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482B1 - 세척용기 - Google Patents

세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482B1
KR101478482B1 KR1020140011868A KR20140011868A KR101478482B1 KR 101478482 B1 KR101478482 B1 KR 101478482B1 KR 1020140011868 A KR1020140011868 A KR 1020140011868A KR 20140011868 A KR20140011868 A KR 20140011868A KR 101478482 B1 KR101478482 B1 KR 10147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parating
side plate
wash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선
Original Assignee
장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선 filed Critical 장호선
Priority to KR102014001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 B08B3/047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세척용기 측판(40) 일측의 소정부분에서 물만 관통할 수 있는 배수공(32)을 다수개로 하여 구성된 분리부(30);상기 분리부(30)로 관통하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용기에 집수와 배수를 할 수 있는 집수부(20)을 구성함에 있어서,분리부(30)가 구성된 외측면(42)에서 집수부(20)가 분리부(30)의 외곽을 포합하도록 하여 집수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분리부(30)로 관통하는 물이 집수부(20)와 분리부(30)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된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포합한 상부측은 개방하여 배출구(26)가 되도록 구성하되 배출구(26)의 높낮이를 용기에 담수시킬 수위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부가 용기의 측판(40) 물매보다 더 빠른 물매가 되도록 배출구(26)가 있는 공간부를 돌출시키되,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되도록 하여 구성된 집수부(20);을 포함하는 세척용기로써 세척후 오,탁수가 된 물을 바닥판 역할을 하는 분리부(30)로 잔량 없이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잔량의 오,탁수가 급배수의 횟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희석되어져가는 과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로써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용기{washing bowl}
본 발명은 세척용기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 세척후 오,탁수가 된 물을, 세척용기 일측을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할 때에,세척용기 내부에서, 하방향 흐름으로 충실하게 배수가 되도록 하여, 그 결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척용기들은 식재료가 청결해지도록 급수와 배수를 다수회 반복하며 식재료를 세척함에 있어서, 배수하는 물에 의하여 식재료가 상단테두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에서 상단테두리방향으로 갈수록 확관되는 상태로 하여, 측판에 물매가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용기들은 측판 일측을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할 때마다, 식재료가 배수되는 물에 휩쓸려 상단테두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려고, 매우 조심스럽게 배수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안 된 기술의 일례로, 배수되는 물에 의하여 식재료가 상단테두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려고 측판 일측 부분에, 식재료가 멈출 수 있도록 함실을 구성한 것과, 측판 일측 부분에, 물만 관통시켜 배수를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수공이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도 있었다.
그러나 함실이나 배수공이 있든 없든 관계없이, 상기와 같은 세척용기에 있어서, 측판 일측을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하게 되면, 식재료가 배수되는 물에 휩쓸려 상단테두리로 유출되려함으로, 매우 조심스럽게 배수를 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매우 중요하게는 측판 일측을 기울임하여 배수를 함에 있어서, 충실하게 배수를 하기 위해선 측판 일측을 더 경사지게 기울임 하여야 하는데, 그 결과로서 배수되는 물에 식재료가 휩쓸려 유출되려함으로, 유출되기 직전까지만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하고 중단하게 됨으로써,
배수가 매우 불충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판 일측에 배수공이 있는 세척용기에 있어서는, 배수공이 구성된 위치 이하까지만 담수가 되므로 담수 수위높이가 현격히 낮아져,
식재료를 물에 흔들어서 세척하기에는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중에서도 배수되는 물에 식재료가 휩쓸려 유출되려함으로, 유출되기 직전까지만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하고 중단하게 됨으로써, 잔량으로 남게 된 오,탁수물은 급,배수 횟수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오,탁수 농도가 희석되어지면서 식재료가 청결해져 감으로, 식재료가 청결해지도록 하기 위해선, 급,배수횟수를 필요 이상으로 다수회를 하여야 한다는 매우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세척용기의 측판 일측 소정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공를 구성하고 배수공을 구성한 외측면에 배수공으로 관통하는 물이 집수가 되도록 집수부을 구성하여, 상기 일측을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할 때에 세척에 사용된 물이 세척용기 내부에서 하방향으로 배수가 충실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세척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판에서 상단테두리(50)방향으로 갈수록 세척용기의 측판(40)이 확관되어 세척용기의 측판(40)에 물매가 있도록 구성되어진 일반적인 세척용기에 있어서,
세척용기 측판(40) 일측 소정부분에서, 식재료와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물만 관통할 수 있는 배수공(32)을 다수개로 하여 구성된 분리부(30);
상기 분리부(30)로 관통하는 물을 이용하여 집수와 배수를 할 수 있는 집수부(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30)가 구성된 세척용기의 외측면(42)에서 집수부(20)로 분리부(30)의 외곽을 포합하도록 하여 집수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분리부(30)로 관통되는 물이 집수부(20)와 분리부(30) 사이에서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포합하도록 한 부분을 돌출시켜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된 물을 배수를 할 수 있도록 상기에서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한 상부측은 개방하여 배출구(26)가 되도록 하면서도 개방된 배출구(26)의 위치를 용기에 담수할 수위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부(20)가 세척용기의 측판(40)물매보다 더 빠른 물매가 되도록,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구(26)가 있는 공간부를 돌출시키되,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되도록 하여 구성된 집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기.
