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420Y1 - 이동식 간이 싱크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간이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420Y1
KR200495420Y1 KR2020210003787U KR20210003787U KR200495420Y1 KR 200495420 Y1 KR200495420 Y1 KR 200495420Y1 KR 2020210003787 U KR2020210003787 U KR 2020210003787U KR 20210003787 U KR20210003787 U KR 20210003787U KR 200495420 Y1 KR200495420 Y1 KR 200495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sidewall
groove
dispose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이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희 filed Critical 이원희
Priority to KR2020210003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는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며 생활용수의 사용이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갖는 제1 박스; 상기 제1 박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싱크 볼 홀을 가지는 수전 상판; 상기 싱크 볼 홀에 배치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싱크 볼; 및 상기 수전 상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볼에 인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수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싱크 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 박스의 내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간이 싱크대{PORTABLE SIMPLE SINK}
본 고안은 이동식 간이 싱크대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각의 구성품이 접철 가능하고, 설치와 해체가 수월하며, 사용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간이 싱크대가 개시된다.
싱크대는 물을 흘려보내고, 물건을 씻을 수 있도록 만든 곳이며, 요리를 하거나 손이나 그릇 등 씻거나 물을 마실 수 있는 다용도의 공간이다. 싱크대는 개수대라고도 불린다.
캠핑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야외용 조리 기구가 제품화되며 판매되고 있다. 재료 세척 또는 설거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싱크대를 이동 가능하게 만든 이동식 개수대에 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사이즈 및 무게가 이동식으로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어 실생활에 깊게 보급되지 못한 상황이다.
조리 또는 음용에 수전시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싱크대를 이동하여 사용하기 힘든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야외에서 조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싱크대를 대신할 수 있는 기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0-0000055호는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배치된 박스, 수전 상판 및 싱크 볼이 접철되고, 사용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간이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야외에서 설치와 해체가 수월하고 생활용수의 사용이 용이하며, 미사용시에는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간이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는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며 생활용수의 사용이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갖는 제1 박스; 상기 제1 박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싱크 볼 홀을 가지는 수전 상판; 상기 싱크 볼 홀에 배치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싱크 볼; 및 상기 수전 상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볼에 인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수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싱크 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 박스의 내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에 의하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배치된 박스, 수전 상판 및 싱크 볼이 접철되고, 사용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에 의하면, 야외에서 설치와 해체가 수월하고 생활용수의 사용이 용이하며, 미사용시에는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의 내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박스의 접철 전 사시도 및 접철 후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상판과 수전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볼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디바이스의 내부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의 내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박스(10)의 접철 전 사시도 및 접철 후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상판(20)과 수전 디바이스(40)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볼(3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디바이스(40)의 내부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는, 제1 박스(10), 수전 상판(20), 싱크 볼(30), 수전 디바이스(40), 용수공급부(50) 및 오수수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스(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박스(10)는, 베이스부(17), 제1 측벽부(11), 제2 측벽부(12), 제3 측벽부(13) 및 제4 측벽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7)는 제1 박스(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지면 또는 바닥 상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부(17)의 둘레에는 힌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1)는 베이스부(17)의 일측과 연결되고, 베이스부(17)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제1 측벽부(11)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벽부(12)는 제1 측벽부(11)와 마주보도록 베이스부(17)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1)가 회전되는 것과 같이, 제2 측벽부(12)는 베이스부(17)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다.
