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07Y1 - 제환기 - Google Patents

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07Y1
KR200462707Y1 KR2020100012321U KR20100012321U KR200462707Y1 KR 200462707 Y1 KR200462707 Y1 KR 200462707Y1 KR 2020100012321 U KR2020100012321 U KR 2020100012321U KR 20100012321 U KR20100012321 U KR 20100012321U KR 200462707 Y1 KR200462707 Y1 KR 200462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screw
dough
gear
p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11U (ko
Inventor
안상준
Original Assignee
안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준 filed Critical 안상준
Priority to KR2020100012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0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0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20Extrusion means, e.g.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forms

Abstract

본 고안은 하단의 롤러에 의해 이동되고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레임을 갖으며 목적하는 환약의 직경에 따른 다수 개의 요홈을 갖는 한 쌍의 성형롤러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선단에 돌기를 갖고 하단에 연결구가 결합된 압출관 내부에 위치되어 환약반죽을 밀어내는 압출스크류를 갖으며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반죽압출부와, 상기 압출관 하단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내부의 환약반죽을 면으로 뽑아내는 다수 개의 압출공이 형성되는 면성형구와, 상기 면성형구와 압출관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리브를 갖고 리브에는 압출스크류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설공을 갖으며 리브에 의하여 양측에 반죽유입공을 갖는 보조성형구로 이루어지는 반죽압출장치를 구비하는 제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핸들조작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좌우측이동프레임이 형성되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죽압출장치는, 상기 반죽압출부의 압출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출관 상부일측에는 호퍼를 통해 환약반죽이 투입되는 반죽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압출관 내부 일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결합되는 연동스크류기어를 갖고 그 내측에 스크류기어를 갖는 구동축압출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 내부 타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기어와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연동기어를 갖는 연동압출스크류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제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환약반죽의 덩어리에 수분이 많거나 적든 그 환약반죽의 상태와 상관없이 큰 압출압력으로 환약반죽을 호퍼를 통해 성형롤러 측으로 압출시킬 수 있어 환약반죽의 압출효과가 크게 향상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환약 생산량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환기{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pills}
본 고안은 환약이나 구형상의 식품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제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약반죽의 덩어리에 수분이 많거나 적든 그 환약반죽의 상태와 상관없이 큰 압출압력으로 환약반죽을 호퍼를 통해 성형롤러 측으로 압출시킬 수 있어 환약반죽의 압출효과가 크게 향상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환약 생산량이 크게 증대되는 제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약(丸藥)은 가루로 만든 약재에 꿀, 풀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둥근 모양으로 빚은 약을 지칭하는 것으로,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蜜丸), 호환(湖丸), 수환(水丸), 약즙환, 엑스환 등이 있으며, 복용이 편하고 이동과 저장이 간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말상의 약재료를 환약으로 대량 제조하기 위한 제환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다수 개발된 바 있다.
이중, 중공축지지체에 양단이 지지되는 중공축의 중심에 상기 직선운동축을 설치하고, 중공축의 양측 외주면에 중심으로 관통하는 장공을 형성하며, 직선운동축의 측면으로부터 장공을 통해 축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베어링지지축의 단부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양측 베어링의 외륜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플레이트를 중공축에 설치하여서 된 실용실안등록 제391365호의 제환기에 의하면, 중공축과 베어링을 이용하여 성형롤러에 연결된 직선운동축으로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동력전달계통의 접촉면에 오일과 그리스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보다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기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성형롤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한 대의 기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환약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 구성이 복잡하여 제환기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핸들(50)의 조작으로 정확하게 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며, 