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650Y1 - 탭 터미널 - Google Patents
탭 터미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650Y1 KR200463650Y1 KR2020080016829U KR20080016829U KR200463650Y1 KR 200463650 Y1 KR200463650 Y1 KR 200463650Y1 KR 2020080016829 U KR2020080016829 U KR 2020080016829U KR 20080016829 U KR20080016829 U KR 20080016829U KR 200463650 Y1 KR200463650 Y1 KR 2004636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terminal
- coupling
- bending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탭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탭 터미널(5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 몸체부(52)의 후단에 바렐부(54)가 형성되고, 선단에 결합부(6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0)는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베이스(62)의 양단에서 벤딩부(64)가 절곡되어 베이스(62)와의 사이에 스페이스공간(66)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벤딩부(64) 선단의 일정 구간에 걸쳐서는 하프블랭킹지지부(68)가 형성되어 상기 벤딩부(64)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62)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공간(66)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상기 결합부(6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은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원하는 대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탭 터미널(50)의 성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탭 터미널, 결합부, 하프블랭킹, 스페이스공간
Description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등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인 리셉터클 터미널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탭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탭 터미널은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참고로 터미널은 정션박스와 같은 곳에도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탭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탭 터미널의 결합부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탭 터미널(1)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3)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3)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 기 바렐부(5)는 와이어바렐(6)과 인슐레이션바렐(7)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6)은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7)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탭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3)의 선단에는 결합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0)는 상대 터미널인 리셉터클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10)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결합부(10)는 금속판을 벤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베이스(11)와 벤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0)의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11)의 양측단은 각각 내측으로 벤딩되어 벤딩부(12)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11)의 두께를 t라고 하면, 상기 결합부(10)의 전체 두께는 2t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를 한 번 접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10)가 2중 겹침이 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베이스(11)를 벤딩하지 않고 베이스(11) 자체만으로 결합부(1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는 실질적으로 상기 몸체부(3)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3)와 베이스(11)의 두께는 동일하다. 즉, 상기 몸체부(3)의 두께가 t라면 상기 베이스(11)의 두께 또한 t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3)와 베이스(11)의 두께가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 결합부(10)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탭 터미널(1)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에 투입되는 재료비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재료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은 것을 사용하여 터미널(10)을 제조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0.3t의 재료를 사용하여 결합부(10)의 두께를 0.60t ~ 0.62t가 되도록 터미널(10)을 만들었다면, 이를 0.25t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11)와 벤딩부(12)의 사이에 약 0.1t ~ 0.12t의 갭을 두어야 한다. 즉, 상기 베이스(11)의 일측 표면에 벤딩부(12)가 밀착되게 절곡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갭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계가 될 경우 상기 벤딩부(12)의 선단은 상기 베이스(11)의 표면과의 사이에 갭이 있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상대 터미널의 일측에 의해 상기 벤딩부(12)의 선단이 눌러지면서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부(10)의 폭에 따라서는 상기 벤딩부(12)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11)를 향해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벤딩부(12)와 베이스(11) 사이의 틈새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시도들이 제시되었으나, 터미널(10)을 만들기 위한 재료의 두께와 프레스 금형자체의 가공 특성 때문에 실제로 적용이 불가능한 시도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탭 터미널 결합부의 베이스와 절곡부 사이의 갭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베이스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절곡된 각각 벤딩부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딩부의 선단에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와 벤딩부 사이에 스페이스공간을 유지하도록 하프블랭킹지지부가 벤딩부의 다른 부분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베이스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각각 절곡된 벤딩부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는 상기 각각의 벤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와 벤딩부 사이에 스페이스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돌부가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와 지지돌부는 각각의 벤딩부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결합부의 폭과 두께가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와 지지돌부는 상기 결합부의 중간 부분에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탭 터미널에서는 탭 터미널을 구성하는 재료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은 것을 사용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탭 터미널의 결합부의 치수를 요구되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탭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탭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종 단면도로 개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부의 구성이 횡단면도 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탭 터미널(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5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2)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52)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4)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4)는 와이어바렐(55)과 인슐레이션바렐(57)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55)은 전선의 심선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57)은 전선의 피복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탭 터미널(50)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52)의 선단에는 결합부(6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60)는 상대 터미널인 리셉터클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60)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몸체부(52), 바렐부(54) 및 결합부(60)는 명확하게 그 영역이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몸체부(52)와 바렐부(54) 그리고 몸체부(52)와 결합부(60) 사이가 그러하며, 편의상 명칭을 붙여 구별하는 것으로, 상기 바렐부(54)와 결합부(60)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60)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부(60)가 모재인 금속판을 겹치게 절곡하여 만들어지는데, 그 선단은 상대 터미널의 내부로 삽입이 원활하도록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와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면(6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0)는 베이스(62)와 벤딩부(64)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62)는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그 양단에서 상기 베이스(62)의 폭의 절반 정도 되는 상기 벤딩부(64)가 각각 절곡되어 베이스(62)와 마주보게 된다.