상기 분리부(30)에 있어서, 분리부(30)가 세척용기의 측판(40) 일측 소정부분에서 하간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식재료가 청결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세척용기에 급,배수를 반복해 가면서 식재료를 다수회를 세척함에 있어서,
세척후 지저분하게 된 오,탁수 물을, 집수부측을 기울임하여 배수를 하게 되면 세척용기 내부에서 하방향으로 흘러, 분리부를 관통하여 집수부의 배출구로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료가 배수되는 물에 휩쓸려 상단테두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배출구 위치까지는 세척용기 내부에 물이 담수가 되므로 분리부의 배수공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세척용기에 충분히 담수를 할 수 있으며,
집수부와 분리부측을 더 경사지게 기울임하여 분리부가 바닥판역할을 할 때에 바닥판역할을 하는 분리부로,
세척후 오,탁수가 된 물을 배수를 할 때마다, 바닥판 배수로 잔량 없이 쉽게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로 잔량의 오,탁수가 급,배수하는 순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희석되어지는 악순환의 급,배수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 그 결과로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용기의 집수부를 분해하여 배수공을 확대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되는 상태를 보이며 세척용기에 담수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과정의 중간단계을 보인 일부절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판 역할을 하는 분리부와 집수부로 배수를 할 수 있는 배수의 종결단계를 보인 일부절개단면도.
이하 본 발명은 바닥판에서 상단테두리(50) 방향으로 갈수록 세척용기의 측판(40)이 확관되어 세척용기의 측판(40)에 배수물매가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세척용기에 있어서, 급수와 배수에 관련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세척용기의 집수부를 분해하여 분리부의 배수공을 확대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세척용기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급수되는 상태를 보이며 세척용기에 적정수위로 담수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배수 중간과정을 보인 일부절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바닥판역할을 하는 분리부로 바닥판 배수를 할 수 있는 배수의 종결단계를 보인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용기는, 측판(40)에 물매가 있도록 구성되어진 일반적인 세척용기에 있어서,
세척용기에 식재료와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물만 관통할 수 있도록, 측판(40) 일측의 소정부분에서 물만 관통할 수 있는 배수공(32)을 다수개로 하여 분리부(30)를 구성한다.
상기 분리부에 있어서, 세척용기의 측판(40) 소정부분에서 하간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더 다수개의 배수공(32)으로 구성한다.
분리부(30)에서 관통하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용기에 담수와 배수를 할 수 있도록 집수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30)가 구성된 세척용기의 외측면(42)에서 집수부(20)가 분리부(30)의 외곽을 감싸 포합하도록 하여 집수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분리부(30)로 관통되는 물이 집수부(20)와 분리부(30)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감싸 포합하도록 한 부분을 돌출시켜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된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한 상부측은 개방하여 배출구(26)가 되도록 하면서도 개방된 배출구(26)의 위치와 세척용기에 담수시킬 수위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부(20)가 세척용기의 측판(40)물매보다 더 빠른 물매가 되도록,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구(26)가 있는 공간부를 돌출시키되,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되도록 하여 집수부(20)를 구성한다.
다양한 식재료를 세척함에 있어서, 곡물류(쌀)와 같이 비벼지도록 하여 세척할 세척용기에 있어서는 내부면에 요철부가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야채와 같이 부드러운 식재료를 세척할 세척용기에 있어서는 요철부가 없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용기로 식재료를 세척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바닥판 배수가 가능하려면 집수부(20)측을 기울임 하여 급경사지게 하였을 때에 식재료가 세척용기의 상단테두리(50)로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 쌀(식재료)을 세척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쌀이 상단테두리(50)로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후술"로 표시하고 별도로 설명한다.
