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79Y1 -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79Y1
KR200462079Y1 KR2020100010001U KR20100010001U KR200462079Y1 KR 200462079 Y1 KR200462079 Y1 KR 200462079Y1 KR 2020100010001 U KR2020100010001 U KR 2020100010001U KR 20100010001 U KR20100010001 U KR 20100010001U KR 200462079 Y1 KR200462079 Y1 KR 200462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lock
testing module
variabl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87U (ko
Inventor
김동언
Original Assignee
김동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언 filed Critical 김동언
Priority to KR2020100010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7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치가변형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블록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블록 상부에 배열된 가압블록이 구비된 승하강수단과, 상기 장착블록 또는 상기 가압블록,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위치가변부와, 상기 위치가변부와 연결되고, 다수의 접속핀을 출몰시켜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검침부를 포함하는 테스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통전 여부나, 각종 전기적인 점검을 위하여 각 커넥터에 연결되는 테스팅모듈이 수평 방향 변위 및/또는 탄성 복원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 위치가 점검 차수마다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테스팅모듈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다시 세팅하여 점검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위치가변형 검사장치{TES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통전 여부나, 각종 전기적인 점검을 위하여 각 커넥터에 연결되는 테스팅모듈이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 위치가 점검 차수마다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테스팅모듈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다시 세팅하여 점검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검사장치는 커넥터의 제조 후 이 커넥터가 갖고 있는 단자핀의 접속상태 및 커넥터와 연결된 배선의 단락상태, 그리고 커넥터 단자핀과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상태 등의 양호와 불량상태를 최종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리고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연결단자로 그 유연성에 의한 유용성으로 플렉서블한 케이블 양단부에 커넥터를 연결한 플렉서블 연결단자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양단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양단부에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조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의 연결 위치는 제조상의 특성에 따라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는 커넥터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가변되어 연결 고정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제품을 출하되게 된다.
다만 플렉서블 연결단자가 제조상의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공급되는 정상적인 제품이라 할지라도 종래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 검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위치가 제조상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더라도 가변된 커넥터의 위치에 검사장치가 정확하게 연결되는 것이 어려워 커넥터에 검사장치의 접속핀을 가압하여 삽입하는 경우 커넥터나 검사장치의 접속핀이 파손되거나, 또는 정확한 위치에 연결되지 않아 점검 자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커넥터의 가변 위치에 따라 검사장치가 미세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는 해결 가능하나,
검사장치가 미세 변위한 후 복원이 이루어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발생된 변위와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가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가변되어 있다하더라도 검사장치의 변위량은 그만큼 커지게 되고,
이는 별다른 구동력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가압력에 의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그 변위량을 검사장치가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는 그대로 남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통전 여부나, 각종 전기적인 점검을 위하여 각 커넥터에 연결되는 테스팅모듈이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 위치가 점검 차수마다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테스팅모듈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다시 세팅하여 점검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와 테스팅모듈간의 연결이 정확하고 정밀하여 종래와 같이 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를 통하여 테스팅모듈에 의한 점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는 장착블록이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블록 상부에 배열된 가압블록이 구비된 승하강수단; 및 상기 장착블록 또는 상기 가압블록,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위치가변부와, 상기 위치가변부와 연결되고, 다수의 접속핀을 출몰시켜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검침부를 포함하는 테스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테스팅모듈의 위치가변부는 복수의 볼트홀이 구비된 고정체와, 상기 검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의 볼트홀에 대응하는 유격홀이 구비된 가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가동체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홀에는 상기 유격홀을 관통하여 지지볼트가 체결되되, 상기 유격홀의 직경은 상기 볼트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동체의 수평 방향 변위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이단 구조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테스팅모듈의 검침부는 상기 접속핀들이 형성된 피씨비와, 상기 접속핀들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갖고, 승강 및 하강하는 승하강블록과, 상기 