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71Y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71Y1
KR200462471Y1 KR2020070010266U KR20070010266U KR200462471Y1 KR 200462471 Y1 KR200462471 Y1 KR 200462471Y1 KR 2020070010266 U KR2020070010266 U KR 2020070010266U KR 20070010266 U KR20070010266 U KR 20070010266U KR 200462471 Y1 KR200462471 Y1 KR 200462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lock
sealed container
inle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548U (ko
Inventor
박상욱
이형철
전용현
김홍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7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B2240/31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of changeable form or shape
    • F05B2240/311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of changeable form or shape flexible or e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05B2260/4031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of the epicyclic, planetary or differential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압축부와, 압축부의 구동모터와, 압축부 및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밀폐용기를 갖는 압축기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인입 터미널, 인입 터미널에 접속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전달하는 터미널 블록 및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터미널 블록이 밀폐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터미널 블록이 인입 터미널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3은 도 1의 인입 터미널 영역의 파단 사시도로서, 각각 장착상태와 결합과정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압축기 110:밀폐용기
111:수용부 112:탑캡
120:인입 터미널 125:인입단자
130:터미널 블록 135:수용단자
본 고안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인입 터미널과, 인입 터미널과 연결되어 압축기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 블록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의 밀폐용기는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캡을 포함한다.
탑캡에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 터미널이 설치되며, 인입 터미널은 압축기의 내부에서 터미널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터미널 블록으로 인가된 외부 전원은 구동모터로 전달된다. 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피압축 매체를 압축한다.
일반적으로, 인입 터미널은 다수개의 인입단자를 포함하며, 터미널 블록에는 인입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용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인입 터미널과 터미널 블록은 단순하게 인입단자와 수용단자의 끼움으로 상호 결합되기 때문에 분리되기 쉽다. 특히, 탑캡을 수용부와 용접하기 전에 정위치하기 위하여 회전시킬 경우, 쉽게 인입 터미널로부터 터미널 블록이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인입 터미널과 터미널 블록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입 터미널에 마련된 다수개의 인입단자는 모양이 동일하여 터미널 블록이 잘못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입 터미널로부터 터미널 블록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입 터미널에 터미널 블록을 결합할 때,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부와, 압축부의 구동모터와, 압축부 및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밀폐용기를 갖는 압축기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인입 터미널, 인입 터미널에 접속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전달하는 터미널 블록 및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터미널 블록이 밀폐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고정편은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가로로 돌출한 돌출부와, 돌출부로부터 터미널 블록의 배면을 따라 절곡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편은 터미널 블록의 소정의 테두리 영역에 형상맞춤하여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며, 도 2 및 도3은 도 1의 인입 터미널 영역의 파단 사시도로서, 각각 장착상태와 결합과정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100)는 밀폐용기(110)를 포함하며, 밀폐용기(110)는 압축부(150) 및 압축부(150)의 구동모터(140)를 수용하는 수용부(111)와, 수용부(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캡(112)을 포함한다.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 터미널(120)을 탑캡(112)에 설치하고, 인입 터미널(120)로부터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모터(140)에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130)을 인입 터미널(120)에 결합한다.
그리고, 탑캡(112)을 수용부(111)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에, 탑캡(112)을 회전하여 정위치 시킨후 용접한다.
이러한 압축기(100)는 외부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140)를 이용하여 피압축 매체를 압축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140)는 고정자(141)와 회전자(142)와 회전축(143)을 포함하며, 고정자(141)는 밀폐용기(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자(142)는 고정자(141)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143)을 중심으로 고정자(141)의 자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압축부(150)는 캠(151), 롤러(152) 및 실린더(153)를 포함하며, 회전축(143)의 하측에 편심 형성된 캠(151)의 외측에는 롤러(152)가 설치되어 있고, 캠(151) 및 롤러(152)는 실린더(153)의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141)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142) 및 회전축(143)이 회전되면, 실린더(153)의 내부에서는 상기 회전축(143)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151) 및 롤러(152)의 편심 회전되고, 편심 회전에 따라 베인(미도시)이 실린더(153) 내의 공간을 흡입공간과 압축공간을 구획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력에 의해 피압축 매체가 흡입되고, 실린더(153) 내에서 피압축 매체가 압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0)는 인입 터미널(120)과, 터미널 블록(130)과, 고정편(160)을 포함한다.
먼저, 인입 터미널(120)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밀폐용기(110)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터미널 블록(130)은 인입 터미널(120)에 접속되어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인입 터미널(12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인입단자(125)와 인입단자(125)가 위치하는 터미널 몸체(121)를 포함한다. 터미널 몸체(121)는 압축기(100)의 밀폐용기(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탑캡(112)에 형성된 체결공(113)에 장착되며, 인입단자(125)는 본 실시예에서 세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인입단자(125)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봉형상으로 제공되며, 인입단자(125)의 외주면은 양 단부를 제외하고 절연부로 피복되어 있다.
터미널 블록(130)은 인입단자(125)와 끼움 결합되도록 인입단자(125)의 형상에 대응하는 세개의 수용 홀(134)이 마련되는 블록 몸체(131)와 상기 수용 홀(134)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된 수용단자(135)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입 터미널(120)을 탑캡(112)에 설치한 후에, 인입 터미널(120)에 터미널 블록(130)을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인입 터미널(120)의 인입단자(125)와 터미널 블록(130)의 수용단자(135)의 위상을 맞춘 후에 끼움 결합한다.
이때, 고정편(160)을 뒤로 젖혀 터미널 블록(130)이 인입 터미널(120)에 결합될 때, 고정편(160)이 결합경로에 위치하여 결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고정편(160)의 두께는 소정의 힘에 의해서 결합경로 밖으로 젖혀지 도록 0.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미널 블록(130)과 인입 터미널(120)을 결합한 후에, 고정편(160)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고정편(16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터미널 블록(130)의 테두리 영역에 형상맞춤하여 맞물린다.
구체적으로, 고정편(160)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밀폐용기(110)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터미널 블록(130)이 밀폐용기(110)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160)은 터미널 블록(130)의 소정의 테두리 영역에 형상맞춤하여 맞물리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편(160)은 밀폐용기(110)의 내벽면에 가로로 돌출한 돌출부(161)와, 돌출부(161)로부터 터미널 블록(130)의 배면을 따라 절곡연장되는 절곡부(162)를 포함한다.
인입 터미널(120)에 터미널 블록(130)을 결합 후, 탑캡(112)을 수용부(111)의 상부에 덮고, 탑캡(112)을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정위치 시켜 용접한다.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탑캡을 정위치시키기 위하여 수용부 상부에서 회전시킬 때, 터미널 블록부터 구동모터까지 연결되는 연결선들이 팽팽해져 터미널 블록이 인입 터미널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00)의 고정편(160)은 터미널 블록(130)이 쉽게 인입 터미널(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인입 터미널에 마련된 다수개의 인입단자가 모양이 동일하여 터미널 블록이 잘못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발명에 따른 압축기(100)의 고정편(160)은 터미널 블록(130)이 인입 터미널(120)에 결합되는 삽입 방향을 제공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압축기는 인입 터미널로부터 터미널 블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압축기는 인입 터미널에 터미널 블록을 결합할 때,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Claims (3)