측판(40)에 배수물매가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세척용기에 있어서,
다수개의 배수공(32)을 구성함에 있어서,
세척용기 측판(40) 일측 소정부분에서 다수개의 배수공(32)으로 구성된 분리부(30)를 구성함에 있어서,쌀과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물만 관통할 수 있는 배수공(32)의 굵기는 쌀알이 배수공에 끼이지 않도록 쌀알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판(40) 일측 소정부분에서, 하간부("후술1")를 더 포함시켜 구성한다.
여기서에서 쌀알이 배수공(32)을 가로막게 되므로 배수가 되는 물의 량을 충족하기 위하여 하간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더 다수개의 배수공(32)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간부를 더 포함하게 되면 "후술1"의 역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분리부(30)측을 기울임 하여 분리부(30)가 바닥판 역할을 할 때에 배수가 되므로 바닥판 역할을 할 수 있는 넓이로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부(30)에서 관통하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용기에 담수와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리부(30)가 구성된 세척용기의 외측면(42)에서 집수부(20)가 분리부(30)의 외곽을 감싸 분리부(30)를 포합하도록 하여 집수가 될 수 있도록 하되 분리부(30)로 관통하는 물이 집수부(20)와 분리부30)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돌출시켜 구성하며,
여기에서, 분리부(30)를 감싸 포합하도록 하는 집수부(20)의 폭은, 차후 배수를 할 때에 바닥판역할을 하게 되므로, 바닥판역할을 할 수 있는 넓이로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수된 물이 배수가 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한 상부측은 개방하여 배출구(26)가 되도록 하면서도, 개방된 배출구(26)의 위치와 세척용기에 담수 시킬 수위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세척용기의 측판(40)물매보다 집수부(20)의 물매가 더 빠른 물매가 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구가 있는 공간부를 돌출시키되,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후술2")되도록 하여 집수부(20)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집수부(20)의 형상은, 사용할 때에나 보관할 때에 불편함이 없도록 지니친 돌출은 삼가 하도록 하며, 세척용기의 측판(40)형상을 모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용기로 쌀이 세척되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세척용기에 쌀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급수하게 되면 물은 집수부(20)와 세척용기의 내부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차오르며 과잉급수시에는 배출구(26)로 흘러나가 세척용기에 적정한 담수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이때에 분리부(30)로 물만 관통되어 배출구로 흘러나감으로 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집수부(20) 측을 기울임 하여 배수를 하게 되면 세척용기 내부에서 하방향으로 흘러 세척용기의 측판(40) 소정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공(32)으로 구성된 분리부(30)를 관통하여 집수부(20)의 배출구(26)로 배수가 된다. 이때에도 분리부(30)로 물만 관통되어 배출구(26)로 흘러나감으로 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집수부(20) 측을 더욱더 기울임 하여 분리부(30)와 집수부(20)측이 바닥판 역할을 할 때에 바닥판으로 배수를 하게 되므로, 지저분하게 된 오,탁수의 쌀뜨물을 바닥판으로 배수를 하게 되므로, 잔량 없이 배수를 할 수 있다.
잔량 없이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량의 쌀뜨물(오,탁수)을 급,배수를 하는 순차 회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희석되어지는 악순환의 급,배수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로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 바닥판 배수가 가능하려면 집수부(20)측을 기울임 하여 세척용기를 급경사지게 하였을 때에 식재료가 상단테두리(50)로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서,
"후술"로 표시한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1"
"또한 상기 측판(40) 일측 소정부분에서, 하간부("후술1")를 더 포함시켜 구성한다".에 있어서,
분리부(30)측을 기울임하여 배수를 시작하게 되면 배수되는 물의 흐름은 하방향으로 흘러 측판(40) 하간부(즉 기울임 상태에서 내측이 됨)에 구성된 분리부(30)를 관통하여 흘러나가, 내측에 가라앉혀지도록 하면서 배수가 되므로, 세척용기를 급경사지게 하였을 때에 쌀이 상단테두리(50)로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부 요인이 된다.
"후술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구가 있는 공간부를 돌출시키되,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후술2")되도록 하여 집수부(20)를 구성한다."에 있어서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후술2")되도록 한 것만큼, 세척용기 본체를 덜 기울임 하게 되어, 기울임을 한 상태에서 측판(40) 상간부가 고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간부가 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턱 역할을 하게 되므로, 세척용기를 급경사지게 하였을 때에 쌀이 상단테두리(50)로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부 요인이 된다.
