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04B1 -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04B1
KR101618204B1 KR1020150018487A KR20150018487A KR101618204B1 KR 101618204 B1 KR101618204 B1 KR 101618204B1 KR 1020150018487 A KR1020150018487 A KR 1020150018487A KR 20150018487 A KR20150018487 A KR 20150018487A KR 101618204 B1 KR101618204 B1 KR 101618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ller
end cap
screw nu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102015001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시얼 락이 일 방향으로 회전시 볼트 스크류에 끼워진 스크류 너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스크류 너트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텐션 스프링이 늘어나서 복원력을 축적하도록 함으로써, 스플라인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에 이러한 복원력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가해져 스크린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며, 스크린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스크린의 펄럭임과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롤러 튜브의 일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1 엔드캡(End Cap); 제1 엔드캡을 관통하여 제1 엔드캡에 고정되는 롤러 샤프트; 롤러 샤프트의 일측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볼트 스크류; 볼트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볼트 스크류 상을 직선 운동하는 스크류 너트; 및 롤러 샤프트의 타측 외주면 일부에 끼워지며 일측 단부는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omitted}
본 발명은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시얼 락이 일 방향으로 회전시 볼트 스크류에 끼워진 스크류 너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스크류 너트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텐션 스프링이 늘어나서 복원력을 축적하도록 함으로써, 스플라인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에 이러한 복원력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가해져 스크린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며, 스크린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스크린의 펄럭임과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어닝 장치는 직사광선, 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의 출입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일사량 조절 기능과 외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어닝은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대표적인 옥외 차양에 속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거리의 상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이식 어닝의 개폐는 일상중에 일기의 변화는 물론, 상점의 쇼 윈도우 앞을 통행하는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기 위해서도 종종 행해진다.
어닝에는 수동식 어닝과 자동식 어닝이 있다.
수동식 어닝은 핸들을 손으로 돌리면서 회전하여 폴딩암(Folding Arm)을 접철시키면서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차양막을 개폐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수동식 어닝은 개폐시마다 옥외로 나가서 핸들을 잡고 회전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다.
자동식 어닝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을 개폐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자동식 어닝은 장치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어닝은 구조상 스크린(차양막)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고 펄럭이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끈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펄럭임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이 되기 어렵다. 스크린이 흔들리고 펄럭이면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닝의 고유한 목적 달성에 장애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184852호(2012.9.20.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스크린의 펄럭임과 흔들림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어닝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는 롤러 튜브의 일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1 엔드캡(End Cap); 제1 엔드캡을 관통하여 제1 엔드캡에 고정되는 롤러 샤프트; 롤러 샤프트의 일측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볼트 스크류; 볼트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볼트 스크류 상을 직선 운동하는 스크류 너트; 및 롤러 샤프트의 타측 외주면 일부에 끼워지며 일측 단부는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샤프트의 일측에 삽입되되 롤러 샤프트와 무관하게 회전하는 샤프트 서포트; 롤러 샤프트의 타측에 삽입되되 롤러 샤프트와 무관하게 회전하며, 텐션 스프링의 타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홀더를 구비하는 엔드 서포트; 샤프트 서포트와 스크류 너트 사이 및 스크류 너트와 엔드 서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류 너트를 관통하면서 샤프트 서포트와 엔드 서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스플라인(Spline); 롤러 튜브의 타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2 엔드캡; 일측 단부는 스플라인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엔드캡을 관통하여 롤러 튜브의 타측 단부 외부로 노출되는 액시얼 락(Axial Lock); 및 제2 엔드캡과 액시얼 락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시얼 락이 일 방향으로 회전시 볼트 스크류에 끼워진 스크류 너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스크류 너트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텐션 스프링이 늘어나서 복원력을 축적하도록 함으로써, 스플라인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에 이러한 복원력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가해져 스크린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스크린의 펄럭임과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가 적용된 어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의 개념도,
도 3은 도 2 중 제1 엔드캡의 평면도,
도 4는 도 2 중 롤러 샤프트와 볼트 스크류의 평면도,
도 5는 도 2 중 제2 엔드캡의 평면도,
도 6은 도 2 중 제2 엔드캡과 액시얼 락 및 베어링 서포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2 중 스플라인과 스크류 너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8과 도 9는 각각 샤프트 서포트와 엔드 서포트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가 적용된 어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 중 제1 엔드캡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 중 롤러 샤프트와 볼트 스크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 중 제2 엔드캡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 중 제2 엔드캡과 액시얼 락 및 베어링 서포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2 중 스플라인과 스크류 너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과 도 9는 각각 샤프트 서포트와 엔드 서포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롤러 튜브(2)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엔드캡(4), 롤러 샤프트(6), 볼트 스크류(8), 제2 엔드캡(10), 베어링 서포트(12), 스플라인(14), 샤프트 서포트(15), 엔드 서포트(16), 스프링 홀더(17), 스크류 너트(18), 텐션 스프링(20), 및 액시얼 락(Axial Lock)(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엔드캡(4)은 롤러 튜브(2) 의 일측 단부(도 2 기준으로 좌측 단부)를 개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엔드캡(4)에는 롤러 샤프트(6)가 끼워지는 타원 형상의 중공이 구비된다.
