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351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351B1
KR100808351B1 KR1020070014250A KR20070014250A KR100808351B1 KR 100808351 B1 KR100808351 B1 KR 100808351B1 KR 1020070014250 A KR1020070014250 A KR 1020070014250A KR 20070014250 A KR20070014250 A KR 20070014250A KR 100808351 B1 KR100808351 B1 KR 10080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ashing container
container
wash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항빈
Original Assignee
강항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항빈 filed Critical 강항빈
Priority to KR102007001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용기에 받침다리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쌀 등의 곡물의 세척작업시 사용자의 키 등을 고려하여 임의 높이조절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쌀 등의 곡물을 세척시 더욱 용이하게 곡물이 세척되고, 세척된 물을 배출시 곡물이 함께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곡물세척용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및 편의성을 극대화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에 관한 것이다.
곡물세척용기, 곡물, 쌀,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 일체형 받침다리.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Grain Washing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height}
도 1은 종래 곡물세척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세척용기의 사용예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바닥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곡물세척용기 102 : 외측 바닥면
104 : 내측 바닥면 110 : 세척공간부
120 : 바닥돌기 130 : 파지수단
140 : 물배출부 150 : 결합홈
200 : 받침판 210 : 결합돌기
300 : 받침다리 310 : "ㄷ"형 회동 브라켓
312 : 힌지공 314 : 힌지핀
316 : 걸림부 320 :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
330 : 일체형 받침다리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용기에 받침다리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쌀 등의 곡물의 세척작업시 사용자의 키 등을 고려하여 임의 높이조절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쌀 등의 곡물을 세척시 더욱 용이하게 곡물이 세척되고, 세척된 물을 배출시 곡물이 함께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곡물세척용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및 편의성을 극대화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주식으로 사용되는 쌀 또는 콩 등의 곡물들을 세척하는 일이다. 이러한 쌀 또는 콩 등의 곡물들은 대부분이 세척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어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적어도 한번 이상 물에 씻은 후 사용된다.
이렇게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을 씻기 위해서는 대부분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세척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세척용기의 경우 곡물을 씻은 후, 곡물을 세척한 물을 따라 버리는 과정에서 곡물이 함께 씻겨져 내려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가지 또는 볼형상의 용기 등의 경우에는 대략 둥근 형상으로만 구성되고, 별도의 파지수단 등의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세척용기 내의 물을 따라내는 과정에서,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용기의 외연을 단순히 두손으로 잡아 일측으로 곡물을 씻은 물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이 별도로 없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세척용기의 특성으로 사용자의 손에 세척용기 외연에 단순히 파지하고 있어 세척용기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져 곡물과 함께 물이 배출되거나, 세척용기 내의 곡물이 세척된 물의 배출시 세척용기의 기울임 각도를 조정하여 곡물을 제외한 곡물세척물만을 배출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바가지 또는 볼형상의 용기 등에 곡물을 담아 세척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을 세척하기 위해 싱크대 등의 세척공간에서 바가지 또는 볼형상의 용기(1)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업시 그 높이가 사용자의 허리 밑으로 위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항상 허리를 숙여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을 세척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이로 인해 사용자는 올바른 자세를 취하여 곡물을 세척하기에는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과 항상 허리를 굽혀 세척을 해야하는 사용자의 자세의 문제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주방에서 작업하는 주부 등의 사용자의 건강에도 상당히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의 세척이 용이한 곡물세척용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가 곡물세척용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힐 필요없이 곡물세척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건강과 편의성을 극대화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을 세척이 용이하고, 곡물이 세척된 물의 배출 시, 곡물과 물이 함께 배출되지 않고 세척된 물만이 배출되도록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기 쉽도록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 한 곡물세척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는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용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세척용기(100) 하부면 외측 바닥면(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결합홈(150)과; 상부면에 상기 결합홈(150)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받침판(200)과; 상기 받침판(200) 하부면 외연측으로 다수 결합되는 받침다리(3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다리(300)는 받침판(200) 하부면 외연측에 볼트결합되고, 양측으로 힌지공(312)이 형성되며, 힌지공(312)에 축결합되는 힌지핀(314)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공(312)의 외측으로 걸림부(316)가 형성된 다수의 "ㄷ"형 회동 