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48U - 건물용 차양기구 - Google Patents

건물용 차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48U
KR20180000048U KR2020160003677U KR20160003677U KR20180000048U KR 20180000048 U KR20180000048 U KR 20180000048U KR 2020160003677 U KR2020160003677 U KR 2020160003677U KR 20160003677 U KR20160003677 U KR 20160003677U KR 20180000048 U KR20180000048 U KR 20180000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building
box
fixed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복철
Original Assignee
정복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복철 filed Critical 정복철
Priority to KR2020160003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048U/ko
Publication of KR20180000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가림으로써 더운 여름철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도 있는 건물용 차양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건물의 외벽 창틀이나 창틀 위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박스; 상기 박스의 중심부에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축; 상기 메인축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펼침대; 접이식 부채와 같이 다수의 주름을 가짐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박스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펼침대에 고정되는 차양막체; 상기 메인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양막체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메인축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용 차양기구{Apparatus For Parasol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용 차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를 포함한 건물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가림으로써 더운 여름철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도 있는 건물용 차양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1층 출입구나 발코니에는 햇빛을 가리거나 비를 피하기 위하여 차양 또는 파라솔이 설치된다. 차양 중에는 건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또는 수조작으로 펼쳐지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는 롤형태로 박스 내부에 감겨 있다가 건물 전방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차양기구를 보통 어닝(awning)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롤형 차양은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구의 규모가 전체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다. 차량막의 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구적으로 복잡하기도 하고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보통은 레스토랑이나 커피전문점과 같이 상업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001170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79494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햇빛을 가리거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용 차양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여 아파트와 같은 개인세대에 가정용으로 널리 설치할 수 있는 건물용 차양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건물의 외벽 창틀이나 창틀 위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박스; 상기 박스의 중심부에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축; 상기 메인축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펼침대; 접이식 부채와 같이 다수의 주름을 가짐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박스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펼침대에 고정되는 차양막체; 상기 메인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양막체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메인축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양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차양막체는 부채살처럼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살과 상기 지지살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막을 형성하는 시트; 상기 지지살이 무게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메인축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메인축과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회전링; 일단은 상기 하부회전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차양막체는 수평면에 대하여 10 ~3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양이 부채와 같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차양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롤방식의 차양에서와 같이 차양의 끝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기계적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경량화할 수 있는 건물용 차양기구가 제공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차양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차양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차양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차양기구의 메인축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차양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차양기구의 메인축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며 설명한다.
횡방향으로 기다란 박스(10)가 건물(1)의 외벽 창틀(2)이나 창틀(2) 위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박스(10)는 창틀 또는 창틀 상부에 있는 건물(1)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창틀에는 유리창(3)이 설치되며, 본 고안의 차양기구는 창틀(1)을 통해 들이치는 비나 햇빛을 가리기 위한 것이다.
박스(10)는 상판(11), 전면판(12), 뒤판(13), 측판(14) 및 하판(15)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전면판(12)은 개폐 가능한 도어가 될 수 있다. 전면판(12)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데,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들려지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나아가 전면판(12)은 위로 들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박스(10)의 중심부에는 메인축(31)이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메인축(31)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메인축(31)과 박스(10)의 상,하판(11,15)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입된다. 박스(10) 내부에는 차양막체(20)가 설치된다. 차양막체(20)는 메인축(31)에 고정되어 메인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막대 형태의 펼침대(24)를 포함한다. 펼침대(24)는 그의 일단부가 메인축(31)에 고정됨으로써 그의 타단부가 메인축(31)의 회전에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펼침대(24)와 메인축(31) 사이에는 상부고정링(25)이 매개된다. 상부고정링(25)은 메인축(31)에 고정되어 그와 함께 회전된다. 펼침대(24)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24')가 하부고정링(25')을 통해 메인축(31)에 연결된다. 하부고정링(25') 역시 메인축(31)에 고정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차양막체(20)가 일단은 상기 박스(10)의 뒤판(13)의 앞면(13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펼침대(24)에 고정된다. 차양막체(20)는 접이식 부채와 같이 다수의 주름을 가짐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차양막체(20)는 부채와 유사한 구성과 작용을 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즉 차양막체(20)는 부채를 펼쳐서 햇빛을 가리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메인축회전수단은 메인축(31)을 회전시킴으로써 차양막체(2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막체(20)는 부채살처럼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살(22)과, 지지살(22)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햇빛 또는 비를 가리기 위한 막을 형성하는 시트(21)를 포함한다. 지지살의 일단은 상부회전링(26)을 통해 메인축에 지지된다. 상부회전링(26)은 메인축(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살(22)은 상부회전링(26)에 대하여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게끔 연결된다. 서로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려질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부회전링(26)의 원주방향을 따라 레일을 만들고 지지살(22)이 이 레일에 끼워지는 방식이 이용된다. 즉 창틀에 고정되는 커튼봉 및 여기에 설치되는 커튼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또한 차양막체(20)는 지지살(22)이 무게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처짐방지수단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처짐방지수단은 메인축(31)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부회전링(26')과, 지지살(22)과 메인축(31) 간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삼각구도가 되도록 지지되는 버팀대(22')를 포함한다. 하부회전링(26')은 메인축(31)과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고, 복수 개의 버팀대(22')는 일단이 하부회전링(26')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살(22)에 연결된다. 버팀대(24')의 일단은 하부회전링(26')을 따라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버팀대(26')의 구체적인 구성과 원리는 우산, 양산 또는 파라솔을 참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인축(31)을 일방향, 즉 도 3의 평면도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차양막체(20)가 부채와 같이 펼쳐지게 되어 처마와 같이 창문 상단에 펼쳐지게 된다.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펼침대(24)를 박스의 뒤판 앞면(13a)에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고정수단은 후크, 클램프, 자석, 고정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축(31)을 다른 방향, 즉 도 3의 평면도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차양막체(20)가 차곡차곡 접히면서 다시금 박스(10) 내부에 인입되어 도 1의 상태가 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막체(20)는 부채와 같이 반원 형태가 아니고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로 기다란 형태로 되어 있다. 중앙부에 설치되는 지지살(22)과 시트(21)는 짧고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살(22)과 시트(21)는 길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막체는 수평면에 대하여 10 ~30°의 각도(K, 도 5 참조)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빛을 더 효과적으로 가리기 위한 것이고 빗물이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축회전수단은 메인축(31)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메인축(31)의 회전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할 수도 있고 모터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동 방식을 예시한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인축회전수단은 메인축(31)에 연결되는 종동휠(34)과, 박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휠(35)과, 구동휠(3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휠 회전수단과, 구동휠(35)과 종동휠(34)을 연결하는 구동벨트(42)를 포함한다(도 6 참조). 종동휠(34)과 메인축(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열(32,33)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축(31)은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종동휠(34)은 지면에 수평인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끔 구성된다.
구동휠 회전수단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창문에 널리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개폐방식과 동일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구동휠 회전수단은 고리 형태의 끈부재(40)와, 상기 끈부재(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서 구동휠과 동일한 축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풀리(43)를 포함한다. 끈부재(40)에는 공지의 중량추(41)가 연결되어 끈부재(40)가 하방향으로 당겨져 있도록 할 수 있다. 끈부재(40)는 구슬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건물 2 : 창틀
10 : 박스 12 : 전면판
20 : 차양막체 21 : 시트
22 : 지지살 22' : 버팀대
24 : 펼침대 25 : 상부고정링
25' : 하부고정링 26 : 상부회전링
26' : 하부회전링 31 : 메인축
32, : 기어열 34 : 종동휠
35 : 구동휠 40 : 끈부재
41 : 중량추 42 : 구동벨트
43 : 구동풀리

