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87Y1 -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 Google Patents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87Y1
KR200463587Y1 KR20100006204U KR20100006204U KR200463587Y1 KR 200463587 Y1 KR200463587 Y1 KR 200463587Y1 KR 20100006204 U KR20100006204 U KR 20100006204U KR 20100006204 U KR20100006204 U KR 20100006204U KR 200463587 Y1 KR200463587 Y1 KR 200463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cap body
inlet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6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709U (ko
Inventor
한우
문상권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100006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87Y1/ko
Priority to PCT/KR2011/003186 priority patent/WO2011159020A2/en
Publication of KR20110011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7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rupturing a portion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출용 누름 캡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기와 결합하여 밀폐하는 용기 캡에 있어서 캡본체, 압착면, 누름판 및 패킹을 포함한다. 캡본체는 나선체결에 의하여 용기와 체결된다. 압착면은 상기 캡 본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캡본체 결합 시 상기 용기 입구와 압착된다. 누름판은 상기 압착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마개 내부로 일정한 탄성으로 눌려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패킹은 상기 캡본체와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에 의한 누름식 캡과 이를 구비한 발효식 전통주 용기에 의하면 누름판의 압박에 의하여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용기 개봉시 내용물이 넘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a Pushing cap and the bott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 배출용 누름 캡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캡을 열었을경우 내용물이 넘치지 않도록 작용하는 막걸리 등 전통주용 용기 캡에 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생막걸리는 생산 후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유통과정을 거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효가스를 배출하므로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경우, 용기 내 압력이 발효가스에 의해 증가하고 팽창압력이 용기 내에 고르게 발생하여 용기 입구가 마개 및 패킹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 경우 계속적인 내압의 증가로 용기의 변형이나 마개가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면에 밀폐가 불완전 한 경우에는 용기가 기울어 졌을 때 내용물이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 시키거나, 발효가스가 너무 많이 빠져나가 막걸리 본래의 향과 맛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생막걸리 등의 발효식품의 포장을 위해서는 발효식품을 담은 용기 내에 일정량의 발효가스를 유지하여 식품의 맛과 향을 보존하면서도, 과도한 내압 증가에 의한 용기나 마개의 파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이에 적용되는 포장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비용-고효율의 포장 설계를 요한다.
한편, 내용물을 미세하게 거르지 않는 막걸리의 내용물 특성상 유통중 필연적으로 침전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음용전 침전물을 섞어 주기 위해 막걸리 병을 흔들게 된다. 이 때 막걸리병 내부의 내용물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이 후 뚜껑을 열 경우 대기압과의 압력차이로 인하여 내용물과 탄산가스가 섞여 거품 상태로 흘러 넘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발효식 전통주의 용기를 개봉하여 음용할 경우 내부 탄산가스와 대기중의 압력차로 인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이 끓어 올라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용기의 개봉전 내부의 탄산가스를 일정량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대기압과의 평형을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와 결합하여 밀폐하는 용기 캡에 있어서 캡본체, 압착면, 누름판 및 패킹을 포함한다. 캡본체는 나선체결에 의하여 용기와 체결된다. 압착면은 상기 캡 본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캡본체 결합 시 상기 용기 입구와 압착된다. 누름판은 상기 압착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마개 내부로 일정한 탄성으로 눌려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패킹은 상기 캡본체와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압착면 둘레에 상기 누름판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절개선을 구비하여 상기 타공돌기가 압박하는 경우 용기 내부의 가스 배출에따라 떨림음을 발생하는 떨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본체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상기 타공돌기의 압박에 의하여 타공되는 경우 구김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압착면과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돌기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 전통주 보관 용기는 다음과 같은 캡과 용기 본체를 포함한다. 캡은 나선체결에 의하여 용기와 체결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 본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캡본체 결합 시 상기 용기 입구와 압착되는 압착면과, 상기 압착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마개 내부로 일정한 탄성으로 눌려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누름판과 상기 캡본체와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는 입구측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상기 캡본체와 체결되고, 외주면에는 중심축방향으로 일정길이의 홈이 형성되는 캡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면 둘레에 상기 누름판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돌기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본체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상기 타공돌기의 압박에 의하여 타공되는 경우 구김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압착면과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누름식 캡과 이를 구비한 발효식 전통주 용기에 의하면 누름판의 압박에 의하여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용기 개봉시 내용물이 넘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돌기에 의하여 용기 내의 탄산가스를 캡 내부 공간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탄산가스 배출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탄산가스 압력과 대기압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특수한 충진/캡핑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기존의 일반 적인 막걸리 충진/캡핑 설비를 이용하여 막걸리 등 발효식 전통주를 제조 할 수 있으며, 미리 제조된 패킹을 일반 막걸리 캡 등의 제조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삽입 할 수 있어 특별한 설비가 없이도 기존의 막걸리 캡 제조 설비를 활용하여 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스가 빠져나가면서 떨림판을 울려 특정한 소리를 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청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누름판이 눌려진 상태의 캡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킹이 구비된 캡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의 다층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킹이 타공된 상태의 캡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불연속적인 나사산 및 홈이 형성된 용기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천공돌기에 미세 관통구가 형성된 캡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상하좌우' 등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용기와 결합하여 밀폐하는 용기 캡(100)에 그 주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용기 캡(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110), 압착면(120), 누름판(121), 탄성부재(122) 및 패킹(20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캡본체(110)는 용기 캡(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원통형상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캡본체(110)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용기와 나사방식(나선체결)으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캡본체(110)의 상부에는 캡본체(110) 상단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일정부분 연장형성된 압착면(120)이 형성된다. 