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75Y1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75Y1
KR200447275Y1 KR2020070020534U KR20070020534U KR200447275Y1 KR 200447275 Y1 KR200447275 Y1 KR 200447275Y1 KR 2020070020534 U KR2020070020534 U KR 2020070020534U KR 20070020534 U KR20070020534 U KR 20070020534U KR 200447275 Y1 KR200447275 Y1 KR 200447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barrel portion
insul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51U (ko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의 몸체부(21)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21)의 선단에는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3)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와이어(31)와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25)가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25)중 인슐레이션바렐부(29)에는 와이어(31)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돌기(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30)는 한쌍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사이 거리가 와이어(31)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30)는 인슐레이션바렐부(29)중 와이어(31)가 안착되는 반대면에서 요입되어 와이어(31)가 안착되는 표면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31)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돌기(3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므로 와이어(31)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안내하여 와이어(31)와 바렐부(25)의 결합이 정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와이어, 안내돌기, 변형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 결합을 통해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바렐부의 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1)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상의 원재료를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순차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의 몸체부(3)선단에는 결합부(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5)는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13)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5)는 바닥판(6)과 상기 바닥판(6)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아치형상으로 절곡되는 누름절곡편(7)으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절곡편(7)의 선단과 상기 바닥판(6)의 사이로 상기 탭터미널(13)이 삽입된다.
상기 몸체부(3)의 후단에는 바렐부(9,9')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9,9')는 와이어(11)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크게 와이어바렐부(9)와 인슐레이션바렐부(9')로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9')에는 와이어(11)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절결편(10)이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9')의 일부를 잘라 세워져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9')는 와이어(11)의 인슐레이션을 압착하고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바렐부(9)는 상기 와이어(11)의 심선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안내절결편(10)은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9')에 상기 와이어(11)를 안착시킬 때, 그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 안내절결편(10)은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9')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만든 것이어서, 제조과정 및 와이어(11)와의 결합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안내절결편(10)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면, 상기 와이어(11)의 결합을 위한 작업시에 상기 안내절결편(10)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11)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9')에 상기 와이어(11)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슐레이션바렐부에서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를 반대면을 가압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의 심선과 결합되는 와이어바렐부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과 결합되는 인슐레이션바렐부로 구성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돌기가 와이어가 안착되는 반대면이 요입되고 와이어가 안착되는 표면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는 돌출된 표면이 곡면으로 되고, 상기 안내돌기 사이의 거리는 와이어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안내돌기를 인슐레이션바렐부의 내면 양단에 반대면을 가압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만들게 되면 외력에 의한 안내돌기의 변형이 없어 와이 어를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인슐레이션바렐부에 와이어를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탭터미널에 본 고안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0)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상의 원재료를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순차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21)의 선단에는 결합부(2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3)는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3)의 형상은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부(23)의 형상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부(23)를 형성하는 바닥판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아치형상으로 절곡되는 누름절곡편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터미널인 경우 결합부(23)는 전후로 개구된 박스형상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결합부(23)의 형상이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21)의 후단에는 바렐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5)는 와이어(31)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와이어바렐부(27)와 인슐레이션바렐부(29)로 구성 된다. 상기 와이어바렐부(27)는 상기 와이어(31)중에서 도체부분인 심선이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부분이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는 와이어(31)의 외면을 둘러싸는 인슐레이션을 둘러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바렐부(27)에는 와이어(31)의 심선과의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접촉비드(2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접촉비드(28)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촉비드(28)의 연장방향은 와이어(3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에는 안내돌기(3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기(30)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2개가 쌍을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30) 사이의 거리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1)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31)와 터미널(20)의 연결시에, 와이어(31)를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의 내부로 넣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30)의 사이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돌기(30)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중에서 와이어(31)가 위치되는 면으로 돌출되는데, 터미널(20)의 제작시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가 형성되는 부분의 외면을 펀치로 타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30)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9)가 절결되지 않고 단지 반대면이 요입됨에 의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30)는 펀치를 사용하여 인슐레이션바렐부(29)의 외면을 타격하여 형성하므로, 돌출되는 표면은 곡면으로 된다. 즉, 상기 안내돌기(30)의 표면은 곡면으로 되어 와이어(31)가 한쌍의 안내돌기(30) 사이로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터미널(2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렐부(25)는 양단이 나란히 서로 마주보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즉, 상기 바렐부(25)의 와이어바렐부(27)와 인슐레이션바렐부(29)에 상기 와이어(31)를 안착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30)는 적어도 와이어(31)의 직경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바렐부(25)의 사이에 와이어(31)를 안착시킨다. 물론, 자동화된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비에서 자동적으로 와이어(31)가 상기 바렐부(25)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1) 선단에 노출된 심선은 상기 와이어바렐부(27)에 위치되고, 와이어(31)의 인슐레이션 선단이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7)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7)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한쌍의 안내돌기(30)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1)가 안착된다.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안내돌기(30) 선단의 곡면을 따라 안내되어 안내돌기(30)의 사이로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30)의 사이에 와이어(3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7)를 절곡하여 상기 와이어(31)를 압착시켜 잡아주면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7)에 의해 터미널(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 기 와이어(31)의 인슐레이션이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27)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바렐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부에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터미널 21: 몸체부
23: 결합부 25: 바렐부
27: 와이어바렐부 29: 인슐레이션바렐부
30: 안내돌기 31: 와이어