제3 측벽부(13)는 제1 측벽부(11)의 일단과 제2 측벽부(12)의 일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13)는 베이스부(17)의 타측 즉, 제3 측벽부(13)의 하측이 베이스부(17)와 맞닿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4 측벽부(14)는 제1 측벽부(11)의 타단과 제2 측벽부(12)의 타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측벽부(14)는, 제4 측벽부(14)의 하측이 베이스부(17)와 맞닿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측벽부(13)는 제1 박스(10)의 뒤쪽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측벽부(14)는 제1 박스(10)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1)는 제1-1 그루브(111) 및 제1-2 그루브(112)를 가질 수 있다. 제1-1 그루브(111)는 제1 측벽부(11)의 일단에 배치되며, 제1-2 그루브(112)는 제1 측벽부(11)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그루브(111)는 제1 측벽부(11)의 좌측에 배치되며, 제1-2 그루브(112)는 제1 측벽부(1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그루브(111)와 제1-2 그루브(112)는 각각 측면에 오목하게 파여진 복수 개의 그루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2)는 제2-1 그루브(121) 및 제2-2 그루브(122)를 가질 수 있다. 제2-1 그루브(121)는 제2 측벽부(12)의 일단에 배치되며, 제2-2 그루브(122)는 제2 측벽부(12)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그루브(121)는 제2 측벽부(12)의 우측에 배치되며, 제2-2 그루브(122)는 제2 측벽부(12)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그루브(121)와 제2-2 그루브(122)는 각각 측면에 오목하게 파여진 복수 개의 그루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박스(10)는, 제1 결합부(15) 및 제2 결합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5)는 제3 측벽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는, 제3 측벽부(13)를 제1 측벽부(11)의 일단과 제2 측벽부(12)의 일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16)는 제4 측벽부(14)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6)는, 제4 측벽부(14)를 제1 측벽부(11)의 타단과 제2 측벽부(12)의 타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5)는 제1-1 돌출부(151) 및 제1-2 돌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돌출부(151)는 제1 측벽부(11)의 일단과 맞닿는 제3 측벽부(13)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1-1 돌출부(151)는 외력에 의해 제1-1 그루브(111)에 삽입되어 제1 측벽부(11)의 일단과 제3 측벽부(1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2 돌출부(152)는 제2 측벽부(12)의 일단과 맞닿는 제3 측벽부(13)의 타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1-2 돌출부(152)는 외력에 의해 제2-1 그루브(121)에 삽입되어 제2 측벽부(12)의 일단과 제3 측벽부(1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은 탄성력과 같은 힘으로써, 제1-1 돌출부(151)와 제1-2 돌출부(152)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조작부(18)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18)가 수축되면, 제1 결합부(15)와 제2 결합부(16)가 풀어지게 된다(release). 조작부(18)가 팽창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제1-1 돌출부(151)를 제1-1 그루브(111)에 결착 시킬 수 있고, 제1-2 돌출부(152)를 제2-1 그루브(121)에 결착 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16)는, 제2-1 돌출부(161) 및 제2-2 돌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돌출부(161)는 제1 측벽부(11)의 타단과 맞닿는 제4 측벽부(14)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2-1 돌출부(161)는 외력에 의해 제1-2 그루브(152)에 삽입되어 제1 측벽부(11)의 타단과 제4 측벽부(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2 돌출부(162)는 제2 측벽부(12)의 타단과 맞닿는 제4 측벽부(14)의 타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2-2 돌출부(162)는 외력에 의해 제2-2 그루브(122)에 삽입되어 제2 측벽부(12)의 타단과 제4 측벽부(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16)에서의 외력에 대한 기능 및 구성은 제1 결합부(15)의 외력에 대한 기능 및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7) 상에 제3 측벽부(13)와 제4 측벽부(14) 중첩되고, 그 다음 그 위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2)가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측벽부(13)는 제4 측벽부(14) 상에 수직으로 중첩되거나, 제4 측벽부(14)가 제3 측벽부(13) 상에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벽부(13)가 제4 측벽부(14) 상에 수직으로 중첩되었을 경우에, 제3 측벽부(13) 상에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2)가 중첩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2)는 서로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제1, 제2, 제3, 제4 측벽부(11, 12, 13, 14)는 평면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접철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b)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측벽부(11, 12, 13, 14)가 접철되고 수직으로 중첩되어, 제1 박스(1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전 상판(20)은 제1 박스(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상판(20)은, 덮개 플레이트(21), 고정 돌출부(22), 관통 홀(23) 및 스토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21)는 제1 박스(10)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21)에 싱크 볼(30)이 위치되는 싱크 볼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싱크 볼 홀(211)의 형상은 싱크 볼(30)의 플랜지부(32)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출부(22)는 덮개 플레이트(21)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 돌출부(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돌출부(22)는 싱크 볼 홀(2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돌출부(22)에 수전 디바이스(40)가 설치될 수 있다. 관통 홀(23)은 덮개 플레이트(21)와 고정 돌출부(22)를 관통한다. 