피씨비에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블록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지블록과, 상기 피씨비와 승하강블록 사이에 배열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는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통전 여부나, 각종 전기적인 점검을 위하여 각 커넥터에 연결되는 테스팅모듈이 수평 방향 변위 및/또는 탄성 복원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 위치가 점검 차수마다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테스팅모듈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다시 세팅하여 점검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와 테스팅모듈간의 연결이 정확하고 정밀하여 종래와 같이 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를 통하여 테스팅모듈에 의한 점검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스팅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스팅모듈의 위치가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스팅모듈의 위치가변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는
장착블록(11)이 구비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블록(11) 상부에 배열된 가압블록(21)이 구비된 승하강수단(20); 및 상기 장착블록(11) 또는 상기 가압블록(21),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 변위 및/또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위치가변부(30A)와, 상기 위치가변부(30A)와 연결되고, 다수의 접속핀(34a)이 출몰시켜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에 연결되는 검침부(30B)를 포함하는 테스팅모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에서, 상기 베이스(10)는
그 상부에 플렉서블 연결단자(F), 승하강수단(20) 및 테스팅모듈(30)을 지지하여 검사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10)에는 그 상면부에 장착블록(11)이 고정되고, 그 상면부에는 플렉서블 연결단자(F)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는 그 형태가 다양하고, 특히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에 구비된 복수의 커넥터(C)는 플렉서블 연결단자(F)를 채용하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그 배열 위치를 달리하게 된다.
예컨대 각 커넥터(C)가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같은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각 커넥터(C)가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블록(11)에는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구비되고,
특히 테스팅모듈(30)은 각 커넥터(C)의 배열 위치에 따라 상기 장착블록(11)에 배열 여부나 또는 배열 개수가 결정된다.
즉 상기 각 커넥터(C)가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같은 면에 모두 배열되는 경우에는 테스팅모듈(30)은 승하강수단(20)의 가압블록(21)에 구비되고,
반면에 상기 각 커넥터(C)가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서로 다른 면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테스팅모듈(30)은 각 커넥터(C)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장착블록(11)에 구비되며, 또 다른 테스팅모듈(30)은 나머지 커넥터(C)를 위하여 승하강수단(20)의 가압블록(21)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에 각 커넥터(C)가 후자와 같이 배열되고, 2개소로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하고,
따라서 상기 장착블록(11)에는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각 커넥터(C)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하나의 테스팅모듈(30)이 장착되며, 또 다른 테스팅모듈(30)은 승하강수단(20)의 가압블록(21)에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에서, 상기 승하강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블록(11)에 상부에 배열되는 가압블록(21)을 승하강시켜 테스팅모듈(30)과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각 커넥터(C)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 상면부에 고정된 구동실린더(23)와,
상기 구동실린더(23)의 피스톤로드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재(25)와,
상기 가이드부재(25)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장착블록(11) 상부에 배열되는 가압블록(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수단(20)에서 상기 구동실린더(23)는 공압을 이용한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부재(25)는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상면부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흠을 갖고, 상기 가압블록이 고정되는 이동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수단(20)에서 상기 가압블록(21)의 하면부에는 상기 베이스(10)의 장착블록(11)에 구비된 테스팅모듈(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커넥터(C)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 중에서 테스팅모듈(30) 없이 지지체에 의하여 지지된 커넥터(C)에 대응하는 위치에 테스팅모듈(3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23)의 구동에 의하여 가이드부재(25)의 이동블록이 승하강면서 상기 가압블록(21) 역시 승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블록(21)의 하강 시에는 상기 가압블록(21) 하면부에 구비된 지지체와 테스팅모듈(30)이 각각 상기 베이스(10)의 장착블록(11)에 구비된 테스팅모듈(30)과 지지체를 가압하여 테스팅모듈(30)과 지지체 사이에 배열된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각 커넥터(C)를 테스팅모듈(30)과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에서, 상기 테스팅모듈(30)은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각 커넥터(C)에 접속핀(34a)을 삽입하여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통전여부를 점검하여 제품의 하자나 불량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우선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양단부에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양단부에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조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의 연결 위치는 제조상의 특성에 따라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는 커넥터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가변되어 연결 고정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제품을 출하되게 된다.
