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933B1 - 스마트 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933B1
KR101972933B1 KR1020180114912A KR20180114912A KR101972933B1 KR 101972933 B1 KR101972933 B1 KR 101972933B1 KR 1020180114912 A KR1020180114912 A KR 1020180114912A KR 20180114912 A KR20180114912 A KR 20180114912A KR 101972933 B1 KR101972933 B1 KR 101972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ce
rotation
contain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근
Original Assignee
송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근 filed Critical 송태근
Priority to KR102018011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망용기유닛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유닛의 내부로 삽입설치한 후,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의 내부로 바로 투입하여 회전임펠러가 설치된 세척유닛에 의해 세척자의 손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쌀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눈금자가 형성된 상태로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유닛(100); 내부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원형 띠 형상의 안착구(210)와, 상기 안착구(210)의 하부에 쌀을 수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메쉬형 트레이(220)와, 상기 안착구(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파지손잡이(230)로 이루어진 채망용기유닛(200);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안착구(210)에 안착되는 안착커버(310)와, 상기 안착커버(3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폴(320)에 설치되는 회전임펠러(330)와,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커버(31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파지부(35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동작시 상기 회전임펠러(330)에 의해 쌀을 세척하는 세척유닛(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쌀 세척장치{SMART RICE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망용기유닛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유닛의 내부로 삽입설치한 후,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의 내부로 바로 투입하여 회전임펠러가 설치된 세척유닛에 의해 세척자의 손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쌀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보리와 같이 낱알갱이로 이루어진 곡물음식물은 재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외피면에 먼지, 때 등의 이물질이 묻어져 있거가 재배과정에서 병원균에 대항하기 위하여 농약 등의 인체에 해로운 액상의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서 상술한 쌀 또는 콩 등의 곡물들을 세척하게 되며, 이러한 쌀 또는 콩 등의 곡물들은 대부분이 세척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어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적어도 한번 이상 물에 씻은 후 사용된다.
이렇게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쌀 또는 콩 등의 곡물을 씻기 위해서는 대부분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세척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세척용기의 경우 곡물을 씻은 후, 곡물을 세척한 물을 따라 버리는 과정에서 곡물이 함께 씻겨져 내려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용기 등의 경우에는 대략 둥근 형상으로만 구성되고, 별도의 파지수단 등의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세척용기 내의 물을 따라 내는 과정에서,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용기의 외연을 단순히 두손으로 잡아 일측으로 곡물을 씻은 물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가지 또는 볼 형상의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이 별도로 없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세척용기의 특성으로 사용자의 손에 세척용기 외연에 단순히 파지하고 있어 세척용기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져 곡물과 함께 물이 배출되거나, 세척용기 내의 곡물이 세척된 물의 배출시 세척용기의 기울임 각도를 조정하여 곡물을 제외한 곡물세척물만을 배출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세척된 곡물의 인출이 번거로워 일손이 많이 들고 비능률적인 불편이 있었다.
또한, 쌀의 세척과정에서 사람마다 쌀을 씻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쌀의 세척속도가 매우 느릴 뿐 아니라 세척수의 사용량이 많으며, 과도한 힘을 주어 쌀을 세척할 경우 쌀눈이 떨어지거나 쌀알이 깨어지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53149호의 곡물 세척기를 통해 쌀과 같은 곡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곡물 세척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사용이 번거롭고 분리가 어렵기 때무네 사용 후 내부 세척이 번거러운 단점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제작비가 고가인 단점으로 인해 수요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유닛의 내부에 채망용기유닛을 삽입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채망용기유닛에 담긴 쌀의 세척시 회전임펠러가 설치된 세척유닛을 통해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효율적으로 쌀의 세척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세척수의 교체를 위해 상기 하우징유닛으로부터 채망용기유닛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세척유닛이 함께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세척수 교체시에도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효율적인 세척수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눈금자가 형성된 상태로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유닛(100); 내부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원형 띠 형상의 안착구(210)와, 상기 안착구(210)의 하부에 쌀을 수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메쉬형 트레이(220)와, 상기 안착구(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파지손잡이(230)로 이루어진 채망용기유닛(200);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안착구(210)에 안착되는 안착커버(310)와, 상기 안착커버(3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폴(320)에 설치되는 회전임펠러(330)와,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커버(31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파지부(35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동작시 상기 회전임펠러(330)에 의해 쌀을 세척하는 세척유닛(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임펠러(330)는 상기 회전폴(320)에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되 다수개의 벤츄리공(332)이 형성된 경사날개(331)와,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로 유입된 세척수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경사날개(331)의 길이방향 상측에 만곡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일측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유동한 세척수가 수면에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낙하안내편(3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유닛(100)에는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배출제어구(130)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커버(310)에는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공(3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구(210)에 