상기 베이스(62)와 벤딩부(64)의 사이에는 거의 전체 구간에 걸쳐 스페이스공간(66)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스공간(66)은 상기 베이스(62)와 벤딩부(64) 사이에 만들어진 공간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모재로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결합부(60)를 만들어내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스페이스공간(66)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즉 상기 결합부(60)의 두께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벤딩부(64)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에는 하프블랭킹지지부(68)가 형성된다.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는 상기 벤딩부(64)의 선단을 하프블랭킹하여 상기 베이스(62)의 표면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프블랭킹은 모재의 일부를 절단해내는 블랭킹공정을 절반 정도만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가 상기 벤딩부(64)의 선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는 상기 결합부(60)의 중간 부분에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프블랭킹지지부(68)를 하프블랭킹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은, 상기 벤딩부(64)의 선단을 상기 베이스(62)의 표면을 향하도록 절곡하는 작업이 상기 모재의 두께 및 상기 벤딩부(64)의 폭 때문에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모재의 두께가 얇고 벤딩부(64)에서 절곡해야 하는 부분이 너무 폭이 좁으면 프레스 금형에서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하프블랭킹과 같이 벤딩부(64)의 선단을 절반정도만 블랭킹하여 단차지게 하는 것은 프레스 금형에서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기 스페이스공간(66)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벤딩부(64)의 선단을 베이스(62)의 표면에 지지하는 하프블랭킹지지부(68)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0)의 중간쯤에 한 군데에 소정 구간에 걸쳐서만 형성하였다. 하지만,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를 다수 곳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부(160)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160)를 구성하는 베이스(162)와 벤딩부(164)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나, 상기 베이스(162)와 벤딩부(164)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공간(166)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베이스(162)에 형성된 지지돌부(168)이다.