롤러 샤프트(6)는 제1 엔드캡(4)을 관통하여 제1 엔드캡(4)에 고정되며, 회전하지 않는다. 롤러 샤프트(6)의 일측 단부는 롤러 튜브(2)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롤러 튜크(2) 내부에 위치한다. 롤러 샤프트(6)의 외주면 일측에는 볼트 스크류(8)가 구비되고, 볼트 스크류(8)에는 스크류 너트(18)가 삽입된다. 롤러 샤프트(6)의 외주면 타측에는 텐션 스프링(20)이 삽입된다.
또한, 롤러 샤프트(6)의 일측에는 샤프트 서포트(15)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엔드 서포트(16)가 삽입된다. 이때, 샤프트 서포트(15) 및 엔드 서포트(16)와 롤러 샤프트(6) 간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샤프트 서포트(15) 및 엔드 서포트(16)는 서로 연동되어 회전하되, 샤프트 서포트(15) 및 엔드 서포트(16)의 회전과 롤러 샤프트(6)는 독립적이다.
볼트 스크류(8)는 롤러 샤프트(6)의 일측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다. 도 4에는 편의상 볼트 스크류(8)가 형성되는 위치만 도시되었고 나사산의 도시는 생략되었음을 밝혀둔다.
제2 엔드캡(10)은 롤러 튜브(2)의 타측 단부를 개폐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엔드캡(10)에는 앨시얼 락(22)과 베어링 서포트(12)가 장착된다.
베어링 서포트(12)는 제2 엔드캡(10)과 액시얼 락(22) 사이에 개재되어 액시얼 락(22)의 회전시 제2 엔드캡(10)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스플라인(14)은 샤프트 서포트(15)와 스크류 너트(18) 사이 및 스크류 너트(18)와 엔드 서포트(16)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류 너트(18)를 관통하면서 샤프트 서포트(15)와 엔드 서포트(16)를 서로 연결한다. 스플라인(14)의 일측 단부는 샤프트 서포트(15)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액시얼 락(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액시얼 락(22)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플라인(14)이 회전하면서 스크린(S)을 권취 또는 권출하게 된다.
샤프트 서포트(15)는 롤러 샤프트(6)의 일측에 삽입되되 롤러 샤프트(6)와 무관하게 회전한다. 샤프트 서포트(15)는 액시얼 락(22)과 스플라인(14) 및 엔드 서포트(16)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롤러 샤프트(6)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엔드 서포트(16)는 롤러 샤프트(6)의 타측에 삽입되되 롤러 샤프트(6)와 무관하게 회전한다. 엔드 서포트(16)는 텐션 스프링(20)의 타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홀더(17)를 구비한다.
스크류 너트(18)는 볼트 스크류(8)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볼트 스크류(8) 상을 직선 운동한다. 스크류 너트(18)는 스플라인(14)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텐션 스프링(20)의 일측 단부를 고정시킨다.
텐션 스프링(20)은 롤러 샤프트(6)의 타측 외주면 일부에 끼워진다. 텐션 스프링(20)의 일측 단부는 스크류 너트(18)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스프링 홀더(17)에 고정된다. 텐션 스프링(20)은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텐션 스프링의 구체적인 종류와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액시얼 락(Axial Lock)(22)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동력을 스플라인(14)에 전달하여 스플라인(14)에 권취되어 있는 스크린(S)을 펼치거나 감는다. 액시얼 락(22)의 일측 단부는 스플라인(14)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액시얼 락(22)의 타측 단부는 제2 엔드캡(10)을 관통하여 롤러 튜브(2)의 타측 단부 외부로 노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플라인(14)에는 스크린(S)이 롤러 형태로 감겨져 있다.