형성된 기어날(250)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을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기회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손잡이(230)는, 상기 안착구(210)에 장착되는 장착연장구(231)와, 상기 장착연장구(231)의 단부에 마련되는 회전제한구(232)와, 상기 회전제한구(2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지연장구(2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날개(331)의 길이방향 하측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하부에 침전된 쌀을 수면방향으로 유도하는 탄성재질의 돌출경사구(33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쌀의 세척시 회전임펠러가 설치된 세척유닛을 통해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효율적으로 쌀의 세척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세척수의 교체시에도 채망용기유닛을 하우징유닛에서 들어올리면 상기 세척유닛도 함께 들어올려지므로 상기 하우징유닛에 담겨진 세척수의 교체시에도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효율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겨울철 쌀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쌀 세척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쌀 세척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유닛에 세척배출제어구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커버에 투입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회전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회전부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임펠러의 상단에 라운드날개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임펠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쌀 세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쌀 세척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쌀 세척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유닛에 세척배출제어구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커버에 투입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회전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회전부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임펠러의 상단에 라운드날개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임펠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쌀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하우징유닛(100)과,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채망용기유닛(200)과,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쌀 세척장치는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로 삽입설치한 후,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에 장착되는 상기 세척유닛(300)을 통해 사용자가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쌀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눈금자가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유닛(10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세척유닛(300)을 통한 쌀의 세척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쌀의 세척이 완료된 후 상기 하우징유닛(100)을 뒤집어 세척수를 용이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파지구(11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유닛(100)에는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배출제어구(130)가 설치된다. 즉, 세척수배출제어구(13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하측에 일정직경으로 형성된 배출공(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수배출제어구(130)로 인해 쌀의 세척후 세척수를 버리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 및 세척유닛(300)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부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은 내부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원형 띠 형상의 안착구(210)와, 상기 안착구(210)의 하부에 쌀을 수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메쉬형 트레이(220)와, 상기 안착구(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파지손잡이(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구(210)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안착구(210)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해 러버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끼움구(112)의 삽입을 위한 끼움공(21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는 일정깊이를 갖는 망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에 형성되는 메쉬는 내부에 수용되는 쌀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는 알루미늄이나 철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파지손잡이(230)는 상기 안착구(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길이방향 일측에는 파지편의성 및 미끌림방지를 위한 쿠션패드(235)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손잡이(23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안착구(210)에 장착되는 장착연장구(231)와, 상기 장착연장구(231)의 단부에 마련되는 회전제한구(232)와, 상기 회전제한구(232)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지연장구(23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가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쌀의 세척장소가 협소한 경우 상기 파지연장구(233)를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외측방향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을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서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파지연장구(233)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제한구(232)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을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구(232)에 걸림된 상태로 펼쳐진 상기 파지연장구(233)는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은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의 내부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투입한 후, 상기 파지손잡이(230)를 잡은 상태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를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안착구(210)가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게 하여 설치함으로써 쌀의 세척작업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유닛(300)은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안착구(210)에 안착되는 안착커버(310)와, 상기 안착커버(3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폴(320)에 설치되는 회전임펠러(330)와,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커버(31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파지부(35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동작시 상기 회전임펠러(330)에 의해 쌀을 세척한다.