관통 홀(23)의 내부에는 수전 디바이스(40)의 튜브(4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돌출부(22)는 가이드 홈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부는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고정 돌출부(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원호를 그리며 고정 돌출부(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고정 돌출부(22)의 상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일단으로부터 고정 돌출부(22)의 상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할 수전 디바이스(40)의 하우징(41)은 고정 돌출부(22)가 삽입되는 고정 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은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고정 홈(411)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그 다음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노즐(43)이 싱크 볼(30)과 인접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수전 디바이스(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됨으로써,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해 수전 디바이스(40)가 수전 상판(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은 후술할 결합 홈(미도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는 수전 디바이스(40)의 하우징(41)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합 홈의 둘레에 오목하게 파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24)는 덮개 플레이트(21)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1 박스(10)의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부(24)는 복수의 고정 바로 구성되거나, 단추 형상의 복수의 고정 요소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바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쌍의 고정 바는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2)에 맞닿게 위치되어 제1 박스(10)로부터 수전 상판(20)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요소는 제1 박스(10) 내측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고정 요소가 제1 박스(10)의 개구면의 어느 하나의 꼭지점에 배치되면, 다른 하나의 고정 요소는 다른 하나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면이 사각형이므로 4개의 꼭지점에 맞닿도록 각각의 고정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상판(20)은, 덮개 플레이트(21), 관통 홀(23), 스토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21)는 제1 박스(10)의 개구 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21)는 수전 디바이스(40)의 하우징(41)의 하부가 삽입되는 결합 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41)의 하부 형상에 따라 상기 결합 홈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과 하우징(41)은 간극 없이 맞물리게 되어 물이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결합 홈은 싱크 볼 홀(2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덮개 플레이트(21)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일 수 있다.
관통 홀(23)은 덮개 플레이트(21)를 관통하면서 상기 결합 홈과 연결되고, 내부에 튜브(42)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24)는 상기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덮개 플레이트(21)에 싱크 볼(30)이 위치되는 싱크 볼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싱크 볼 홀(211)의 형상은 싱크 볼(30)의 플랜지부(32)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32)에 맞닿는 싱크 볼 홀(211)의 둘레에는 자석(자기를 띤 물체이면 모두 가능함)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32)는 덮개 플레이트(21)에 변동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상판(20)의 덮개 플레이트(21)는, 싱크 볼 홀(211)의 일 측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 돌출부(22) 및 싱크 볼 홀(211)의 타 측에 이격 배치되는 결합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21)는 제1 본체(미도시)와 제2 본체(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맞닿는 부분에 힌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에 힌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에 의해 덮개 플레이트(21)가 접힐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마주보도록 접힐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에는 고정 돌출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 본체에는 결합 홈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마주보도록 접히게 되면, 상기 제1 본체의 고정 돌출부가 상기 제2 본체의 결합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수전 디바이스(40)가 고정 돌출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결합 홈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체의 고정 돌출부에 수전 디바이스(4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본체의 결합 홈에 텀블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에 의해 덮개 플레이트(21)가 접힐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는 용수공급부(50) 및 오수수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수공급부(50)와 오수수용부(60)는 제1 박스(10)의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덮개 플레이트(21)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용수공급부(50)는 수전 디바이스(40)에 연결되고, 수전 디바이스(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오수수용부(60)는 싱크 볼(30)의 배수구(33)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용수공급부(50)는 상기 물이 방출되는 용수 방출공을 가질 수 있다. 오수수용부(60)는 배수구(33)와 연결된 오수 수용공을 가질 수 있다. 용수공급부(50)와 오수수용부(60)는 박스 형태, 탄력적 워터 팩 형태 등의 밀폐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용수공급부(50)와 오수수용부(60)는 각각 허용된 유동 이외의 유동(예를 들어, 누출, 유출 등)은 허용되지 않는다.
