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06Y1 -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06Y1
KR200462206Y1 KR2020110003460U KR20110003460U KR200462206Y1 KR 200462206 Y1 KR200462206 Y1 KR 200462206Y1 KR 2020110003460 U KR2020110003460 U KR 2020110003460U KR 20110003460 U KR20110003460 U KR 20110003460U KR 200462206 Y1 KR200462206 Y1 KR 200462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door
sound insulation
ship
corri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는 선박의 선실에 구비된 도어의 차음상태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외측면과,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선실의 외측에 구비된 복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복도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와 벽면을 복도 방향으로 각각 당김 유지시키는 당김부재; 및 상기 선실 내부와, 복도에 각각 배치되는 소음 감지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Sound Insulating Instrumentation Apparatus for Cabin of Ship}
본 고안은 소음을 용이하게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에 구비된 선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통로를 기준으로 다수개의 선실이 연속으로 밀착 배치되고, 상기 선실은 다수의 승무원이 사용한다. 상기 선실 내부에는 승무원이 기본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침대와, 수납장과, 욕실 및 기타 전자제품이 구비되고, 상기 승무원은 선박의 항해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선실 내부에서 생활한다.
상기 선실은 통로를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으로 배치되고, 이웃한 선실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선실의 차음 성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선실에서 차음성능을 계측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선실의 차음성능을 계측하기 위해, 도어(10)에 구비된 도어핸들(미도시)을 제거하고, 상기 도어핸들이 설치되었던 문고리 위치에 노끈(40)을 설치하여 복도(30)로 연장한 후에, 상기 노끈(40)의 단부를 벽면(20)에 구비된 사이드 레일에 묶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차음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첨부된 도 2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선실 내부에서 도어를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10)가 복도(30)에 설치된 노끈(40)에 의해 당겨지면서, 동그라미 형태로 해칭된 문고리(12)부분에만, 상기 노끈(40)의 국부적인 당김 하중이 가해지고, 해칭된 도어(10)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당김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도어(10)가 당겨질 경우에는, 상기 도어(10)가 설치된 문틀에서 이격된 틈이 발생되고, 상기 선실 내부에서의 방음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신뢰성 있는 차음 상태에 대한 결과가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문고리(12)에만 집중적으로 당김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도어(10)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불균일해지면서, 상기 도어(10)의 부분변형 및 손상이 발생되거나, 상기 문고리(12)가 파손되면서, 도어(10) 전체를 새제품으로 교환해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시급한 기술적 대응 방안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는 선실에 설치된 도어의 틈새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신뢰성 있는 소음 계측을 용이하게 실시하고자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는 도어의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선실의 소음 계측을 실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는, 선박의 선실에 구비된 도어의 차음상태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외측면과,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선실의 외측에 구비된 복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복도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와 벽면을 복도 방향으로 각각 당김 유지시키는 당김부재; 및 상기 선실 내부와, 복도에 각각 배치되는 소음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의 외측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며 작동 레버의 구동에 의해 자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는, 내부에 기어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기 위해, 하측에 구비된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된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당김 부재에 의해 당김 유지될 때, 소정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당김 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동일한 힘으로 당김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는 선실에 구비된 도어의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는 상기 도어와 문틀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별도의 틈이 발생되지 않아서 신뢰성 있는 차음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방식에 따라 선실의 차음 상태를 계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에 구비된 당김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에 의해 측정된 차음성능과 종래의 차음성능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차음 계측 장치(1)는 통로(30)를 기준으로 도어(10)의 외측면에 제1 고정부재(110)가 부착 설치되고, 벽면(20)에 제2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1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는 스틸로 이루어진 도어(10)와, 벽면(20)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내부에 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작동 레버(102)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102)의 전환 상태에 따라서 자성(Magnetism)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도어(10)와 벽면(20)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어(10)와 벽면(20)에 선택적으로 부착 및 부착 해제 가능한 압착기(미도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도어(10)의 외측면과 벽면(20)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시키는 이유는, 상기 도어(10) 및 벽면(20)에 설치된 고정부재(100)가 동일 선상에 위치됨으로써, 후술할 연결부재(200)에 의해 각각 당겨질 때, 동일한 힘으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00)는 제1 연결부재(202)와, 제2 연결부재(20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110)에 제1 연결부재(202)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120)에는 제2 연결부재(204)가 연결된다.