즉, 상기 세척유닛(300)을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파지부(350)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임펠러(330)가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 세척수에 잠겨진 쌀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안착커버(310)는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상태로 상기 안착구(210)의 상단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커버(310)에는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로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투입공(315)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커버(310)에는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용기회전부(4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돌출끼움구(112)와 상기 안착구(210)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211)은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구(210)의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회전볼(2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구(210)의 상측면에는 기어날(250)이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볼(240)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기회전부(4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용기회전부(400)는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구(210)에 형성된 기어날(250)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을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쌀의 세척시 상기 회전임펠러(330)와 더불어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바닥면에 침전된 쌀을 부상시켜 쌀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용기회전부(400)의 실시 예는 상기 안착커버(310)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웜기어박스(410)와, 상기 웜기어박스(410)에서 상기 안착커버(31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회전축(420)과, 상기 연장회전축(42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안착구(210)의 기어날(250)에 기어결합되는 연결기어구(4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웜기어박스(41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폴(32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웜기어(미도시) 및 상기 연장회전축(42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웜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웜부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파지부(350)에 의해 상기 회전폴(3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임펠러(330)에 의한 세척을 진행하게 되면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은 상기 용기회전부(400)에 의해 상기 회전임펠러(33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침전된 쌀을 부상시켜 상기 회전임펠러(330)에 의한 세척을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안착커버(310)는 상기 안착구(210)의 안착되는 원형 띠 형상의 안착틀(311)과, 상기 안착틀(3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안착틀(311)의 중심부에 상기 회전폴(320)의 관통을 위해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관통편(312)과, 상기 안착틀(311)과 관통편(312)의 사이에 위치하여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안착틀(311)의 내주연과 상기 관통편(312)의 외주연에 연결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편(313)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편(313) 사이 공간인 상기 투입공(315)을 통해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회전임펠러(330)는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회전폴(32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것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폴(320)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폴(320)의 외주연 둘레에 3~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날개편(3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쌀의 세척시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배면방향으로 세척쌀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회전임펠러(330)는 상기 회전폴(320)의 외주연에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되 다수개의 벤츄리공(33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경사날개(331)와, 상기 하우징유닛(100)에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로 유입된 세척수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경사날개(331)의 길이방향 상측에 만곡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오목한 일측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유동한 세척수가 수면에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낙하안내편(334)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세척수가 상기 낙하안내편(334)의 오목한 일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여 세척수의 수면방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수중으로 전달되는 세척수의 낙하충격력과 상기 벤츄리공(332)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날개(331)의 배면으로 분출되는 수압에 의해 수중에 부유하는 쌀의 외피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쌀의 표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쌀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날개(331)의 길이방향 하측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하부에 침전딘 쌀을 수면방향으로 유도하는 탄성재질의 돌출경사구(3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돌출경사구(333)는 상기 경사날개(331)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회전시 상기 돌출경사구(333)에 부딪힌 쌀이 수면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세척수의 낙하충격력과 수압에 의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유닛 110: 하우징파지구
120: 가이드레일 130: 세척수배출구
200: 채광용기유닛 210: 안착구
220: 메쉬형 트레이 230: 파지손잡이
240: 회전볼 250: 기어날
300: 세척유닛 310: 안착커버
330: 회전임펠러 350: 회전파지부
400: 용기회전부 410: 웜기어박스
420: 연장회전축 430: 연결기어구

Claims (7)

  1.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눈금자가 형성된 상태로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유닛(100);
    내부에 세척대상이 되는 쌀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원형 띠 형상의 안착구(210)와, 상기 안착구(210)의 하부에 쌀을 수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메쉬형 트레이(220)와, 상기 안착구(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파지손잡이(230)로 이루어진 채망용기유닛(200);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안착구(210)에 안착되는 안착커버(310)와, 상기 안착커버(310)의 중앙부에서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폴(320)에 설치되는 회전임펠러(330)와,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커버(31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파지부(35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동작시 상기 회전임펠러(330)에 의해 쌀을 세척하는 세척유닛(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임펠러(330)는, 상기 회전폴(320)에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되 다수개의 벤츄리공(332)이 형성된 경사날개(331)와, 상기 메쉬형 트레이(220)로 유입된 세척수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경사날개(331)의 길이방향 상측에 만곡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일측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유동한 세척수가 수면에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낙하안내편(3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100)에는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배출제어구(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커버(310)에는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공(3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폴(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구(210)에 형성된 기어날(250)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회전파지부(350)의 회전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을 상기 회전임펠러(33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기회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손잡이(230)는, 상기 안착구(210)에 장착되는 장착연장구(231)와, 상기 장착연장구(231)의 단부에 마련되는 회전제한구(232)와, 상기 회전제한구(2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파지연장구(2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날개(331)의 길이방향 하측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폴(320)의 회전시 상기 채망용기유닛(200)의 하부에 침전된 쌀을 수면방향으로 유도하는 탄성재질의 돌출경사구(3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쌀 세척장치.