성형롤러(10, 10') 사이가 벌어져 환약이 낱개로 완전히 절단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 대의 기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환약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면상으로 일차로 성형시 압출이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환약의 크기가 거의 균일하게 성형되도록 하고, 피치가 다른 성형롤러를 목적하는 환약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 구비하고, 목적하는 환약의 크기에 따라 성형롤러를 교체하므로서 제환기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며, 정확하고 균일하게 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호퍼 주출구 내면에 스플라인을 형성시키고 호퍼 내면과 압출스크류 표면에 테프론 코팅 처리를 행하며 면성형구에 균일한 압력이 적용되도록 하여 보다 균일한 크기의 환이 성형되도록 하며, 성형롤러의 피치상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면상으로 압출된 반죽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고, 면성형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구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세척이 용이한 제환기를 개발하여 등록특허 제10-0664594호로 특허를 등록받은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제환기는, 환알의 성분에 따라서 달라지는 환약반죽의 덩어리가 수분이 많아 진(watery) 상태일 때에는 그래도 압출스크류를 통해서 성형롤러로 환약이 무난하게 압출되지만, 환약반죽의 덩어리가 조금이라도 수분이 적은 된(stiff) 상태일 때에는 환약반죽이 압축스크류에 의해서 요홈호퍼를 통해 하부의 성형롤러 측으로 압축되지 못하고 요홈호퍼 내에서 엉켜서 돌기만 하고 하부로 압출되지 않아 압출효과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요홈호퍼를 통해 하부로 밀어 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져 환약 생산량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압축스크류의 압력이 너무 적어서 요홈호퍼 내에서 된 환약반죽의 덩어리를 하부의 성형롤러 측으로 압출하지 못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제환기들은 면형상으로 1차 성형되도록 하는 부분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세척이 곤란하여 성분이 다른 환약을 제조시 초기의 제품은 다른 성분들이 혼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약반죽의 덩어리에 수분이 많거나 적든 그 환약반죽의 상태와 상관없이 큰 압출압력으로 환약반죽을 호퍼를 통해 성형롤러 측으로 압출시킬 수 있어 환약반죽의 압출효과가 크게 향상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환약 생산량이 크게 증대되는 제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의 롤러에 의해 이동되고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레임을 갖으며 목적하는 환약의 직경에 따른 다수 개의 요홈을 갖는 한 쌍의 성형롤러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선단에 돌기를 갖고 하단에 연결구가 결합된 압출관 내부에 위치되어 환약반죽을 밀어내는 압출스크류를 갖으며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반죽압출부와, 상기 압출관 하단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내부의 환약반죽을 면으로 뽑아내는 다수 개의 압출공이 형성되는 면성형구와, 상기 면성형구와 압출관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리브를 갖고 리브에는 압출스크류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설공을 갖으며 리브에 의하여 양측에 반죽유입공을 갖는 보조성형구로 이루어지는 반죽압출장치를 구비하는 제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핸들조작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좌우측이동프레임이 형성되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죽압출장치는, 상기 반죽압출부의 압출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출관 상부일측에는 호퍼를 통해 환약반죽이 투입되는 반죽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압출관 내부 일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결합되는 연동스크류기어를 갖고 그 내측에 스크류기어를 갖는 구동측압출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 내부 타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기어와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연동기어를 갖는 연동압출스크류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반죽압출장치의 압출관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15°~ 45°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반죽압출장치의 압출관 내부의 구동축압출스크류와 연동압출스크류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특징이 있다.
상기 구동축압출스크류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의 각 스크류날개는 그 산부분을 수직선을 기준으로 9°~ 30°범위내에서 각 돌기 측으로 치우치게 돌출형성시킴으로 압출관 내부의 환약반죽을 보다 강력한 힘으로 외부로 압출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환약반죽의 덩어리에 수분이 많거나 적든 그 환약반죽의 상태와 상관없이 큰 압출압력으로 환약반죽을 호퍼를 통해 성형롤러 측으로 압출시킬 수 있어 환약반죽의 압출효과가 크게 향상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환약 생산량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평단면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모터와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모터와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모터와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좌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반죽압출장치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축압출스크류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측단면도와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좌측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우측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면성형구와 