다만 플렉서블 연결단자가 제조상의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공급되는 정상적인 제품이라 할지라도 종래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 검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위치가 제조상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더라도 가변된 커넥터의 위치에 검사장치가 정확하게 연결되는 것이 어려워 커넥터나 검사장치가 가압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또는 정확한 위치에 연결되지 않아 점검 자체가 불확실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조상의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정상적인 제품으로 공급되는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 위치를 검사장치의 미세한 변위를 통하여 조절하여 커넥터나 검사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점검 자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이 절실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테스팅모듈을 고안하였으며,
이하에서 이를 자세히 소개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테스팅모듈(30)은 상기 장착블록(11) 또는 상기 가압블록(21),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 변위 및/또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위치가변부(30A)와,
상기 위치가변부(30A)와 연결되고, 다수의 접속핀(34a)이 출몰시켜 플렉서블 커넥터(C)에 연결되는 검침부(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테스팅모듈(30)은 상기 위치가변부(30A)가 승하강수단(20)의 가압블록(21)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수평 방향, 즉 X축(도 4의 (b) 참조), Y축(도 4의 (c) 참조) 및 회전 방향(도 4의 (d) 참조)으로 미세하게 변위하여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와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이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C)나, 상기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이 어긋나 파손되거나,
또는 상기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이 상기 커넥터(C)에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아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통전 여부 점검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테스팅모듈(30)에서 상기 위치가변부(30A)는 복수의 볼트홀(31a)이 구비된 고정체(31)와, 상기 검침부(30B)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31)의 볼트홀(31a)에 대응하는 유격홀(32a)이 구비된 가동체(32)와, 상기 고정체(31)와 가동체(32)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가변부(30A)에서 상기 고정체(31)는 전방부에는 상기 장착블록(11)이나, 상기 가압블록(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블록(11) 또는 상기 가압블록(21)에 형성된 체결공(31b)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31)의 상면부 중심 부분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납되는 제1 수용홈(31c)과, 상기 제1 수용홈(31c)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억지끼워지는 제1 고정돌기(31d)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31)의 제1 수용홈(31c) 양측으로는 볼트홀(31a)이 구비되어 지지볼트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각 볼트홀(31a) 주변에는 상부로 돌출된 접촉면적저가부(31e)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체(32)가 고정체(31)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동체(32) 전면이 상기 고정체(31)와 접촉되지 않고 일부만, 즉 상기 가동체(32)의 유격홀(32a) 주변의 일정 부분만이 접촉되도록 접촉면적을 줄여 줌으로써 가동체(32)의 유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가변부(30A)에서 상기 가동체(32)의 후방부에는 검침부(30B)와 피씨비(34)와 연결을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32b)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32)의 하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납되는 제2 수용홈(32c)과, 상기 제2 수용홈(32c)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억지끼워지는 제2 고정돌기(32d)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31)와 가동체(32)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체(32)에는 상기 각 체결홀(32b)의 전방에 상기 고정체(31)의 각 볼트홀(31a)에 대응하는 유격홀(32a)이 형성되어 지지볼트가 상기 유격홀(32a)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홀(31a)에 체결되어 상기 가동체(32)와 고정체(31)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유격홀(32a)의 직경(D2)은 상기 볼트홀(31a)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B)를 중심으로 고리 형태의 유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체(32)는 X축, Y축 및 회전 방향으로 미세 변위가 가능하며, 이렇게 유도된 가동체(32)의 수평 방향 변위는 가동체(32)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 검침부(30B)의 수평 방향 변위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승하강수단(20)의 가압블록(21)의 하강 시 상기 검침부(30B)가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에 정확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커넥터(C)나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점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지지볼트(B)를 상기 가동체(32)의 유격홀(32a)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31)의 볼트홀(31a)에 체결하는 경우 가동체(32)가 상기 고정체(31)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또한 상기 가동체(32)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는 정도의 체결 깊이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위치가변부(30A)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체(31)의 제1 고정돌기(31d)와, 상기 가동체(32)의 제2 고정돌기(32d)에 그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고정체(31)와 가동체(32)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변위가 일어난 가동체(32)를 원상 복귀시켜 가동체(32)가 정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어느 하나의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통전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가동체(32)가 어느 방향을 유동하여 검침부(30B)를 커넥터(C)에 연결하고 점검한 후,
다음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점검을 위하여 점검을 마친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를 상기 검침부(30B)를 분리하게 된다.