상기 지지돌부(168)는 상기 베이스(162)의 하면을 일정 영역 타격하여 상기 벤딩부(164)와 마주보는 부분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돌부(168)는 상기 결합부(16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구간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부(168)는 상기 각각의 벤딩부(164)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데, 상기 벤딩부(164)에서 상대 터미널과 접촉되는 부분(A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상기 지지돌부(168)는 상기 결합부(160)의 중간 부분에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탭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벤딩부(64)의 선단이 하프블랭킹되는 것을 설명한다. 다이(d)에 상기 벤딩부(64)가 될 부분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가 될 부분을 펀치(p)로 타격하는 것이다. 이때의 타격은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68)가 완전히 블랭킹되지 않고, 단차진 상태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벤딩부(64)에 일정 구간에 걸쳐 하프블랭킹지지부(68)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벤딩부(64)와 베이스(62)의 사이에 스페이스공간(66)이 정확하게 형성되어 유지될 수 있게 되고, 상기 결합부(60)의 두께가 설계된 값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프블랭킹지지부(68)를 형성하여 상기 벤딩부(64)와 베이스(6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도 4에 A영역으로 표시된 부분들, 즉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고안의 탭 터미널(50)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었을 때, 전기적 접촉 성능이 설계된 대로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탭 터미널(50)을 만들기 위한 모재를 전체적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탭 터미널(50)을 만들기 위한 재료의 사용량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가절감이 대폭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스공간(166)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62)에 지지돌부(168)를 형성하였다. 상기 지지돌부(168)는 상기 베이 스(162)에서 상기 벤딩부(16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벤딩부(164)가 상기 베이스(162)를 향해 이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돌부(168)를 형성함에 의해 상기 결합부(160)의 전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은 모재를 사용하면서도 원하는 값으로 만들어 낼 수 있어,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탭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탭 터미널의 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탭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탭 터미널의 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하프블랭킹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탭 터미널 52: 몸체부
54: 바렐부 55: 와이어바렐부
57; 인슐레이션바렐부 60: 결합부
62: 베이스 64: 벤딩부
66: 스페이스공간 68: 하프블랭킹지지부
160: 결합부 162: 베이스
164: 벤딩부 166: 스페이스공간
168: 지지돌부
Claims (5)
-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바렐부와;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베이스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절곡된 각각 벤딩부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벤딩부의 선단에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와 벤딩부 사이에 스페이스공간을 유지하도록 하프블랭킹지지부가 벤딩부의 다른 부분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탭 터미널.
-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바렐부와;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베이스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각각 절곡된 벤딩부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각각의 벤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와 벤딩부 사이에 스페이스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돌부가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탭 터미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와 지지돌부는 각각의 벤딩부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탭 터미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결합부의 폭과 두께가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탭 터미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블랭킹지지부와 지지돌부는 상기 결합부의 중간 부분에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탭 터미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829U KR200463650Y1 (ko) | 2008-12-18 | 2008-12-18 | 탭 터미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829U KR200463650Y1 (ko) | 2008-12-18 | 2008-12-18 | 탭 터미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551U KR20100006551U (ko) | 2010-06-28 |
KR200463650Y1 true KR200463650Y1 (ko) | 2012-11-15 |
Family
ID=4445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6829U KR200463650Y1 (ko) | 2008-12-18 | 2008-12-18 | 탭 터미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650Y1 (ko) |
-
2008
- 2008-12-18 KR KR2020080016829U patent/KR2004636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551U (ko) | 2010-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01854B2 (en) | Female terminal | |
US9455516B2 (en) | Contact socke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 |
US11394136B2 (en) | Terminal | |
US9118131B2 (en) | Electrical terminal | |
US20070243772A1 (en) | Exposed-spring female terminal | |
JPH10189119A (ja) | 端子金具のカバー | |
US8523619B2 (en) | Terminal fitting | |
JP3478010B2 (ja) | 雄側端子金具 | |
JP2001155808A (ja) | 雌形接続端子 | |
KR200463650Y1 (ko) | 탭 터미널 | |
JP7144290B2 (ja) | 端子接続構造 | |
JP3388170B2 (ja) | 雌側端子金具 | |
US6443754B2 (en) | Pressure connecting terminal | |
KR100907541B1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JPH04174989A (ja) | 雄端子の製造方法 | |
JP7494786B2 (ja) | 雌端子、及び雌端子の製造方法 | |
JP2005038761A (ja) | 雌型端子 | |
KR200450639Y1 (ko) | 터미널 | |
KR20090004915U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JP2008117650A (ja) | 端子金具 | |
JP2007115429A (ja) | 圧接端子 | |
JPH1055837A (ja) | 雌側端子金具 | |
KR200447275Y1 (ko) | 터미널 | |
JP5762459B2 (ja) | 端子金具 | |
JP2002270269A (ja) | 電気コンタク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