Claims (4)

  1. 건물의 외벽 창틀이나 창틀 위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박스;
    상기 박스의 중심부에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축;
    상기 메인축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펼침대;
    접이식 부채와 같이 다수의 주름을 가짐으로써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박스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펼침대에 고정되는 차양막체;
    상기 메인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양막체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메인축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양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체는 부채살처럼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살;
    상기 지지살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막을 형성하는 시트;
    상기 지지살이 무게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양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메인축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메인축과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하부회전링;
    일단은 상기 하부회전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양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체는 수평면에 대하여 10 ~3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양기구.
KR2020160003677U 2016-06-27 2016-06-27 건물용 차양기구 KR201800000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77U KR20180000048U (ko) 2016-06-27 2016-06-27 건물용 차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77U KR20180000048U (ko) 2016-06-27 2016-06-27 건물용 차양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8U true KR20180000048U (ko) 2018-01-04

Family

ID=6127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77U KR20180000048U (ko) 2016-06-27 2016-06-27 건물용 차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04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554A (zh) * 2019-01-16 2019-04-09 鲁文明 一种多功能扇形骨架及车窗遮帘
CN111186279A (zh) * 2020-01-21 2020-05-22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前挡风玻璃遮阳装置
CN115009393A (zh) * 2022-07-07 2022-09-06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型送物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494A (ko) 2008-12-31 2010-07-08 (주)에스씨디아이 위성신호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기 및 그 중계기의 관리방법
KR20110011709U (ko) 2010-06-14 2011-12-21 씨제이제일제당 (주)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494A (ko) 2008-12-31 2010-07-08 (주)에스씨디아이 위성신호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기 및 그 중계기의 관리방법
KR20110011709U (ko) 2010-06-14 2011-12-21 씨제이제일제당 (주) 누름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식 전통주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554A (zh) * 2019-01-16 2019-04-09 鲁文明 一种多功能扇形骨架及车窗遮帘
CN109591554B (zh) * 2019-01-16 2024-02-23 鲁文明 一种多功能扇形骨架及车窗遮帘
CN111186279A (zh) * 2020-01-21 2020-05-22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前挡风玻璃遮阳装置
CN115009393A (zh) * 2022-07-07 2022-09-06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型送物机器人
CN115009393B (zh) * 2022-07-07 2024-03-26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型送物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935B2 (en) Rigid retractable patio or window awning and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KR20180000048U (ko) 건물용 차양기구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WO2015111590A1 (ja) 窓の日射遮蔽装置
US20180135351A1 (en) Window Shade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KR20130115824A (ko) 창틀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장치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US3807481A (en) Device for shielding sunlight
KR101618204B1 (ko)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CN206903553U (zh) 一种带边框的窗帘
KR20060076681A (ko) 부분차양이 가능한 차양장치
CN205638071U (zh) 一种旋转窗户
CN217759671U (zh) 一种窗饰折叠篷
CN204457372U (zh) 一种遮阳窗防松装置
CN220890013U (zh) 一种隔热复合开窗
KR101448221B1 (ko) 장착과 사용이 용이한 어닝
CN205558757U (zh) 一种简单实用的手动外窗遮阳蓬
CN212562078U (zh) 一种通风隔热玻璃幕墙
CN219396902U (zh) 一种抗风能力强的绿色美观防尘型窗帘
KR20190017308A (ko) 병풍 가구
CN213450171U (zh) 内置遮阳卷帘的中空玻璃
EP3472418A1 (en) Fastener for a window covering, and a method for fastening a window covering to a glass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8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4

Effective date: 2018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