만약에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체(32)의 변위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점검받아야할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가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있다하더라도 바로 이전에 점검받은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와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가동체(32)의 변위량은 그만큼 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동체(32)는 상기 가압블록(21)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이 돌출되면서 미세한 변위를 통하여 접속핀(34a)을 커넥터(C)의 해당 위치에 접속될 수는 있고,
이러한 상기 가동체(32)의 변위량은 대략 커넥터(C)의 연결 위치에서 허용되는 오차 범위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가동체(32)의 제한 변위량이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커넥터(C)와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이 파손될 수 있고, 또한 커넥터(C)와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이 연결된다 하더라도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연결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체(32)가 변위된 후, 점검받은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와 상기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가동체(32)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되고,
이는 다음에 점검받는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의 위치가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기만 하면 상기 가동체(32)의 수평 방향 변위에 의하여 커넥터(C)와 검침부(30B)의 접속핀(34a)을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이단 구조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코일스프링은 형성 높이를 기준은 반분하여 상반부는 대경부가, 그 하반부는 소경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의 대경부는 상기 가동체(32)의 제2 고정돌기(32d)에 끼워지고, 상기 소경부는 상기 고정체(31)의 제1 고정돌기(31d)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이렇게 상기 코일스프링을 대경부와 소경부로 나누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은 직경이 동일한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에 비하여 뛰어난 복원력을 갖고,
특히 가동체(32)가 회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이에 비하여 회전 변형과 복원이 쉽고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테스팅모듈(30)의 검침부(30B)는 상기 접속핀(34a)들이 형성된 피씨비(34)와, 상기 접속핀(34a)들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갖고, 승강 및 하강하는 승하강블록(35)과, 상기 피씨비(34)에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블록(35)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지블록(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검침부(30B)는 상기 가압블록(21)이 하강하여 가압하게 되면 피씨비(34)에 구비된 접속핀(34a)들이 돌출하여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각 커넥터(C)와 연결되어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통전 여부나, 전기적인 상태를 점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검침부(30B)에 상기 피씨비(34)의 전방 부분에는 상기 가동체(32)의 체결홀(32b)에 볼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대응체결홀(32b)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피씨비(34)에는 상기 커넥터(C)에 대응하는 접속핀(34a)이 다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34)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핀(34a)을 수용하는 서포팅블록(38)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블록(36)은 상기 서포팅블록(38)의 상부에 연결되어, 그 양측부에는 장방형의 제1 가이드공(36a)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장방형의 제2 가이드공(36b)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블록(35)은 상기 지지블록(36) 상부에 배열되는데,
우선 그 상부에는 상기 지지블록(36)의 제2 가이드공(36b)에 삽입되고, 상기 접속핀(34a)이 출몰되는 핀홀(35a)이 구비된 돌출부(35b)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5b)의 양측 하부에는 날개부(35c)가 형성되어 상기 각 제1 가이드공(36a)에 배열되며,
상기 날개부(35c)와 상기 서포팅블록(38) 사이에는 복수의 코일스프링(3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블록(21)이 상기 승하강블록(35)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블록(35)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승하강블록(35)의 돌출부(35b)와 날개부(35c)는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공(36a)(36b)에 의하여 안내 지지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핀홀(35a)을 통하여 접속핀(34a)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연결단자(F)의 커넥터(C)에 연결되어 각종 점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위치가변형 검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 플렉서블 연결단자 C : 커넥터