용수공급부(50) 내의 있는 물은 수전 디바이스(4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물은 노즐(43)에 의해 분사되어 사용자에게 사용된다. 그 다음, 상기 물은 싱크 볼(30)의 몸체부(31)를 거치게 되며, 배수구(33)를 통과하여 오수수용부(60) 내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박스(10)의 베이스부(17)는, 용수공급부(50)를 고정시키는 제1 홀딩부(미도시) 및 오수수용부(60)를 고정시키는 제2 홀딩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부는 제1 턱부와 제1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턱부는 용수공급부(50)의 하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턱부는 용수공급부(50)의 경계선(boundary)을 짓는다.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턱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용수공급부(50)가 고정되게 잡아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딩부는 제2 턱부와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턱부는 오수수용부(60)의 하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턱부는 오수수용부(60)의 경계선(boundary)을 짓는다.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턱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오수수용부(60)가 고정되게 잡아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전 디바이스(40)는 수전 상판(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수전 디바이스(40)는 싱크 볼(30)에 인접하며 싱크 볼(30)의 개구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수전 디바이스(40)는 하우징(41), 튜브(42), 노즐(43), 펌프(44), 버튼부(45) 및 배터리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은 덮개 플레이트(2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41)은 하부에 고정 돌출부(22)가 삽입되는 고정 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411)은 고정 돌출부(22)에 맞물리게 위치되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41)의 하부는 결합 홈(미도시)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41)은 수전 상판(20) 상에 위치되는 제1 바디(미부호),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디(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가 수전 상판(20)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싱크 볼(3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을 기준 축으로 놓고 상기 제2 바디는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는 높이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 바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즐(43)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튜브(42)는 하우징(41)과 용수공급부(50)를 연결하고, 내부에 용수공급부(5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튜브(42)는 신축성이 있고 일 방향으로만 물을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상기 물이 용수공급부(50)에서 수전 디바이스(40)로 흐르는 방향이다.
노즐(43)은 하우징(41)의 끝단(상기 제2 바디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노즐(43)은 용수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물을 싱크 볼(30)의 개구부로 분사할 수 있다.
펌프(44)는 하우징(41) 내부에 설치되고, 튜브(42) 내의 물을 노즐(43)로 펌핑할 수 있다. 수전 디바이스(40)는 버튼부(45) 및 배터리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45)는 하우징(41)에 설치되고, 펌프(44)와 배터리부(46)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43)에서 분사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버튼부(45)는 펌프(4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46)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어 모아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에너지로 다시 변환시켜 펌프(44)가 펌핑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전 디바이스(40)는 가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배터리부(46)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노즐(43)로 분사되기 전의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싱크 볼(30)은 싱크 볼 홀(211)에 배치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싱크 볼(30)은, 몸체부(31), 플랜지부(32) 및 배수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구(33)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32)는 몸체부(31)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상단의 둘레에 플랜지부(32)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32)는 싱크 볼 홀(211)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배수구(33)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물을 제1 박스(10)의 내부에 배치된 오수수용부(60)로 배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31)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는 배수구(33)를 향한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는, 상방으로 직경이 넓어지고 환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링은 측방으로 중첩되어 하나의 평면 상으로 모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싱크 볼(30)의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하기 편리하다. 플랜지부(32)는 평면적 관점에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31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전 상판(20)은 싱크 볼 홀(211)의 내측면에 제1 나사산(310)과 나사결합 되는 제2 나사산(212)을 가질 수 있다. 제1 나사산(310)과 제2 나사산(212)은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수전 상판(20)에 싱크 볼(30)이 강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는 용수공급부를 수용하는 제2 박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박스(70)는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미부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둘레에 위치되는 둘레 측벽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스(70)는 물을 공급하는 용수공급부를 수용하고, 제1 박스(10)는 사용된 물(오수)을 담는 오수수용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박스(70)의 위에 제1 박스(10)가 중첩될 수 있다. 수전 상판(20)은 제1 박스(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의 내식성을 높일 수 있도록, 물과 맞닿는 구성품에는 코팅 처리가 되어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에 의하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배치된 제1 박스(10), 제2 박스(70), 수전 상판(20) 및 싱크 볼(30)이 접철되고, 사용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싱크대(1)에 의하면, 야외에서 설치와 해체가 수월하고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고 생활용수의 사용이 용이하며, 미사용시에는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간이 싱크대 10: 제1 박스