  7. 삭제
KR1020180114912A 2018-09-27 2018-09-27 스마트 쌀 세척장치 KR101972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12A KR101972933B1 (ko) 2018-09-27 2018-09-27 스마트 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12A KR101972933B1 (ko) 2018-09-27 2018-09-27 스마트 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933B1 true KR101972933B1 (ko) 2019-04-26

Family

ID=662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12A KR101972933B1 (ko) 2018-09-27 2018-09-27 스마트 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8351A (zh) * 2019-09-29 2020-01-03 徐威 一种瓜果蔬菜清洗设备
WO2024044606A3 (en) * 2022-08-22 2024-04-25 Kelly Griffin Edwar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ood washing and preparation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709Y1 (ko) * 1979-06-05 1980-05-28 박윤조 장독 덮개
KR800001072Y1 (ko) * 1979-03-15 1980-07-16 장갑석 세 미 구
JPS6286141U (ko) * 1985-11-19 1987-06-02
JPH0186942U (ko) * 1987-12-01 1989-06-08
JP2002136434A (ja) * 2000-10-30 2002-05-14 Pearl Metal Co Ltd 米研ぎ器
KR20050030843A (ko) * 2003-09-29 2005-03-31 권순욱 수납박스
KR20070066462A (ko) * 2005-12-22 2007-06-27 정영선 새싹 채소의 세척 간편 용기
KR20080002541U (ko) * 2007-01-06 2008-07-10 박옥란 자동 취사기용 밥솥뚜껑
KR100891197B1 (ko) * 2008-09-29 2009-04-02 설상준 쌀 세척기
KR20090092226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락앤락 내열 유리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KR20090129749A (ko) * 2008-06-13 2009-12-17 (주)장업시스템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KR20100001872U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락앤락 세라믹 밀폐 용기
KR20100006668U (ko) * 2008-12-22 2010-07-01 어재영 손에 물을 묻히지 않는 쌀 씻는 용기
KR20140056726A (ko) * 2012-10-31 2014-05-12 주식회사 리홈쿠첸 쌀 세척기
KR20170099536A (ko) * 2016-02-24 2017-09-01 김대길 유출방지용 뚜껑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072Y1 (ko) * 1979-03-15 1980-07-16 장갑석 세 미 구
KR800000709Y1 (ko) * 1979-06-05 1980-05-28 박윤조 장독 덮개
JPS6286141U (ko) * 1985-11-19 1987-06-02
JPH0186942U (ko) * 1987-12-01 1989-06-08
JP2002136434A (ja) * 2000-10-30 2002-05-14 Pearl Metal Co Ltd 米研ぎ器
KR20050030843A (ko) * 2003-09-29 2005-03-31 권순욱 수납박스
KR20070066462A (ko) * 2005-12-22 2007-06-27 정영선 새싹 채소의 세척 간편 용기
KR20080002541U (ko) * 2007-01-06 2008-07-10 박옥란 자동 취사기용 밥솥뚜껑
KR20090092226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락앤락 내열 유리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KR20090129749A (ko) * 2008-06-13 2009-12-17 (주)장업시스템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KR20100001872U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락앤락 세라믹 밀폐 용기
KR100891197B1 (ko) * 2008-09-29 2009-04-02 설상준 쌀 세척기
KR20100006668U (ko) * 2008-12-22 2010-07-01 어재영 손에 물을 묻히지 않는 쌀 씻는 용기
KR20140056726A (ko) * 2012-10-31 2014-05-12 주식회사 리홈쿠첸 쌀 세척기
KR20170099536A (ko) * 2016-02-24 2017-09-01 김대길 유출방지용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8351A (zh) * 2019-09-29 2020-01-03 徐威 一种瓜果蔬菜清洗设备
WO2024044606A3 (en) * 2022-08-22 2024-04-25 Kelly Griffin Edwar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ood washing and prepa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933B1 (ko) 스마트 쌀 세척장치
US20100263555A1 (en) Salad, rice and other foods washer and spinner
WO2014173179A1 (zh) 能分拆且能分流分置杂质的洗菜方法及实施该方法的机器
KR20110099423A (ko)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RU249640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бивания молока,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купоривания препятствия потоку воздуха остатком молока
US7464888B2 (en) Automatic dosage unit
US5950529A (en) Vegetable peeling device
JP2008255598A (ja) 目皿部材
JP5643458B1 (ja) 流水式の米研ぎ器
KR10157103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KR1012774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이송장치
CN205493564U (zh) 一种便于拆卸式咖啡机豆仓
CN108451479A (zh) 出水阀及水槽式清洗机
KR200461306Y1 (ko) 곡물 세척기
KR101447599B1 (ko) 쌀 세척 장치
JP4020823B2 (ja) 洗米機
KR20210106681A (ko) 알밥성형장치의 용기회전구조
CN205018168U (zh) 一种自动化洗壳机
JP2905778B1 (ja) 米研ぎ装置
JP3132551B2 (ja) 米洗浄器
CN207639646U (zh) 果蔬清洗脱水机
CN209629604U (zh) 出水阀及水槽式清洗机
CN215902272U (zh) 一种花生清洗器
JP3868311B2 (ja) 大豆清浄方法および大豆清浄機
CN218355663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