B : 지지볼트
10 : 베이스 11 : 장착블록
20 : 승하강수단 21 : 가압블록
23 : 구동실린더 25 : 가이드부재
30 : 테스팅모듈 30A : 위치가변부
30B : 검침부 31 : 고정체
31a : 볼트홀 31b : 체결공
31c : 제1 수용홈 31d : 제1 고정돌기
31e : 접촉면적저감부 32 : 가동체
32a : 유격홀 32b : 체결홀
32c : 제2 수용홈 32d : 제2 고정돌기
33 : 탄성부재(코일스프링) 33a : 대경부
33b : 소경부 34 : 피씨비
34a : 접속핀 35 : 승하강블록
35a : 핀홀 35b : 돌출부
35c : 날개부 36 : 지지블록
37 : 코일스프링 38 : 서포팅블록

Claims (4)

  1. 장착블록이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블록 상부에 배열된 가압블록이 구비된 승하강수단; 및
    상기 장착블록 또는 상기 가압블록,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한 위치가변부와,
    상기 위치가변부와 연결되고, 다수의 접속핀을 출몰시켜 플렉서블 연결단자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검침부를 포함하는 테스팅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팅모듈의 위치가변부는
    복수의 볼트홀이 구비된 고정체와,
    상기 검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의 볼트홀에 대응하는 유격홀이 구비된 가동체와,
    상기 고정체와 가동체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홀에는 상기 유격홀을 관통하여 지지볼트가 체결되되,
    상기 유격홀의 직경은 상기 볼트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동체의 수평 방향 변위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이단 구조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팅모듈의 검침부는
    상기 접속핀들이 형성된 피씨비와,
    상기 접속핀들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갖고, 승강 및 하강하는 승하강블록과,
    상기 피씨비에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블록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지블록과,
    상기 피씨비와 승하강블록 사이에 배열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KR2020100010001U 2010-09-28 2010-09-28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KR200462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01U KR200462079Y1 (ko) 2010-09-28 2010-09-28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01U KR200462079Y1 (ko) 2010-09-28 2010-09-28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87U KR20120002387U (ko) 2012-04-05
KR200462079Y1 true KR200462079Y1 (ko) 2012-08-24

Family

ID=4660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01U KR200462079Y1 (ko) 2010-09-28 2010-09-28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7710A (zh) * 2021-07-28 2021-10-29 深圳市鸿发鑫科技有限公司 电路板固定检测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87U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3909B2 (en) Universal test socket and semiconductor package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92399B1 (ko) 테스트용 번인 소켓
KR102256652B1 (ko) 프로브 핀 및 이를 이용한 검사용 소켓
KR20080034560A (ko) 휴대전자기기용 에프피씨비 검사장치
KR200432735Y1 (ko) 하드디스크 검사장치
KR200462079Y1 (ko) 위치가변형 검사장치
JP4873083B2 (ja) 半導体試験装置
KR102086391B1 (ko) 회로 검사장치
KR101976028B1 (ko) 탄성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면서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켓용 접촉핀
KR101646544B1 (ko) 부품이 간소화된 테스트 소켓
CN213240468U (zh) 一种连接器测试装置
KR20090027865A (ko) 검사 탐침 장치
KR100898043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200313240Y1 (ko) 볼 그리드 어레이(bga) 패키지용 테스트 소켓
KR20100130935A (ko) 검사용 컨택모듈
JP5066193B2 (ja) コネクタ保持装置、それを備えた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電子部品試験装置
JP2010043868A (ja) 電気検査ジグおよび電気検査装置
KR101076846B1 (ko) 하이 픽스보드용 테스터 커넥터
JP4276163B2 (ja) Icソケット
WO2021260931A1 (ja) 電気接続用ソケット
CN215728629U (zh) 一种电路板工装
JP2006234639A (ja) 電気回路検査用プローブ装置
KR200255716Y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기구
KR101320645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에 장착되는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
KR20130013144A (ko) 전기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