브라켓(310)과;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ㄷ"형 회동 브라켓(310)의 힌지핀(314)을 회전점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절첩되게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물세척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의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에 의해 세척되는 쌀 등의 곡물이 수용되는 세척공간부(110)와; 상기 세척공간부(110) 내측 바닥면(104)에 쌀 등의 곡물의 세척이 더욱 용이하도록 형성된 방사상의 다수의 환테형의 바닥돌기(120)와; 상기 세척공간부(110) 상측외연 좌우 양측에 곡물세척용기(10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130)과; 상기 세척공간부(110) 상측외연의 전후 양측에 세척된 물만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용기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끼움홈(142)이 형성된 물배출부(140)와; 상기 곡물세척용기(100)의 외측 바닥면(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곡물세척용기(100)의 물배출부(140)에는 상기 끼움홈(142)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6)가 형성되고, 물배출부(140)로부터 쌀 등의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걸름망체(144)가 더 구비되어도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합홈(150)과 상기 결합돌기(210)는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되, 3각, 4각, 5각, 6각, 8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받침다리(300)는 사용자의 최적의 높이를 고려하여 받침판과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받침다리(330)로 구성하여도 좋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세척용기의 사용예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바닥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세척용기(100), 받침판(200), 받침다리(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곡물세척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의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에 의해 세척되는 쌀 등의 곡물이 수용되는 세척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공간부(110) 내측 바닥면(104)에는 쌀 등의 곡물을 수용하여 물에 의해 세척시, 쌀 등의 곡물이 접촉되어 유동함으로써, 세척이 더욱 용이하도록 환테형의 바닥돌기(120)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세척공간부(110) 상측외연 좌우에는 사용자가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한 후, 세척된 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1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수단(13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용기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어 곡물세척용기(100)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곡물세척용기(100)의 상부외연의 전후 양측에는 쌀 등의 곡물을 세 척한 후, 세척된 물만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용기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끼움홈(142)이 형성된 물배출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142)에는 후술되는 걸름망체(144)가 결합되어 쌀 등의 곡물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름망체(144)는 물배출부(140)로부터 쌀 등의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망체로 구성되되, 물배출부(140)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142)에 결합되도록 일면에 끼움돌기(146)가 형성되어 탈부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곡물세척용기(100)의 외측 바닥면(102)에는 일정두께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의 홈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결합홈(150)은 4각에 국한되지 않고, 3각, 5각, 6각, 8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받침판(200)이 상기 곡물세척용기(100)와 결합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곡물세척용기(100) 내에 쌀 등의 곡물을 수용하여 물로 세척시 후술되는 받침판(200)에 안치결합된 곡물세척용기(100)가 회전 또는 이격됨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200)은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10)가 형성되며, 받침판(200) 하부면에 후술되는 다수의 받침다리(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200)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며 전술한 곡물세척용기(100)의 외측 바닥면(102)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곡물세척용기(100)의 크기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판(200)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10)가 상향돌출 형성되되, 결합돌기(210)는 전술한 곡물세척용기(100) 외측 바닥면(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결합홈(1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결합홈(150)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홈(150)의 형상이 4각 형상을 이루면 결합돌기(210)도 결합홈(150)에 대응되도록 4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홈(150)의 형상이 8각 형상을 이루면 결합돌기(210)도 결합홈(150)에 대응되도록 8각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곡물세척용기(100)와 받침판(200)이 견고히 흔들림 없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받침다리(300)는 "ㄷ"형 회동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받침판(200) 하부면에 다수 구비된다. 여기서, 다수의 "ㄷ"형 회동 브라켓(310)은 받침판(200) 하부면에 볼트결합되되, 받침다리(300)가 "ㄷ"형 회동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ㄷ"형 회동 브라켓(310)의 측면에 형성된 힌지공(312)을 통해 힌지핀(314)에 의해 회동되도록 축결합된다. 한편, 상기 "ㄷ"형 회동 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의 받침다리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로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의 각각의 단을 사용자의 필요로 하는 일정 높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예를 들면 카메라의 삼각대와 같이 카메라를 삼각대에 거치한 후, 촬영하고자 하는 일정 높이에 삼각대의 단을 조정하는 것과 지면의 수평과는 무관하게 단을 조정하여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형성한다.