상기 제1,2 연결부재(202,204)는 동일 길이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텐션이 유지되어, 후술할 당김부재(300)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당겨질 때, 용이하게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1,2 연결부재(202,204)는 일 예로 나일론 벨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당김부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당김부재(300)는 상기 제1,2 연결부재(202,204)를 각각 복도(30)를 향해 동일한 힘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내부에 기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는 회전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부재(300)는 상기 기어와 연결되고,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된 레버(31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샤프트(324)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324)에는 회전판(322)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322)은 상기 샤프트(32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322)은 샤프트(324)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322)의 사이에는 제1,2 연결부재(202,204)가 설치되는 결합핀(326)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핀(326)은 회전판(322)에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가 배치된다. 즉, 서로 간에 밀착 배치되지 않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전판(322)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 하로 배치되거나, 좌, 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300)는 하측에 받침대(302)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부재(300)의 용이한 설치를 도모한다. 상기 받침대(302)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3개의 받침 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 다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302)는 통상의 삼각대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300)는 제1,2 고정부재(110,120)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와 동일 높이에서 제1,2 연결부재(202,204)를 당기는 것이 문틀에 설치된 도어(10)의 가장자리에 균일한 하중으로 당김을 유발하면서, 상기 문틀과 도어(10)에서의 이격된 틈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당김부재(300)가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가 설치된 높이보다 하측 또는 상측 중의 어느 한 곳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당김부재(300)와 연결된 제1 연결부재(202)가 복도(30)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상기 도어(10)를 경사지게 당기면서, 문틀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틈이 발생되면서, 선실 도어의 차음 측정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첨부된 도 3과 같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음 감지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소음 감지기(400)는 선실(1a)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소음 감지기(402)와, 복도(30)에 설치되는 제2 소음 감지기(404)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 감지기(400)는 소음을 계측할 수 있는 장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선실(1a)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선실(1a) 내부에서의 소음 측정을 위해 제1 소음 감지기(402)를 상기 선실(1a) 내부에 설치하고, 제2 소음 감지기(404)는 복도(3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선실(1a) 내부에서 인위적인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음 발생기(2)를 설치한다.
상기 소음 발생기(2)는 앰프가 내장된 오디오 장비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이 내장된 장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소음 발생기(2)의 소음을 상기 제1 소음 감지기(402)가 감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어(10)가 문틀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10)의 외측면과, 벽면(20)에 제1,2 고정부재(110,120)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는 서로 동일 높이에 마주 보며 설치되며, 내부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스틸로 이루어진 도어(10)와 벽면(20)에 용이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는 작동 레버(102)의 작동 유무에 따라서, 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부재(110)는 상기 도어(10)의 외측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10)가 당김부재(300)에 의해 복도쪽으로 당겨질 때, 상기 도어(10)가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문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도어(10)와 문틈 사이의 틈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도어(10)에 제1 고정부재(110)를 설치한 후에, 상기 제1 고정부재(110)의 위치에서 수평하게 이동된 벽면(20)에 제2 고정부재(120)를 설치한다.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는 내부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10)와 벽면(20)에 고정설치된다.
작업자는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대(302)의 받침 다리를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의 위치에 맞게 조정하고, 상기 받침대(302)가 설치될 위치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302)는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의 중간에 배치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1,2 고정부재(110,120)와 당김부재(30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1,2 연결부재(202,204)의 길이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유지시켜서, 상기 도어(10)가 문틀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유지되게 하고, 이로 인해 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작업자는 제1 연결부재(202)의 일단을 상기 제1 고정부재(110)에 연결하고, 타단은 결합핀(326)에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204)의 일단을 제2 고정부재(120)에 연결하고, 타단은 다른 결합핀(326)에 연결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1,2 연결부재(202,204)가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소음 발생기(2)의 볼륨을 특정 위치로 조절한 후에, 스위치를 온(On) 위치로 작동시키고, 당김부재(300)에 구비된 레버(3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324)가 연동하여 회전되고, 회전판(322)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판(322)이 회전되면서, 제1,2 연결부재(202,204)는 각각 상기 당김부재(300)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고, 도어(10)가 문틀에 최대한 밀착되기 시작한다.
작업자는 상기 도어(10)의 밀착상태를 확인하면서, 레버(310)의 회전횟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도어(10)가 문틀에 최대한 밀착된 것을 확인한 후에 상기 레버(310)가 원 위치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유지시킨다.
상기 제1,2 연결부재(202,204)는 회전판(322)의 회전에 의해 당겨질 때, 소정의 텐션이 유지되면서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도어(10)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손쉽게 회전판(32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레버(31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2 연결부재(202,204)의 텐션 상태와, 도어(10)의 밀착 상태를 함께 관찰하면서 상기 레버(310)를 회전시킨다.