압착면(120)은 용기(300; 도 7참조)와 캡본체(110)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용기(300)의 입구와 압착된다. 압착면(120)은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용기(300)의 입구가 캡본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누름판(121)은 압착면(12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누름판(121)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22)를 통하여 상술한 압착면(120)과 연결된다. 누름판(121)이 외력에 의하여 아래방향으로 눌리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2)가 변형되면서 누름판(121)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간다. 이 때 탄성부재(122)의 반발력을 조절함으로써 아래방향으로 내려간 누름판(121)이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 상태로 복귀하거나 눌린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누름판(121), 탄성부재(122) 및 압착면(120)은 각각 두께만 달리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판(121) 저면에는 타공돌기(123)가 형성된다. 타공돌기(123)는 누름판(121)의 저면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121)이 눌려 내려가는 경우 후술할 패킹(200)을 타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돌출부(114)는 캡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돌출부(114)는 상술한 누름판(121)이 윗 방향으로 최대한 위치한 경우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유통 중에도 상술한 눌림판이 쉽게 눌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패킹(200)은 용기의 입구(301)가 캡 본체(110)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 압착면(120)과 용기의 입구(301) 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패킹(200)은 압착면(120)과 욕기의 입구(301)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밀폐성을 장시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패킹(200)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200)은 부칙포 층, 다수의 합성 수지층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캡 본체(110)와 용기의 입구(301)가 체결되는 경우 압착면(120)과 용기의 입구(301) 상단의 사이에서 일정부분 수축됨으로써 용기의 입구(301)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직포층(201)이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층(201)은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제1합성수지층(20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합성수지층(202)은 중앙에 일정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술한 타공돌기(123)의 타공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일정한 강도 이상으로 형성되어 패킹(2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2합성수지층(203) 및 제3합성수지층(204)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2합성수지층(203)과 제3합성수지층(204)에는 각각 반절개선이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반절개선이란 합성수지층의 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이후 타공돌기(123)에 의하여 원하는 부분에 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유통 중 상기 반절개선이 원치않게 절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가 기울어지더라도 용기 내부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두 장의 필름은 접하게 되므로 절개선이 다른 합성수지층에 의하여 폐색되어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가스가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는다.
제1합성수지층(202), 제2합성수지층(203) 및 제3항성수지층(204)은 종류나 두께는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가지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또는 PP/PE, PP/PE/PP, PET/CPP 등의 다양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패킹(200)을 이루는 층 들은 열접착 방식에 의하여 접착한 후 패킹(200)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 걸림 돌기(111)를 형성하여 패킹(20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패킹(200)의 일 층에는 타공돌기(123)가 압박하는 경우 용기 내부의 가스 배출에 따라 떨림음을 발생하는 떨림판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떨림판은 합성수지 상에 평행한 두 반절개선을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는 구김층(20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김층(205)은 다른 패킹(200)을 구성하는 층보다 타공돌기(123)의 압박시 견디는 강도가 더 좋거나 반 절개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형성한다. 구김층(205)은 타층에 비하여 타공이 될 때까지 타공돌기(123)에 의하여 더 밀리도록 함으로써 타공시 구김현상이 발생하도록 한다. 구김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압착면(120)과 용기의 입구(301) 상단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용기본체(300)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미세한 틈을 만들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110)와 용기의 입구(301; 도 7참조) 외주면 사이에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캡 본체(110)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2)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나사산 사이에 가스 배출통로(113)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스 배출통로는 용기 본체(300)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즉, 용기(300)의 입구(301)에 형성된 나사산(310)을 불연속적으로 형성시켜 제2가스 배출통로(311)를 형성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제2가스 배출통로(311)를 따라 용기 입구(301)에 일정길이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배출 가스가 배출될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배출통로(112, 311)를 통하여 캡(100)과 용기본체(300)가 결합된 경우에도 캡(100) 내주면과 용기 입구(301)의 외주면 사이에 가스가 배출될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더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미세관통구(124)를 형성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미세 관통구(124)는 타공돌기(124)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판(121)이 눌려 패킹(200)에 타공하고 난 후 용기본체(300) 내부의 탄산가스는 미세 관통구(1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 때 미세 관통구(124)의 직경이 크지 않으므로 서서히 가스가 배출되고 용기 본체(300) 내부의 내용물이 급격히 끓어 올라 넘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누름판이 형성된 캡 및 이를 구비한 발효식 전통주 용기로 구현될 수 있다.