한편,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를 받침판(200)에 상부면에 안치되는 곡물세척용기(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판(200) 하부면 외연측에 3개 또는 4개 이상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ㄷ"형 회동 브라켓(310)은 경량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사출하여 "ㄷ"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걸림부(316)가 형성되어 막혀있게 구비된다. 여기서, "ㄷ"형 회동 브라켓(310)은 받침판(200) 하부면 외연측으로 볼트결합되며, 힌지핀(314)에 의해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가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ㄷ"형 회동 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는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는 "ㄷ"형 회동 브라켓(3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받침판 하부면 내측으로 접혀지며 막혀있는 타측에 의해 받침판 하부면 외측으로 회동되어 벌어지되, 타측의 막혀있는 걸림부(316)에 의해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즉, 힌지핀(314)을 회전점으로 하여 걸림부(316)에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가 접하여 걸림되는 거리까지 일정 각도로 절첩되게 회동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리(300)는 사용자가 쌀 등의 곡물을 세척시 사용자의 키 등을 고려한 최적의 높이로 설계되어 받침판(200)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받침다리(330)로 구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돌기(210)가 상부면에 형성된 받침판(200)이 형성된다. 받침판(200) 하부면에는 "ㄷ"형 회동 브라켓(310)에 힌지결합된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가 최소의 부피로 받침판(200) 하부면 내측으로 절첩회동되어 보관 구비한다. 이렇게 구비된 받침판(200) 하부면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보관된 다수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를 받침판(200) 하부면 외측으로 회동시켜 벌어지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곡물세척용기(100)의 외연에 형성된 파지수단(130)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받침판(200)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도록 곡물세척용기(100) 외측 바닥면(102)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결합홈(150)에 끼움결합한다.
이렇게 곡물세척용기(100)와 받침판(200)이 결합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 등을 고려한 최적의 높이에 따라 받침판(200) 하부면에 "ㄷ"형 회동 브라켓(310)과 힌지결합된 다수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의 각각의 단의 다리를 하나식 인출하여 사용자의 높이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한다.
따라서,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에 의해 곡물세척용기(100)의 높이 조절이 사용자의 키 등을 고려한 최적의 높이에 위치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쌀 등의 곡물을 곡물세척용기(100)의 세척공간부(110)에 수용하여 물로 세척 작업을 한다. 이때, 곡물세척용기(100)의 세척공간부(110)의 내측 바닥면(104)에 형성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환테형의 바닥돌기(120)에 의해 쌀 등의 곡물의 표면을 반복적으로 접촉하여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세척기구 등을 사용하여 쌀 등의 곡물을 세척시 더욱더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곡물세척용기(100) 내의 세척공간부(110) 내에서 세척이 완료된 쌀 등의 곡물은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적정 물만을 남겨두고 나머지 물은 배출하게 된다. 이때, 곡물이 세척된 물을 배출시, 세척된 쌀 등의 곡물이 물의 배출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공간부(110) 상부 외연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물배출부(140)에 의해 비교적 하중이 있는 쌀 등의 곡물은 만곡진 물배출부(140)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측의 곡물이 세척된 물만이 배출된다.
한편, 물배출부(140)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전후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 물배출시 쌀 등의 곡물이 함께 배출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반대편측 물배출부(140)로 곡물세척용기(100)를 기울여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곡물세척용기(100)의 외연에 형성된 파지수단(130)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전후 양측으로 반복하여 곡물세척용기(100)를 기울이며 흔들어 물을 배출한다.
따라서, 물배출시 곡물세척용기(100)를 전후 양측으로 흔들리게 되어 쌀 등의 곡물이 전후로 이동됨과 함께 세척공간부(110)의 내측 바닥면(104)에 형성된 바닥돌기(120)내에서 쌀 등의 곡물이 유동하여 다시 한번 세척하게 된다. 또한, 전후 반복적으로 곡물세척용기(100)를 기울여 흔들리게 함으로써, 곡물이 물배출부(140)을 통해 함께 배출될 시점에서 반대편으로 곡물세척용기(100)을 기울여 물을 배출하고, 다시 또 곡물이 물과 함께 물배출부(140)측으로 배출될 시점에서 다시 반대편으로 곡물세척용기(100)을 기울이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전후 양측에 형성된 물배출부(140)로 물만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물배출부(140)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142)에 끼움돌기(146)가 일면에 형성된 걸름망체(144)를 끼움결합하여 쌀 등의 곡물의 세척시 필요에 따라 끼움홈(142)에 결합된 끼움돌기(146)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걸름망체(144)를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탈부착하여 사용하여도 쌀 등의 곡물 세척시 물과 함께 배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다리(300)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에 의해 사용자의 키 등을 고려한 최적의 높이로 곡물세척용기를 위치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용기를 사용시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게 되어 건강 및 세척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300)를 받침판 하부면에 사용자의 편의에 적합한 최적의 높이로 형성하여 받침판(200)과 일체로 형성한 일체형 받침다리(330)로 