상기 선실(1a) 내부에서는 제1 소음 감지기(402)에 의해 상기 선실(1a)에서의 내부 소음이 측정되고, 도어(10)를 경유한 소음이 복도(30)에 설치된 제2 소음 감지기(404)에 의해 측정된다.
작업자는 선실(1a)에서 발생되는 소음에서 복도(30)에서 측정되는 소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을 실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음 계측 장치에 의해 측정된 선실 도어의 차음과, 종래의 차음 장비에 의해 계측된 차음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그래프는 본 고안의 차음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그래프는 종래의 차음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한, X축은 주파수(Hz)이고, Y축은 소음의 차단 성능을 나타낸 감음량(dB)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그래프는 고주파 영역인 1000Hz ~ 3000Hz 대역에서 차음 성능이 종래의 그래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향상된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고주파 대역의 일 예로는 책상을 열고 닫는 소리 또는 화장실에 구비된 변기의 물을 내리는 소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에 의한 차음 계측 장치(1)에 의한 차음 성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도어(10)가 문틀에서 별도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음 성능 장치(1)에 의해 선박에 구비된 선실(1a)에서의 차음 성능 테스트가 보다 신뢰성 있게 측정될 수 있다.
100 : 고정부재
110, 120 : 제1,2 고정부재
200 : 연결부재
300 : 당김부재
310 : 레버
320 : 회전부
322 : 회전판
324 : 샤프트
326 : 결합핀
302 : 받침대
400 : 소음 감지기

Claims (8)

  1. 선박의 선실에 구비된 도어의 차음상태를 계측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외측면과,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선실의 외측에 구비된 복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복도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와 벽면을 복도 방향으로 각각 당김 유지시키는 당김부재; 및
    상기 선실 내부와, 복도에 각각 배치되는 소음 감지기를 포함하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의 외측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며 작동 레버의 구동에 의해 자성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내부에 기어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기 위해, 하측에 구비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된 레버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7. 제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당김 부재에 의해 당김 유지될 때, 소정의 텐션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8. 제1 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동일한 힘으로 당김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KR2020110003460U 2011-04-22 2011-04-22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KR200462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60U KR200462206Y1 (ko) 2011-04-22 2011-04-22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60U KR200462206Y1 (ko) 2011-04-22 2011-04-22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206Y1 true KR200462206Y1 (ko) 2012-08-30

Family

ID=4707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60U KR200462206Y1 (ko) 2011-04-22 2011-04-22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0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191B1 (ko) 1999-10-16 2002-05-24 김징완 워터터널의 소음 계측방법
JP2006003161A (ja) 2004-06-16 2006-01-05 Toyota Motor Corp 騒音計測装置および騒音計測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191B1 (ko) 1999-10-16 2002-05-24 김징완 워터터널의 소음 계측방법
JP2006003161A (ja) 2004-06-16 2006-01-05 Toyota Motor Corp 騒音計測装置および騒音計測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50778B2 (ja) 発電機ステータウェッジの締まり具合を測定する装置
US10222351B2 (en) Wire rope inspection apparatus
JP2936005B2 (ja) 発電機ステータウエッジの衝撃試験装置
CN203670092U (zh) 用于对风力涡轮机转子叶片执行内部检查的系统
KR101868910B1 (ko) 내진과 방진기능을 갖춘 지능형 수배전반
KR20040079999A (ko) 로프 이상 검출 장치
KR101793645B1 (ko) 자동차 파워시트 검사장치
JP4503972B2 (ja) 試験プローブ
BR112013014221B1 (pt) instalação de elevador e método para operar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KR200462206Y1 (ko) 선박용 선실의 차음 계측 장치
KR101586068B1 (ko) 단지내 지하전력구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1277486B1 (ko) 승강기 품질 성능 진단 장치
JP2010180019A (ja) エレベータの操作機器
KR101721383B1 (ko) 비파괴검사 장치
KR20070099281A (ko) 지중에 매립된 앵커의 인발 지지력 시험장치
KR102374360B1 (ko) 전기공사장치
JP2018112523A (ja) X線検査装置
JP2009216636A (ja) 伝導機の試験ユニット及び試験装置
CN104374826B (zh) 一种用于测试转子叶片声响应的试验装置
Peterson et al. Acoustic testing facilities at the Office of Mine Safety and Health Research
JP6747700B1 (ja) 計器収納盤扉遠隔開閉装置及び点検システム
JP3195349U (ja) 防煙防火カーテン装置
CN108668213B (zh) 一种低音炮的检查装置
JP6777305B2 (ja) 金属検出機
RU176976U1 (ru) Пере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несу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оп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