보조성형구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제환기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환기는 하단의 롤러(13)에 의해 이동되고 목적하는 환약의 직경에 따른 각각 다수 개의 요홈(11a,12a)을 갖는 한 쌍의 성형롤러(11,12)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10)와,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연동압출스크류(25)에 의해 환약반죽을 강력한 힘으로 밀어 압출시키는 반죽압출부(20)와 압출되는 환약반죽을 다수 개의 면으로 성형시키는 면성형구(30)와 반죽압출부(20)와 면성형구(30)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연동압출스크류(25)의 돌기(24d,25c)를 각각 축지지하는 보조성형구(40)로 이루어진 반죽압출장치(1)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하단 네 곳에 설치된 롤러(13)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고, 측면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환약의 직경에 따른 다수 개의 요홈(11a,12a)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성형롤러(11,12)가 각각 대응되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측면의 핸들조작(14a)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전후이동프레임(14)이 형성되고, 전후이동프레임(14)의 상면에는 측면의 핸들조작(15a)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좌우측이동프레임(15)이 형성되며, 좌우측이동프레임(15)의 상면 일측에는 구동기어(16a)를 갖는 구동모터(16)가 고정설치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압출장치(1)는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 좌우측이동프레임(15)의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부일측에는 호퍼(23a)를 통해 환약반죽이 투입되는 반죽투입구(23)를 갖으며 하단에 연결구(22)가 결합되고 수평선을 기준으로 15°~ 45°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압출관(21)과, 압출관(21) 내부 일측에서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기어(16a)와 동력전달장치(16b)를 통해 결합되는 연동스크류기어(24c)를 갖고 그 내측에 스크류기어(24b)를 갖으며 타측단에는 돌기(24d)를 갖는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상기 압출관(21) 내부 타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기어(24b)와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연동기어(25b)를 갖으며 타측단에 돌기(25c)를 갖는 연동압출스크류(25)를 구비하여 반죽투입구(23)를 통해 유입된 환약반죽을 스크류날개(24a,25a)의 강력한 힘으로 밀어내는 반죽압출부(20)와; 상기 압출관(21) 하단의 연결구(22)에 결합되어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내부의 환약반죽을 면으로 뽑아내는 다수 개의 압출공(31)을 갖는 면성형구(30)와; 상기 면성형구(30)와 압출관(21)의 연결구(22)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리브(41)를 갖고 리브(41)에는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연동압출스크류(25)의 각 선단에 형성된 돌기(24d,25c)가 각각 삽입되는 삽설공(42,43)을 갖으며 리브(41)에 의하여 양측에 반죽유입공(44)이 형성된 보조성형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압출장치(10) 압출관(21) 내부의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연동압출스크류(25)는 회전방향을 같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도 4와 같이, 다른 도면의 전후이동프레임(14)은 설치하지 않고서 좌우측이동프레임(15)만을 구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호퍼(23a)와 반죽투입구(23)를 통해 반죽압출장치(1)의 반죽압출부(20) 압출관(21) 내부로 유입된 환약반죽은 구동모터(16)의 구동력으로 회동되는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25)의 강력한 회동력에 의해서 압출관(21) 내측에서 스크류날개(24a,25a)의 압출작용으로 연결구(22)에 고정설치된 보조성형구(40)의 반죽유입공(44)을 통해서 면성형구(30)의 압출공(31)을 통해 면처럼 가닥으로 성형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외부로 압출된다.
이때, 호퍼(23a)와 반죽투입구(23)를 통해 반죽압출장치(1)의 반죽압출부(20) 압출관(21) 내부로 유입된 환약반죽은, 반죽의 덩어리에 수분이 많거나 적든 그 환약반죽의 상태와 상관없이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25)의 강력한 회동력에 의해 창출되는 큰 압출압력으로 환약반죽을 면성형구(30)의 다수 개 압출공(31)을 통해 한 쌍의 성형롤러(11,12)로 원활하게 압출시킬 수 있게 되어 환약반죽의 압출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상기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25)의 타단은 보조성형구(40)의 삽설공(42,43)에 각각 축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25)는 흔들림없이 일정한 회동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축압출스크류(24)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25)의 각 스크류날개(24a,25a)는 산부분을 수직선을 기준으로 9°~ 30°(θ)범위내에서 돌기(24d,25c) 측으로 치우치게 돌출형성시킴으로 압출관(21) 내부의 환약반죽을 보다 강력한 힘으로 압출공(31)을 통해 외부로 압출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면성형구(30)의 압출공(31)을 통해 외부로 압출된 면형상으로 성형된 환약반죽은 공지기술인 성형롤러(11,12)의 요홈(11a,12a)을 거쳐 적당한 크기의 동그란 환약으로 성형 제조된다.
