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81Y1 - 쌀 세척 용기 - Google Patents

쌀 세척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81Y1
KR200461981Y1 KR2020100005359U KR20100005359U KR200461981Y1 KR 200461981 Y1 KR200461981 Y1 KR 200461981Y1 KR 2020100005359 U KR2020100005359 U KR 2020100005359U KR 20100005359 U KR20100005359 U KR 20100005359U KR 200461981 Y1 KR200461981 Y1 KR 200461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shing
rice
washing container
contai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061U (ko
Inventor
천봉기
지영호
Original Assignee
천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봉기 filed Critical 천봉기
Priority to KR2020100005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8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8Pails for kitche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 세척 용기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를 형성함으로써, 쌀을 세척할 때 다량의 쌀이 물과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쌀 세척 용기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가 20°의 경사도가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고, 쌀 세척 용기의 바닥면은 쌀 세척 용기의 본연의 기능인 쌀 세척의 기능과 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가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인 싱크대 바닥과 쌀 세척 용기와의 마찰로 인한 불쾌한 소음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240℃까지 견디는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바닥에 실리콘 바닥판을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쌀 세척 용기{Washing vessel for rice}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를 형성함으로써, 쌀을 세척할 때 다량의 쌀이 물과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가 20°의 경사도가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고,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은 쌀 세척 용기의 본연의 기능인 쌀 세척의 기능과 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 몸체부가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인 싱크대 바닥과 쌀 세척 용기와의 마찰로 인한 불쾌한 소음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240℃까지 견디는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에 실리콘 바닥판을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쌀 세척 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세척대상물을 예를 들면, 쌀, 콩 등의 곡물이나, 과일 및 야채나, 국수 등의 면류를 씻을 때, 바가지형의 일반적인 용기에 세척대상물을 담아 놓고 일정량의 물을 담아서 세척대상물을 씻거나,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씻어 오고 있는데, 쌀 등과 같은 곡물은 용기 내에 물을 담수하여 비비면서 세척을 하고 야채 및 과일 등은 계속해서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곡물을 세척하는 경우는 세척대상물은 남기고 물만 버리기고 새로운 물를 담수를 하여야 하는데, 통상 사용된 물을 배출할 때에는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용기의 상단으로 물이 오버플로우되도록 하여 배출하거나, 별도의 망형태의 용기에 세척대상물과 물을 함께 쏟아 부어 물은 빠지게 하고 세척대상물만 남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야채 및 과일 등은 생식을 하는 것으로, 이물질이나 농약 등을 씻어내기 위하여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씻게 되는데, 세척대상물을 모두 씻기도 전에 용기의 상단으로 물가 넘쳐흐르게 되어 세척대상물도 함께 넘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곡물 등을 씻고 배수할 때에는 용기를 기울려 담수된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데 이때, 세척대상물이 물과 함께 버려지게 되므로 한손을 용기의 상단에 대고 세척대상물이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막거나 세척대상물을 한손으로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야채 등을 세척할 때에도 야채 등을 용기에 담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에 낱개로 세척을 하거나 여러 개를 합하여 대충 세척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의 오버플로우 세척용기는 용기의 상부에 상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오버플로우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오버플로우부는 다수개의 배수구멍을 둘레방향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멍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쌀 크기의 세척대상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오버플로우 세척용기는 용기 내에 세척대상물과 물을 넣고, 세척대상물을 씻은 후, 용기를 기울여 물을 오버플로우시키게 되면, 물은 용기 상부에 일정높이로 형성한 배수구멍을 통해 배출되고, 세척대상물은 배수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용기 내에 남게 된다. 따라서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 물만 버리고, 세척대상물은 용기 내에 남게 하는 세척작업을 반복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세척대상물을 씻는 경우에는 용기 내에 담수되는 물을 배수구멍을 통하여 먼저 배출되므로, 세척대상물이 넘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오버플로우 용기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상기 배수구멍은 용기의 사출 성형시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배수구멍간의 간격을 크게 설정하면, 오버플로우부의 살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구조적 강도는 높지만, 물의 통과면적이 작아지므로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물을 완전히 배출할 때까지 의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배수구멍간의 간격을 작게 설정하면, 물은 원활하게 배출되지만 오버플로우부의 배수구멍을 이루는 간격부분의 두께가 가늘기 때문에, 구조적강도가 매우 취약해져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해 오버플로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성형되는 두께로 인하여 배수구멍에 끼인 이물질이나 물때 등을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용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버플로우 세척용기는 안쪽 표면이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쌀 등과 같은 곡물을 씻을 때, 마찰력이 없어서 미끌려지므로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를 형성하여 쌀을 세척할 때 다량의 쌀이 물과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가 20°의 경사도가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고,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은 쌀 세척 용기의 본연의 기능인 쌀 세척의 기능과 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 몸체부가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인 싱크대 바닥과 쌀 세척 용기와의 마찰로 인한 불쾌한 소음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240℃까지 견디는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바닥에 실리콘 바닥판을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쌀 세척 용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를 형성함으로써, 쌀을 세척할 때 다량의 쌀이 물과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쌀 세척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쌀 세척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가 20°의 경사도가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는 쌀 세척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은 쌀 세척 용기의 본연의 기능인 쌀 세척의 기능과 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쌀 세척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가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쌀 세척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인 싱크대 바닥과 쌀 세척 용기와의 마찰로 인한 불쾌한 소음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240℃까지 견디는 실리콘 바닥판을 사용하므로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바닥에 실리콘 바닥판을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쌀 세척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보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울 형상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세척수가 배출되게 하는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용기 몸체부 바닥면의 수평면에 연결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20°로 설정되어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게 되어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 바닥판;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쌀 세척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를 형성함으로써, 쌀을 세척할 때 다량의 쌀이 물과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가 20°의 경사도가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은 쌀 세척 용기의 본연의 기능인 쌀 세척의 기능과 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 몸체부가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여섯째, 본 고안은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인 싱크대 바닥과 쌀 세척 용기와의 마찰로 인한 불쾌한 소음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240℃까지 견디는 실리콘 바닥판을 사용하므로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바닥에 실리콘 바닥판을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의 구성 중에서 배수망부와 돌기부를 확대한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가 경사도를 갖는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의 바닥의 평탄함을 유지하기 위한 부착되는 실리콘 바닥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를 사용하는 장면을 나타낸 사진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인 쌀 세척 용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의 구성 중에서 배수망부와 돌기부를 확대한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가 경사도를 갖는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의 바닥의 평탄함을 유지하기 위한 부착되는 실리콘 바닥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다.
본 고안인 쌀 세척 용기(50)는 타공(11), 배수망부(10), 바닥면(21), 경사면(22), 돌기부(20), 용기 몸체부(30), 실리콘 바닥판(4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쌀 세척 용기(5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보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울 형상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세척수가 배출되게 하는 다수개의 타공(11)을 갖는 배수망부(10)가 형성되며, 바닥면(21)의 반쪽 부분에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0)를 포함하는 용기 몸체부(30)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 바닥판(40); 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인 쌀 세척 용기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 몸체부(3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보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울 형상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세척수가 배출되게 하는 다수개의 타공(11)을 갖는 배수망부(10)가 형성되며, 바닥면(21)의 반쪽 부분에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망부(10)를 구성하는 타공은 195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용기 제작자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타공의 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 몸체부(30)의 바닥면(21)의 수평면에 연결된 경사면(22)의 경사각도는 20°로 설정되어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21)은 쌀 세척 용기의 본연의 기능인 쌀 세척의 기능과 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20)의 형상은 정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과 같은 다각형인 것이다.
상기 실리콘 바닥판(200)은 상기 용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바닥판(40)은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인 싱크대 바닥과 쌀 세척 용기와의 마찰로 인한 불쾌한 소음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240℃까지 견디므로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용기를 사용하는 장면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쌀 세척 용기에 쌀과 물을 붓고 용기에 담겨 있는 쌀 세척기의 손잡이를 잡고 쌀을 세척하거나 사람이 직접 손으로 세척한 후 배수망부를 통해 세척수를 배출하는 장면이 나타나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수망부 11 : 타공
20 : 돌기부 21 : 바닥면
22 : 경사면 30 : 용기 몸체부
40 : 실리콘 바닥판 50 : 쌀 세척 용기