  1.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의 구동모터와, 상기 압축부 및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캡을 구비한 밀폐용기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상기 탑캡에 설치되는 인입 터미널;
    상기 인입 터미널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전달하는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밀폐용기의 상기 탑캡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미널 블록이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터미널 블록이 상기 인입 터미널에 결합될 때는 상기 터미널 블록의 결합경로 밖으로 젖혀지고 상기 터미널 블록이 상기 인입 터미널에 결합된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터미널 블록과 맞물려 상기 터미널 블록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배치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밀폐용기의 상기 탑캡의 상기 내벽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터미널 블록의 배면을 따라 절곡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터미널 블록의 소정의 테두리 영역에 형상맞춤하여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2020070010266U 2007-06-22 2007-06-22 압축기 KR200462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66U KR200462471Y1 (ko) 2007-06-22 2007-06-22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66U KR200462471Y1 (ko) 2007-06-22 2007-06-22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48U KR20080006548U (ko) 2008-12-26
KR200462471Y1 true KR200462471Y1 (ko) 2012-09-13

Family

ID=4755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266U KR200462471Y1 (ko) 2007-06-22 2007-06-22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1463A1 (ja) * 2020-03-09 2021-09-1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920A (ja) 1998-05-11 1999-11-26 Toshiba Corp 密閉型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920A (ja) 1998-05-11 1999-11-26 Toshiba Corp 密閉型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48U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193B2 (en) Compressor
JP6507270B2 (ja) 圧縮機
KR101178753B1 (ko) 전동 압축기
EP1840378B1 (en) Electric compressor
EP2894333B1 (en) Motor compressor
US8956129B2 (en) Electric compressor
CN103443470B (zh) 供热循环泵
JP2009097473A (ja) 電動コンプレッサの製造方法及び電動コンプレッサ
EP3154175A1 (en) Electric mot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200462471Y1 (ko) 압축기
KR101905395B1 (ko) 전동 압축기
JP2006042409A (ja)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KR20060090592A (ko) 터미널 커버 및 그 터미널 커버를 구비한 밀폐형 전동압축기 및 그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의해 냉매 회로가구성되는 냉매 사이클 장치
US10125775B2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10168914A (ja) 電動圧縮機
KR101573970B1 (ko) 전동 압축기
US20210159750A1 (en) Electric compressor
JP2002098054A (ja) 密閉型圧縮機
JP7262971B2 (ja) 電動圧縮機
KR101558030B1 (ko) 전동 압축기
JP6760182B2 (ja) 電動圧縮機
KR102003638B1 (ko) 전동 압축기
JP2011241799A (ja) 電動圧縮機の中継接続構造
JP2017004891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および電動圧縮機
KR20120067582A (ko) 전동식 압축기용 터미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