 수단과; 상기 지지 수단의 최상단에 브라켓트를 통해 결합되어지며 본체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본체의 조작 레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시키게 배선되는 스위치와; 상기 본체와 적재함 사이에 위치되는 배선 상에 마련되며 상호 끼움 구조조에 의해 배선을 연결 및 단락시키는 접속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운기용 안전 등화장치는 경광등에 의해 경운기의 주행상태를 타 차량이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하므로 추돌 사고에 의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등록 받은 경운기용 안전 등화장치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농기기에 부착 사용되는 등화장치는 단순히 전원을 공급받아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 신호에 의해 제동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구조이므로 야간에 도로변에 주정차 한 상태에서는 타 주행 차량에 대한 추돌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기는 농지 주변 도로에 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주차된 상태에서는 등화장치 역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꺼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낮에는 등화장치가 꺼져 있어도 타 차량이 농기기에 대한 식별이 비교적 용이한 편이지만, 야간 또는 우천시에는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 변에 주차된 농기기에 대한 식별이 매우 곤란하여 자칫 추돌 사고로 이어져 재산과 인명 피해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892호를 통해 개량된 안전 등화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안전 등화장치는 온·오프 스위치 신호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광원을 구비한 안전 등화장치에 있어서, 판형부재로 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반사지와; 상기 반사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트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이 수용되는 프레임 수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투명커버와; 상기 투명커버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엘이디로 된 주 광원을 구비한 주 광원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복수개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것으로 반사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엘이디로 된 반사광원과; 상기 투명커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반사광원을 점등시키는 빛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안전 등화장치는 외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야간시 추돌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안전 등화장치는 그 용도가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농기기에 설치되어 사용됨에 따라 그 활용도가 농기기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일례로 별다른 건조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은 대부분의 농가는 수확한 농작물을 잘 건조해야만 좋은 등급과 가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도로 위에 고추나 쌀, 보리 등의 농작물을 펼쳐놓고 말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도변이나 지방도로변에 말리기 위해 널려 있는 농작물은 교통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도로사정을 잘 모르고 빠르게 달리는 초행 운전자의 경우 농작물을 발견하고 반대 차선으로 급차선 변경을 시도하다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빈번하게 있으며, 해가 저물 무렵 작업자가 농작물을 거둬 들이는 과정에서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도로변에 농작물을 건조시키는 행위를 강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는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열악한 환경에서 농사를 짓는 대부분의 농가에 대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게 되므로 적절한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892호를 통해 개선된 안전 등화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외에도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086호를 통해 농어촌용 안전 등화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이들 등록받은 기술은 기본적으로 빛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빛을 감지하면 램프를 점등시켜 원거리에서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설치 대상이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892호, 2쪽, 청구항 1, 도면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086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변의 가이드 레일이나 농기계 및 구조물 등과 같이 다양한 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장소나 대상물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지 않고도 안정적인 점등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는 렌즈에 의해 개방된 전면이 차폐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램프와 빛 감지센서와 충전배터리로 구성되는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 전체를 가리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며, 중심과 그 일측으로 각각 램프홀과 센서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램프홀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상기 LED램프에 의해 광반사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렌즈와;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반사판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와; 일측에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결합판부가 돌출 구비되고 이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굽힘되면서 일면으로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굽힘 연장되어 대상물에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렌즈는 LED램프의 빛을 산란시키도록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확산 렌즈 또는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렌즈의 테두리 부분이 끼워 맞춤으로 고정되게 끼움부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를 중심으로 렌즈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은 LED램프에 의해 광반사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은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나사체결로 결합 고정되는 결합판부와; 상기 결합판부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어 장착 대상물에 나사부재로 장착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나사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나사홈이 형성된 장착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는, 도로변의 가이드 레일 또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의 농기기 또는 도로변에 설치된 지주 또는 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 고정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장착 대상의 자유도를 높이고 필요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전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점등됨에 따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고안은 태양전지 모듈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지 않아도 안정적인 동작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 대상과 설치 장소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를 도로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g)에 설치한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1)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는 크기로 구비되는 반사판(15)과, 이 반사판(15)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렌즈(13) 및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종 전기부품이 탑재되는 회로기판(20)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모듈(30) 끝으로 상기 케이스(10)를 장착 대상물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운팅 브라켓(40)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의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상기 케이스(10)는 그 후면으로는 마운팅 브라켓(40)가 결합 구비되고, 테두리 일측에는 태양전지 모듈(30)이 결합되는 플랜지(1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후면에 마운팅 브라켓(40)의 결합판부(44)가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테두리의 일측에는 태양전지 모듈(30)과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구멍(미부호)이 관통된 플랜지(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내부에 전자부품이 탑재된 회로기판(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전면은 개방되어 반사판(15)과 렌즈(13)가 조립 구성된다.