수동 또는 모터 등에 의한 자동으로 액시얼 락(22)을 회전시키면, 액시얼 락(22)에 결합된 스플라인(14)이 함께 회전하면서 스크류 너트(18)가 회전하게 된다. 예컨대, 액시얼 락(2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 너트(1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트 스크류(8) 상에서 좌측 방향(도 2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플라인(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린(S)은 권출되어 펼쳐지면서 도 1과 같이 차양막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텐션 스프링(20)의 길이가 늘어나고, 우측 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텐션 스프링(20)의 복원력은 스크류 너트(18)와 스플라인(14)을 거쳐 스크린(S)에 전달되며, 이로 인해 스크린(S)에는 텐션 스프링(20)의 복원력에 대응되는 인장력이 작용하여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펼쳐졌던 스크린(S)을 다시 감아서 권취하기 위해 펼침을 고정하는 수단을 작동시켜 액시얼 락(22)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면 텐션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스크류 너트(18)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트 스크류(8) 상에서 우측 방향(도 2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플라인(14)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린(S)은 권취되어 감기면서 롤러 튜브(2) 내로 삽입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액시얼 락(22)이 시계방향 및 시계 반대방향 회전시 스크린(S)이 각각 권출 및 권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와 반대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8 - 롤러 튜브 4 - 제1 엔드캡
6 - 롤러 샤프트 8 - 볼트 스크류
10 - 제2 엔드캡 12 - 베어링 서포트
14 - 스플라인 15 - 샤프트 서포트
16 - 엔드 서포트 17 - 스프링 홀더
18 - 스크류 너트 20 - 텐션 스프링
22 - 액시얼 락

Claims (2)

  1. 롤러 튜브의 일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1 엔드캡(End Cap);
    제1 엔드캡을 관통하여 제1 엔드캡에 고정되는 롤러 샤프트;
    롤러 샤프트의 일측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볼트 스크류;
    볼트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볼트 스크류 상을 직선 운동하는 스크류 너트;
    롤러 샤프트의 타측 외주면 일부에 끼워지며 일측 단부는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되는 텐션 스프링;
    롤러 샤프트의 일측에 삽입되되 롤러 샤프트와 무관하게 회전하는 샤프트 서포트;
    롤러 샤프트의 타측에 삽입되되 롤러 샤프트와 무관하게 회전하며, 텐션 스프링의 타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홀더를 구비하는 엔드 서포트;
    샤프트 서포트와 스크류 너트 사이 및 스크류 너트와 엔드 서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류 너트를 관통하면서 샤프트 서포트와 엔드 서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스플라인(Spline);
    롤러 튜브의 타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2 엔드캡;
    일측 단부는 스플라인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엔드캡을 관통하여 롤러 튜브의 타측 단부 외부로 노출되는 액시얼 락(Axial Lock); 및
    제2 엔드캡과 액시얼 락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서포트
    를 포함하는,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2. 삭제
KR1020150018487A 2015-02-06 2015-02-06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KR101618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487A KR101618204B1 (ko) 2015-02-06 2015-02-06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487A KR101618204B1 (ko) 2015-02-06 2015-02-06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204B1 true KR101618204B1 (ko) 2016-05-10

Family

ID=5602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487A KR101618204B1 (ko) 2015-02-06 2015-02-06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678B1 (ko) * 2020-01-15 2020-07-08 이형칠 스프링을 사용한 반자동 어닝
KR102228262B1 (ko) * 2020-09-15 2021-03-15 정찬우 시인성, 조작편의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 밸브 개폐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678B1 (ko) * 2020-01-15 2020-07-08 이형칠 스프링을 사용한 반자동 어닝
KR102228262B1 (ko) * 2020-09-15 2021-03-15 정찬우 시인성, 조작편의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 밸브 개폐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421A (en) Dual shape assembly
KR101345274B1 (ko) 스카이 어닝
JP6890776B2 (ja) ビニルハウス用遮光ロールスクリーンの張設装置
JPH11270089A (ja) 日除ロールスクリーン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US20170071139A1 (en) Greenhouse with synchronizing cover assembly and method for inducing plant photoperiodism in plants
KR101618204B1 (ko)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1744699B1 (ko) 기능성 어닝
KR20180000048U (ko) 건물용 차양기구
KR102323246B1 (ko) 스마트 그늘막 시스템
JP2001090451A (ja) 採光調節装置
KR101139907B1 (ko)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2296512B1 (ko) 회전식 차양막 장치
US3807481A (en) Device for shielding sunlight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1614648B1 (ko) 멀티 차양 파라솔
JP2004132053A (ja) 日除け装置及び汎用取付け装置
KR101448221B1 (ko) 장착과 사용이 용이한 어닝
JP2015030974A (ja) 遮蔽ユニット
US20180266176A1 (en) Motorized Roll-Up Window Shade
KR102592407B1 (ko) 차량용 롤타입 텐트
JP2003027858A (ja) 防水を兼ねた耐風ブラインド並びに該ブラインドを取り付けたブラインド取り付け装置及びブラインド雨戸。
KR101189735B1 (ko) 가변형 차양장치
JP2008002254A (ja) 日よけ材装着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