또 다른 일부 요인으로는,
세척후 쌀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하여 쌀과 쌀이 달라붙고 세척용기에도 달라붙게 되므로, 세척용기를 급경사지게 하였을 때에 쌀이 상단테두리(50)로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부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형실시의 일례로 본 구성을 사출성형할 경우에는 상기 집수부(20)의 기능을 내포하는 상태로 측판(40)자체를 돌출시켜 집수부(20)를 구성하고, 돌출되어 나간 부분을 상기 분리부(30)의 기능을 내포하도록 한 것으로 마감되도록 하여, 세척용기 내부면에 분리부(30)가 구성되도록 하여 본 발명을 변형실시를 할 수 있다.
20:집수부 26:배출구
30:분리부(다수개의 배수공) 32:배수공
40:세척용기의 측판 42:세척용기의 외측면
50:상단테두리

Claims (3)

  1. 바닥판에서 상단테두리(50) 방향으로 갈수록 세척용기의 측판(40)이 확관되어 세척용기의 측판(40)에 배수물매가 있도록 구성된 세척용기에 있어서,
    식재료와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물만 분리하여 관통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배수공(32)이 세척용기의 측판(40) 일측 소정부분에 구성된 분리부(30);
    상기 분리부(30)가 구성된 세척용기의 외측면(42)에서 집수부(20)가 분리부(30)의 외곽을 포합하도록 하여 집수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분리부(30)로 관통하는 물이 집수부(20)와 분리부(30) 사이에서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포합하도록 한 부분을 돌출시켜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에서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된 상부측은 개방하여 배출구(26)가 되도록 하면서도, 개방된 배출구(26)의 위치를 세척용기에 담수 시킬 수위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집수부(20)가 세척용기의 측판(40)물매보다 더 빠른 물매가 되도록,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구(26)가 있는 공간부를 돌출시키되 공간부의 하부측보다 공간부의 배출구(26)측을 더 돌출되도록 하여 구성된 집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30)에서, 측판(40)의 소정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공(32)를 구성할때, 하간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분리부(3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본 구성을 사출성형할 경우에는 상기 집수부(20)의 기능을 내포하는 상태로 세척용기 측판(40)자체를 돌출시켜 집수부(20)를 구성하고, 돌출되어 나간 부분에 상기 분리부(30)의 기능을 내포하도록 한 것으로 마감되도록 하여, 세척용기 내부면에 분리부(3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기.
KR1020140011868A 2014-02-02 2014-02-02 세척용기 KR10147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68A KR101478482B1 (ko) 2014-02-02 2014-02-02 세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68A KR101478482B1 (ko) 2014-02-02 2014-02-02 세척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482B1 true KR101478482B1 (ko) 2014-12-31

Family

ID=5268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868A KR101478482B1 (ko) 2014-02-02 2014-02-02 세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4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300Y1 (ko) * 2004-07-23 2004-10-11 강세환 오버플로우 세척용기
KR100808351B1 (ko) * 2007-02-12 2008-02-27 강항빈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JP2011172618A (ja) * 2010-02-23 2011-09-08 Leben Hanbai:Kk 受け皿付き水切り容器、及び蒸し器
KR200461981Y1 (ko) * 2010-05-24 2012-08-17 천봉기 쌀 세척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300Y1 (ko) * 2004-07-23 2004-10-11 강세환 오버플로우 세척용기
KR100808351B1 (ko) * 2007-02-12 2008-02-27 강항빈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JP2011172618A (ja) * 2010-02-23 2011-09-08 Leben Hanbai:Kk 受け皿付き水切り容器、及び蒸し器
KR200461981Y1 (ko) * 2010-05-24 2012-08-17 천봉기 쌀 세척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3764B1 (en) A continuous flow worm farm
KR20070086173A (ko) 개량 프라이팬
US20140291236A1 (en) Multifunction Strainer and Bowl
US4418829A (en) Washing and rinsing vessel with debris catching channel
KR200442154Y1 (ko)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KR101478482B1 (ko) 세척용기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KR102252521B1 (ko) 세척 용기
JP2013023361A (ja) 生ごみ収容容器
JP2019170333A (ja) 食品洗浄装置
KR200461981Y1 (ko) 쌀 세척 용기
US20200281407A1 (en) Easily cleanable water and oil fryer
KR20050076097A (ko) 음식물쓰레기통
KR101302348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1153A (ko) 싱크대 배수구의 거름장치
KR20130003885U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JP2019176821A (ja) 食品洗浄装置
KR20200109862A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 사용되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를 구비한 거름망
KR20110001770U (ko) 쌀씻는 용기
CN215962405U (zh) 组合式过滤组件及洗菜盆
KR102490550B1 (ko) 살균 세척기
KR200494112Y1 (ko) 쌀 유통 및 세척용기
JP527088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322723Y1 (ko) 곡물 세척 용기
RU2427619C2 (ru) Бункер для пивной дроб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