반사판(15)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 전체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이 원형구멍으로 형성됨에 따라 반사판(15) 역시 원판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반사판(15)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끼움구조 또는 나사체결 구조 또는 나사부재를 사용하여 조립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LED램프(21)의 일부가 삽입 통과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램프홀(15c)이 관통 형성되고, 이 램프홀(15c)의 일측으로는 빛 감지센서(23)가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빛 감지센서(23)가 삽입 통과하여 노출되는 센서홀(15b)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사판(15)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면(외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지가 부착되거나 또는 반사코팅된 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홀(15c)과 빛 감지센서(23)를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끼움부(15a)가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끼움부(15a)는 후술할 LED램프(21)와 빛 감지센서(2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LED램프(21)의 점등에 의해 광반사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역할도 한다.
렌즈(13)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거나 또는 유리재로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반사판(15)의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감소된 지름을 갖는 크기로 구비된다. 즉, 본 고안에서의 렌즈(13)는 반사판(15)에 대하여 감소된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LED램프(21)를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반사판(15)에 형성된 끼움부(15a)에 그 테두리부가 끼움되거나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13)는 LED램프(21)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 굴절 또는 집속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가 사용되거나 또는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여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회로기판(20)은 LED램프(21), 빛 감지센서(23), 충전배터리(25) 및 태양전지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램프(21)의 점등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부호)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지칭한 것이다.
상기 LED램프(21)는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신호용부터 광고용·교통·손전등·디스플레이 부야 및 자동차의 제동등·간판·피난 유도등·전광판 등 현재 광범위한 용도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무(無)수은으로 환경 친화적이고, 초경량이면서 전력 절감이 탁월하고, 장수명과 높은 신뢰성으로 간단한 구동회로와 RGB색상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빛 감지센서(23)의 감지시호를 기초로 점등되도록 회로 구성된다. 즉, 상기 LED램프(21)는 빛 감지센서(23)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의 빛에 의해 점등되는 것으로,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 주행 차량의 헤드라이트에서 빛이 조사되면, 이를 빛 감지센서(23)가 감지하고 컨트롤러(미부호)를 통해 상기 LED램프(21)를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 LED램프(21)는 후술할 렌즈(13)에 의해 규제되는 광반사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빛 감지센서(23)는 광센서의 한 종류로서, 조도센서 또는 CDS셀을 이용한 CDS 센서로 제공되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요소이다. 이러한 빛 감지센서(23)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면 이러한 감지신호를 LED램프(21)를 점등시키도록 배선 연결된다.
상기 충전배터리(25)는 충방전이 가능한 공지의 축전기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30)은 태양에너지를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요소로서, 상기 케이스(10)의 플랜지(11)에 결합되는 결합판부(31a)가 일체로 돌출 구비되고, 일면에는 상기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33)가 구비된 전지케이스(31)와, 이 전지케이스(31)의 일면에 부착된 태양전지(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커버하는 투명커버(3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지케이스(31)는 상기 결합판부(31a)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굽힘 연결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경사각은 상기 태양전지(33)가 태양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광할 수 있는 각도이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지케이스(31)와 결합판부(31a)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호 소정의 각도로 연결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전지케이스(31)와 결합판부(31a)가 상호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마운팅 브라켓(40)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굽힘 연장되어 도로변의 가이드 레일이나 농기계 등 다양한 대상물에 부착고정되는 요소로서,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거나 또는 금속판을 굽힘성형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팅 브라켓(40)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에 나사체결로 결합 고정되는 결합판부(44)와, 상기 결합판부(44)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어 장착 대상물에 나사부재로 장착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나사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나사홈(43h)이 형성된 장착판부(4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의 적용 및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은 마운팅 브라켓(40)의 장착판부(43)를 도로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g)에 나사부재로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 레일(g)에 설치된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1)는 야간 또는 우천시 등과 같이 주위가 어두운 경우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빛 감지센서(23)를 동작시키면, 이 빛 감지센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램프(21)가 점등하여 렌즈(13)에 의해 커버되는 광반사 영역을 발광시킨다.