상기 한 쌍의 성형롤러(11,12)는 도 1과 같이, 상하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반죽압출장치(1)의 면성형구(30) 압출공(31) 선단이 위치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나, 도 7과 같이, 한 쌍의 성형롤러(11,12)를 좌우측으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반죽압출장치(1)의 면성형구(30) 압출공(31) 선단이 위치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모터와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모터와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모터와 반죽압출장치의 모습을 보인 좌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반죽압출장치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구동축압출스크류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측단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좌측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우측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 제3 실시예인 제환기의 면성형구와 보조성형구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인 제환기는, 도 9와 도 10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6)의 구동기어(16a)에 연결된 동력전달장치(16b)에 연결되는 반죽압출장치(1) 반죽압출부(20)의 압출관(21) 내부의 구동축압축스크류(54)와 연동압출스크류(55) 선단부의 연결구조만이 서로 다르고 다른 구성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에 다른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되는 부분의 구성을 살펴보면, 압출관(21) 내부 일측에서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스크류대기어(54b)가 축결합되고 스크류대기어(54b) 하부에는 스크류대기어(54b)와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구동스크류소기어(54c)가 형성되며 구동스크류소기어(54c) 후방측에서 구동스크류소기어(54c)와 동일축상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16a)와 동력전달장치(16b)를 통해 동력연결되는 연동스크류기어(54d)를 갖고 타측단에는 돌기(54e)를 갖는 구동측압출스크류(54)와, 상기 압출관(21) 내부 타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연동대기어(55b)가 축결합되고 연동대기어(55b) 하부에는 연동대기어(55b) 및 상기 구동스크류소기어(54c)와 각각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연동소기어(55c)를 갖는 연동압출스크류(55)로 이루어져 반죽투입구(23)를 통해 유입된 환약반죽을 스크류날개(54a,55a)의 보다 강력한 힘으로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1 : 반죽압출장치
10 : 몸체부 11,12 : 성형롤러
11a,12a : 요홈 13 : 롤러
14 : 전후이동프레임 14a : 핸들
15 : 좌우측이동프레임 15a : 핸들
16 : 구동모터 16a : 구동기어
16b : 동력전달장치
20 : 반죽압출부 21 : 압출관
22 : 연결구 23 : 반죽투입구
23a : 호퍼 24 : 구동축압출스크류
24a : 스크류날개 24b : 스크류기어
24c : 연동스크류기어 24d : 돌기
25 : 연동압출스크류 25a : 스크류날개
25b : 연동기어 25c : 돌기
30 : 면성형구 31 : 압출공
40 : 보조성형구 41 : 리브
42,43 : 삽설공 44 : 반죽유입공
54 : 구동축압출스크류 54a : 스크류날개
54b : 스크류대기어 54c : 구동스크류소기어
54d : 연동스크류기어 54e : 돌기
55 : 연동압출스크류 55a : 스크류날개
55b : 연동대기어 55c : 연동소기어

Claims (5)

  1. 하단의 롤러에 의해 이동되고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레임을 갖으며 목적하는 환약의 직경에 따른 다수 개의 요홈을 갖는 한 쌍의 성형롤러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선단에 돌기를 갖고 하단에 연결구가 결합된 압출관 내부에 위치되어 환약반죽을 밀어내는 압출스크류를 갖으며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반죽압출부와, 상기 압출관 하단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내부의 환약반죽을 면으로 뽑아내는 다수 개의 압출공이 형성되는 면성형구와, 상기 면성형구와 압출관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리브를 갖고 리브에는 압출스크류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설공을 갖으며 리브에 의하여 양측에 반죽유입공을 갖는 보조성형구로 이루어지는 반죽압출장치를 구비하는 제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핸들조작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좌우측이동프레임이 형성되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죽압출장치는, 상기 반죽압출부의 압출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출관 상부일측에는 호퍼를 통해 환약반죽이 투입되는 반죽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압출관 내부 일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결합되는 연동스크류기어를 갖고 그 내측에 스크류기어를 갖는 구동축압출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 내부 타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기어와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연동기어를 갖는 연동압출스크류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압출장치의 압출관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15°~ 45°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압출장치의 압출관 내부의 구동축압출스크류와 연동압출스크류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압출스크류와 이에 연동 회동되는 연동압출스크류의 각 스크류날개는 그 산부분을 수직선을 기준으로 9°~ 30°(θ)범위내에서 각 돌기 측으로 치우치게 돌출형성시킴으로 압출관 내부의 환약반죽을 보다 강력한 힘으로 외부로 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5. 