구비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의 세척이 용이한 곡물세척용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가 곡물세척용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힐 필요없이 곡물세척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건강과 편의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을 세척이 용이하고, 곡물이 세척된 물의 배출 시, 곡물과 물이 함께 배출되지 않고 세척된 물만이 배출되도록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용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세척용기(100) 하부면 외측 바닥면(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결합홈(150)과; 상부면에 상기 결합홈(150)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받침판(200)과; 상기 받침판(200) 하부면 외연측으로 다수 결합되는 받침다리(3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다리(300)는 받침판(200) 하부면 외연측에 볼트결합되고, 양측으로 힌지공(312)이 형성되며, 힌지공(312)에 축결합되는 힌지핀(314)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공(312)의 외측으로 걸림부(316)가 형성된 다수의 "ㄷ"형 회동 브라켓(310)과;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ㄷ"형 회동 브라켓(310)의 힌지핀(314)을 회전점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절첩되게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안테나식 절첩형 받침다리(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세척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의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에 의해 세척되는 쌀 등의 곡물이 수용되는 세척공간부(110)와;
    상기 세척공간부(110) 내측 바닥면(104)에 쌀 등의 곡물의 세척이 더욱 용이하도록 형성된 방사상의 다수의 환테형의 바닥돌기(120)와;
    상기 세척공간부(110) 상측외연 좌우 양측에 곡물세척용기(10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130)과;
    상기 세척공간부(110) 상측외연의 전후 양측에 세척된 물만이 용이하게 배출 되도록 용기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끼움홈(142)이 형성된 물배출부(140)와;
    상기 곡물세척용기(100)의 외측 바닥면(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세척용기(100)의 물배출부(140)에는
    상기 끼움홈(142)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6)가 형성되고, 물배출부(140)로부터 쌀 등의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걸름망체(14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50)과 상기 결합돌기(210)는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되, 3각,4각, 5각, 6각, 8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5. 삭제
  6. 삭제
KR1020070014250A 2007-02-12 2007-0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KR10080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50A KR100808351B1 (ko) 2007-02-12 2007-0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50A KR100808351B1 (ko) 2007-02-12 2007-0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351B1 true KR100808351B1 (ko) 2008-02-27

Family

ID=3938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250A KR100808351B1 (ko) 2007-02-12 2007-0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82B1 (ko) * 2014-02-02 2014-12-31 장호선 세척용기
KR101798179B1 (ko) * 2017-03-29 2017-11-16 훼스텍 주식회사 조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4668U (ko) 1978-01-27 1979-08-11
JPS5539079U (ko) 1978-09-07 1980-03-13
JPH07204104A (ja) * 1994-01-24 1995-08-08 Yodogawa Steel Works Ltd コン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4668U (ko) 1978-01-27 1979-08-11
JPS5539079U (ko) 1978-09-07 1980-03-13
JPH07204104A (ja) * 1994-01-24 1995-08-08 Yodogawa Steel Works Ltd コン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82B1 (ko) * 2014-02-02 2014-12-31 장호선 세척용기
KR101798179B1 (ko) * 2017-03-29 2017-11-16 훼스텍 주식회사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411B (zh) 适于容器的盖
KR101236248B1 (ko) 접이식 채반 및 그릇
US7523984B2 (en) Reconfigurable infant activity center
US6547080B1 (en) Collapsible colander for straining and rinsing
US8348084B2 (en) Container having surrounding handle and gimbal
US7401479B2 (en) Accessory basket for a washing machine
US20070056482A1 (en) Foldable table with waste receptacles
RU2535273C2 (ru)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содержа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вешивания
US20140352555A1 (en) Garlic peeler
KR10080835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곡물세척용기
US20060180139A1 (en) Portable grill
US20140251890A1 (en) Colander-bowl assembly
US9027758B2 (en) Collapsible sifter
US9867503B2 (en) Chopping system
US20170023302A1 (en) Portable foodware cleaning and storage system
JP3158362U (ja) 折り畳み可能な水切りボウルおよびボウル
US20050122835A1 (en) Stand Mixer chute assembly
US9485961B2 (en) Fold up pet bowl or fountain pedestal
US5247752A (en) Foldable bag dryer
KR102032698B1 (ko) 음식물 세척용기
CN107205586B (zh) 包括工作容器和枢转安装在底座上的电动壳体的家电设备
US20180220783A1 (en) Brush with rotating head
US9789453B2 (en) Pivoting blender
JP2001017331A (ja) 攪拌装置
CN105848542A (zh) 包括被底座承载的下臂和通过铰接装置与所述下臂连接的上臂的烹饪制备家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