Claims (3)

  1.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의 심선과 결합되는 와이어바렐부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과 결합되는 인슐레이션바렐부로 구성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돌기가 와이어가 안착되는 반대면이 요입되고 와이어가 안착되는 표면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돌출된 표면이 곡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 사이의 거리는 와이어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070020534U 2007-12-21 2007-12-21 터미널 KR200447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34U KR200447275Y1 (ko) 2007-12-21 2007-12-21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34U KR200447275Y1 (ko) 2007-12-21 2007-12-21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51U KR20090006351U (ko) 2009-06-25
KR200447275Y1 true KR200447275Y1 (ko) 2010-01-13

Family

ID=4132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534U KR200447275Y1 (ko) 2007-12-21 2007-12-21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7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836A (en) 1977-04-14 1978-08-15 Amp Incorporated Crimp barrel for thick, flat, flexible cable
JPH0613114A (ja) * 1991-08-09 1994-01-21 Molex Inc 絶縁被覆切り込み電気端子
JPH10172624A (ja) 1996-12-09 1998-06-2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の電線保持方法及びコネクタ端子
US6139376A (en) 1997-05-09 2000-10-31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836A (en) 1977-04-14 1978-08-15 Amp Incorporated Crimp barrel for thick, flat, flexible cable
JPH0613114A (ja) * 1991-08-09 1994-01-21 Molex Inc 絶縁被覆切り込み電気端子
JPH10172624A (ja) 1996-12-09 1998-06-2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の電線保持方法及びコネクタ端子
US6139376A (en) 1997-05-09 2000-10-31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51U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1090B1 (en) Press-fit terminal, connector incorporating same, press-fit terminal continuum, and body wound with press-fit terminal continuum
JP6119524B2 (ja) 端子金具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68906B2 (en) Electric terminal
US8388364B2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JP2007123265A (ja) 電気接点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JP6652583B2 (ja) 端子付き電線
TWI651903B (zh) 同軸連接器
US10622743B2 (en)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JP200919376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KR200447275Y1 (ko) 터미널
TWI616037B (zh) 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2015207353A (ja) 電線用コネクタ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6013130B2 (ja) 圧接コネクタ及び端子装着方法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CN202159789U (zh) 电连接器
JP2021057184A (ja) 雄端子、および雄コネクタ
JP7494786B2 (ja) 雌端子、及び雌端子の製造方法
JP5962994B2 (ja)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CN102832472A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80000734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1819968B1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