하단의 롤러에 의해 이동되고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레임을 갖으며 목적하는 환약의 직경에 따른 다수 개의 요홈을 갖는 한 쌍의 성형롤러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선단에 돌기를 갖고 하단에 연결구가 결합된 압출관 내부에 위치되어 환약반죽을 밀어내는 압출스크류를 갖으며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반죽압출부와, 상기 압출관 하단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내부의 환약반죽을 면으로 뽑아내는 다수 개의 압출공이 형성되는 면성형구와, 상기 면성형구와 압출관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리브를 갖고 리브에는 압출스크류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설공을 갖으며 리브에 의하여 양측에 반죽유입공을 갖는 보조성형구로 이루어지는 반죽압출장치를 구비하는 제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 일측에는 동력전달장치가 연결된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죽압출장치는, 상기 반죽압출부의 압출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좌우측이동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출관 상부일측에는 환약반죽이 투입되는 반죽투입구가 형성되며, 압출관 내부 일측에서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스크류대기어가 축결합되고 스크류대기어 하부에는 스크류대기어와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구동스크류소기어가 형성되며 구동스크류소기어 후방측에서 구동스크류소기어와 동일축상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동력연결되는 연동스크류기어를 갖고 타측단에는 돌기를 갖는 구동축압출스크류와, 상기 압출관 내부 타측에는 일측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연동대기어가 축결합되고 연동대기어 하부에는 연동대기어 및 상기 구동스크류소기어와 각각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는 연동소기어를 갖는 연동압출스크류를 구비하여 반죽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환약반죽을 한 쌍인 스크류날개를 보다 강력한 힘으로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KR2020100012321U 2010-11-30 2010-11-30 제환기 KR200462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21U KR200462707Y1 (ko) 2010-11-30 2010-11-30 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21U KR200462707Y1 (ko) 2010-11-30 2010-11-30 제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1U KR20120004011U (ko) 2012-06-08
KR200462707Y1 true KR200462707Y1 (ko) 2012-09-26

Family

ID=4661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321U KR200462707Y1 (ko) 2010-11-30 2010-11-30 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139B (zh) * 2014-12-09 2016-04-27 青海林丰农牧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药材揉搓机
CN114099342A (zh) * 2021-11-15 2022-03-01 德州德药制药有限公司 一种茶碱缓释片微丸制备设备及其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589Y1 (ko) 2002-10-16 2003-01-30 허일순 환 제조용 성형장치
KR200391365Y1 (ko) 2005-05-13 2005-08-01 안상준 제환기
KR100664594B1 (ko) 2005-12-20 2007-01-04 안상준 제환기
KR200442601Y1 (ko) 2007-04-19 2008-11-25 김철중 구형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589Y1 (ko) 2002-10-16 2003-01-30 허일순 환 제조용 성형장치
KR200391365Y1 (ko) 2005-05-13 2005-08-01 안상준 제환기
KR100664594B1 (ko) 2005-12-20 2007-01-04 안상준 제환기
KR200442601Y1 (ko) 2007-04-19 2008-11-25 김철중 구형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1U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1470B2 (ja) 製丸機
CN208836908U (zh) 一种山药面条挤压切割机
CN203576943U (zh) 一种药用自动制丸机
CN204482853U (zh) 一种包子机
CN103875749B (zh) 一种猫耳朵饼捲条成型机组
KR200462707Y1 (ko) 제환기
KR100664594B1 (ko) 제환기
CN209187554U (zh) 全自动推条三辊搓丸蜜丸机
CN113349237A (zh) 一种鱼丸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994497U (zh) 一种出面效率高的面条机
KR200391365Y1 (ko) 제환기
KR101528705B1 (ko) 제환기의 성형롤러
CN206390119U (zh) 一种面条机
CN205511932U (zh) 一种挤压效果好的面条机
CN203424761U (zh) 一种挤压式榨汁机
JP3189550U (ja) 製麺機用麺抽出機
KR100715183B1 (ko) 순대충진기
CN107157759B (zh) 麦粒灸制作器
CN202340707U (zh) 面团分割滚圆机
CN109093762A (zh) 一种用于玉竹生产加工的装置
CN202122073U (zh) 面条生产装置
CN108354431A (zh) 一种简便的榨汁机
CN104738707A (zh) 鱼丸制品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
CN216493104U (zh) 一种面条机出面模头
KR101760564B1 (ko) 어묵 반죽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