Claims (5)

  1. 삭제
  2. 쌀 세척 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보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울 형상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세척수가 배출되게 하는 다수개의 타공을 갖는 배수망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의 반쪽 부분에 쌀 세척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용기 몸체부 바닥면의 수평면에 연결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20°로 설정되어 있어 용기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물을 버릴 수 있게 되어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부착했다 떼었다 할 수 있으며, 쌀 세척 용기의 사용시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쌀 세척 용기를 뜨거운 곳에 놓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 바닥판;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00005359U 2010-05-24 2010-05-24 쌀 세척 용기 KR200461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59U KR200461981Y1 (ko) 2010-05-24 2010-05-24 쌀 세척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59U KR200461981Y1 (ko) 2010-05-24 2010-05-24 쌀 세척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61U KR20110011061U (ko) 2011-11-30
KR200461981Y1 true KR200461981Y1 (ko) 2012-08-17

Family

ID=7288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359U KR200461981Y1 (ko) 2010-05-24 2010-05-24 쌀 세척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82B1 (ko) * 2014-02-02 2014-12-31 장호선 세척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701A (ko) 2016-11-26 2018-06-05 최준호 물을 버리지 않고 쌀을 씻는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91Y1 (ko) * 2000-04-11 2000-09-15 김인철 세미구(洗米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91Y1 (ko) * 2000-04-11 2000-09-15 김인철 세미구(洗米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82B1 (ko) * 2014-02-02 2014-12-31 장호선 세척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61U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981Y1 (ko) 쌀 세척 용기
US8690133B1 (en) Perforated cutting board and tray
US4418829A (en) Washing and rinsing vessel with debris catching channel
JP2009022749A (ja) 他機能ザル
US1450629A (en) Drainer for sinks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JP2008302188A (ja) お玉杓子
KR101229406B1 (ko) 곡물 세척 용기
US1702737A (en) Juice extractor
CN208851314U (zh) 便捷式水果清洗碗
KR20190002308U (ko) 싱크대용 배수캡
KR100992608B1 (ko) 기능성 싱크볼 구조
KR200364300Y1 (ko) 오버플로우 세척용기
KR200454747Y1 (ko) 쌀씻는 용기
JP3129828U (ja) 食品水きり器具
CN106703138B (zh) 台阶式清洗水槽
AU2003204241B2 (en) Sink filter
KR101478482B1 (ko) 세척용기
CN109043599A (zh) 一种水果清洗装置
KR200331270Y1 (ko)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JP3237442U (ja) スプーン
CN218246969U (zh) 一种便于排水的陶瓷洗菜篮
JP3142476U (ja) キッチンボール
KR20190002307U (ko) 싱크대용 배수캡
KR200434935Y1 (ko) 싱크대용 탈수기의 걸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