100: 캡 110: 캡본체
111: 패킹 고정돌기 112, 310: 나사산
120: 압착판 121: 누름판
122: 탄성부 123: 타공돌기
200: 패킹 300: 용기본체
311: 배출홈

Claims (11)

  1. 용기와 결합하여 밀폐하는 용기 캡에 있어서,
    나선체결에 의하여 용기와 체결되는 캡본체;
    상기 캡 본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캡본체 결합 시 상기 용기 입구와 압착되는 압착면;
    상기 압착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마개 내부로 일정한 탄성으로 눌려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누름판; 및
    상기 캡본체와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돌기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는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면 둘레에 상기 누름판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절개선을 구비하여 상기 타공돌기가 압박하는 경우 용기 내부의 가스 배출에따라 떨림음을 발생하는 떨림판을 더 포함하는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형성되는 캡.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타공돌기의 압박에 의하여 타공되는 경우 구김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압착면과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더 포함하는 캡.
  6. 삭제
  7. 나선체결에 의하여 용기와 체결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 본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캡본체 결합 시 상기 용기 입구와 압착되는 압착면과, 상기 압착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마개 내부로 일정한 탄성으로 눌려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누름판과 상기 캡본체와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캡; 및
    입구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상기 캡본체와 체결되고, 입구 외주면에는 중심축방향으로 일정길이의 홈이 형성되는 캡 체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돌기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는 발효식 전통주 보관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면 둘레에 상기 누름판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발효식 전통주 보관 용기.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형성되는 발효식 전통주 보관 용기.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타공돌기의 압박에 의하여 타공되는 경우 구김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압착면과 상기 용기의 입구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더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보관 용기.
KR20100006204U 2010-06-14 2010-06-14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KR200463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6204U KR200463587Y1 (ko) 2010-06-14 2010-06-14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PCT/KR2011/003186 WO2011159020A2 (en) 2010-06-14 2011-04-29 Pushing cap and the bott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6204U KR200463587Y1 (ko) 2010-06-14 2010-06-14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09U KR20110011709U (ko) 2011-12-21
KR200463587Y1 true KR200463587Y1 (ko) 2012-11-12

Family

ID=4534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6204U KR200463587Y1 (ko) 2010-06-14 2010-06-14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3587Y1 (ko)
WO (1) WO20111590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6293B2 (ja) * 2012-09-26 2017-04-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CN103449020B (zh) * 2013-10-07 2015-10-21 东莞亲亲我实业有限公司 一种盖子和具有盖子的储物容器
KR20180000048U (ko) 2016-06-27 2018-01-04 정복철 건물용 차양기구
KR102155234B1 (ko) * 2019-01-08 2020-09-11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52A (ja) * 2004-11-11 2006-06-01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金属製容器、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56Y1 (ko) * 1998-09-28 2004-07-21 오일기업 주식회사 탁주병마개구조
KR200233048Y1 (ko) * 2001-02-20 2001-09-29 박종욱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KR101006921B1 (ko) * 2003-02-14 2011-01-10 노희권 자동으로 실링 부재가 제거되는 뚜껑
KR200372642Y1 (ko) * 2004-10-12 2005-01-15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부직포를 이용한 가스 배출용 패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52A (ja) * 2004-11-11 2006-06-01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金属製容器、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9020A3 (en) 2012-02-23
WO2011159020A2 (en) 2011-12-22
KR20110011709U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3494B2 (ja) コーヒーや一般的な可溶性製品に用いられるカートリッジ
US6976578B1 (en) Dispensing lid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closure
US5431276A (en) Multifunctional lid
KR200463587Y1 (ko)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WO2014163007A1 (ja) 飲料容器用の水素封入キャップ
AU2020331283B2 (en)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and cap for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JP6202611B2 (ja) 二室容器及び二液の混合方法
TWI661983B (zh) 注出孔塞及包裝容器
MX2013000949A (es) Dispositivo de abertura de recipiente para alimento liquido y recipiente para alimento liquido.
JP6965287B2 (ja) 注入可能な食品の密封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シートパッケージ材料及び密封パッケージ
JP6427958B2 (ja) 注出口栓及び包装容器
CN105008237A (zh) 具有封盖和可移除薄膜的封闭物
JP2016159933A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KR200466245Y1 (ko) 누름 캡 및 이를 구비한 발효식 전통주 용기
KR200438848Y1 (ko) 발효가스 배출용 패킹
US20190084745A1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114730B1 (ko) 음료 추출용 종이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61925A (ja) 二室容器
JP2009234611A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KR101511998B1 (ko) 막걸리 병뚜껑에 장착되는 패킹
JP7408946B2 (ja) 蓋付容器
JP7134765B2 (ja) 加熱容器
KR101208187B1 (ko) 탁주병용 합성수지마개
RU2718335C1 (ru) Емкость для упаковки влагосодержаще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KR20160001374U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