따라서, 원거리에서 주행하는 차량에서도 상기 LED램프(21)의 점등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통한 주의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1)는 태양전지 모듈(30)을 일체로 탑재하고 있음에 따라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이동설치의 편의성이 높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10 : 케이스
20 : 회로기판
30 : 태양전지 모듈
40 : 마운팅 브라켓

Claims (3)

  1. 렌즈(13)에 의해 개방된 전면이 차폐되는 케이스(10) 및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램프(21)와 빛 감지센서(23)와 충전배터리(25)로 구성되는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 전체를 가리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며, 중심과 그 일측으로 각각 램프홀(15c)과 센서홀(15b)이 관통 형성되고, 외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15)과; 상기 반사판(15)의 외측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램프홀(15c)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상기 LED램프(21)에 의해 광반사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렌즈(13)와; 상기 케이스(10)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반사판(15)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1)와; 일측에 상기 플랜지(11)에 결합되는 결합판부(31a)가 돌출 구비되고 이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굽힘되면서 일면으로는 상기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33)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30)과;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굽힘 연장되어 대상물에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4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13)는 LED램프(21)의 빛을 산란시키도록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확산 렌즈 또는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반사판(15)은, 상기 렌즈(13)의 테두리 부분이 끼워 맞춤으로 고정되게 끼움부(15a)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15a)를 중심으로 렌즈(13)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은 LED램프(21)에 의해 광반사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13)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은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에 나사체결로 결합 고정되는 결합판부(44)와;
    상기 결합판부(44)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굽힘 연장되어 장착 대상물에 나사부재로 장착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나사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나사홈(43h)이 형성된 장착판부(4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KR2020120004673U 2012-06-04 2012-06-04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KR200464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73U KR200464694Y1 (ko) 2012-06-04 2012-06-04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73U KR200464694Y1 (ko) 2012-06-04 2012-06-04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94Y1 true KR200464694Y1 (ko) 2013-01-15

Family

ID=5135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73U KR200464694Y1 (ko) 2012-06-04 2012-06-04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371B1 (ko) 2021-02-22 2022-03-03 송종명 도로 결빙구간 능동 감시 동작형 안전등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851B1 (ko) * 2009-08-31 2010-11-08 이병운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101005732B1 (ko) 2010-06-03 2011-01-06 한국공항공사 노출형 led 경계등
KR20110080565A (ko) * 2010-01-06 2011-07-13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델리네이터
KR200455815Y1 (ko) 2010-04-12 2011-09-27 (주)성일솔레드 솔라 안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851B1 (ko) * 2009-08-31 2010-11-08 이병운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20110080565A (ko) * 2010-01-06 2011-07-13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델리네이터
KR200455815Y1 (ko) 2010-04-12 2011-09-27 (주)성일솔레드 솔라 안개등
KR101005732B1 (ko) 2010-06-03 2011-01-06 한국공항공사 노출형 led 경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371B1 (ko) 2021-02-22 2022-03-03 송종명 도로 결빙구간 능동 감시 동작형 안전등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5203B2 (en)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ing side-emitting light-emitting diode
US20070081350A1 (en) Rearview mirror and signal light arrangement
US20130214924A1 (en) Intelligent Construction Cone
KR101679673B1 (ko) 도로 조명용 등기구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200464694Y1 (ko) 도로용 빛 감지 안전 등화장치
KR200450892Y1 (ko) 안전 등화장치
JP3827478B2 (ja)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20120059158A (ko) 도로 표지병
KR200470482Y1 (ko) 농기계용 경광등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JPH06308896A (ja) 発光式標識板
KR101823833B1 (ko) 경운기용 다기능 안전등화장치
US20050225452A1 (en)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ing side-emitting light-emitting diode
KR101432755B1 (ko) 태양광 엘이디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 휀스
KR200454086Y1 (ko) 농어촌용 안전 등화장치
KR101556080B1 (ko) 솔라셀 전원공급형 감지 등화장치
KR20190081108A (ko) 낮은 도로 조명 장치
KR10103119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US20070206387A1 (en) Low profile lighting system
CN216113833U (zh) 车灯和全地形车
JP4963684B2 (ja) 自発光式デリネータ
JPH0413170B2 (ko)
KR200195736Y1 (ko) 차선 표시 점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