11: 제1 측벽부 12: 제2 측벽부
13: 제3 측벽부 14: 제4 측벽부
15: 제1 결합부 16: 제2 결합부
20: 수전 상판 21: 덮개 플레이트
22: 고정 돌출부 23: 관통 홀
24: 스토퍼부 30: 싱크 볼
31: 몸체부 32: 플랜지부
33: 배수구 40: 수전 디바이스
41: 하우징 42: 튜브
43: 노즐 44: 펌프
50: 용수공급부 60: 오수수용부

Claims (10)

  1. 접혀진 상태로 이동 가능하며 생활용수의 사용이 용이한 이동식 간이 싱크대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갖는 제1 박스;
    상기 제1 박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싱크 볼 홀을 가지는 수전 상판;
    상기 싱크 볼 홀에 배치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싱크 볼;
    상기 제1 박스 내에 위치되고 수전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용수 공급부; 및
    상기 수전 상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볼에 인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수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 디바이스는,
    상기 수전 상판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용수 공급부를 연결하고, 내부에 상기 용수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하는 튜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용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싱크 볼의 상기 개구부로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 내의 물을 상기 노즐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 상판은,
    상기 제1 박스의 개구 된 상부를 덮고, 상기 싱크 볼 홀이 형성되는 덮개 플레이트;
    상기 덮개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싱크 볼 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고정 돌출부;
    상기 덮개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싱크 볼 홀의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결합 홈;
    상기 덮개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 홀; 및,
    상기 덮개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결합 홈과 연결되는 제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돌출부가 위치되는 제1 본체;
    상기 결합 홈이 위치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맞닿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 디바이스는 상기 고정 돌출부 또는 상기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 홈에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접힐 경우,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수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정 돌출부에 설치될 경우, 텀블러가 안착되고,
    상기 싱크 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 박스의 내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간이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볼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오수수용부를 포함하는,
    간이 싱크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는,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벽부의 일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3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2 측벽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간이 싱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는,
    상기 제3 측벽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측벽부를 상기 제1 측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벽부의 일단에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4 측벽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측벽부를 상기 제1 측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2 측벽부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간이 싱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1 그루브와 상기 제1 측벽부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1-2 그루브를 갖고,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측벽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2-1 그루브와 상기 제2 측벽부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2 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1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3 측벽부를 결합시키는 제1-1 돌출부;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2-1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측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3 측벽부를 결합시키는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2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4 측벽부를 결합시키는 제2-1 돌출부;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2-2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측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4 측벽부를 결합시키는 제2-2 돌출부를 포함하는,
    간이 싱크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볼은,
    상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수전 상판은 상기 싱크 볼 홀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결합 되는 제2 나사산을 갖는,
    간이 싱크대.
  9. 삭제
  10. 삭제
KR2020210003787U 2021-12-10 2021-12-10 이동식 간이 싱크대 KR200495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87U KR200495420Y1 (ko) 2021-12-10 2021-12-10 이동식 간이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87U KR200495420Y1 (ko) 2021-12-10 2021-12-10 이동식 간이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420Y1 true KR200495420Y1 (ko) 2022-05-17

Family

ID=8176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87U KR200495420Y1 (ko) 2021-12-10 2021-12-10 이동식 간이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45B1 (ko) * 2023-03-02 2023-09-13 이선경 짜 맞춤 방식의 조립식 유아용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5873U (ko) * 1976-05-21 1977-11-26
JPH0539348U (ja) * 1991-11-06 1993-05-28 オカモト株式会社 キヤンプ用流し台
KR950016456U (ko) * 1993-12-15 1995-07-20 이용원 절첩식 다용도 테이블
US6574805B1 (en) * 2002-05-10 2003-06-10 Jack Liu Collapsible sink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5873U (ko) * 1976-05-21 1977-11-26
JPH0539348U (ja) * 1991-11-06 1993-05-28 オカモト株式会社 キヤンプ用流し台
KR950016456U (ko) * 1993-12-15 1995-07-20 이용원 절첩식 다용도 테이블
US6574805B1 (en) * 2002-05-10 2003-06-10 Jack Liu Collapsible sink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45B1 (ko) * 2023-03-02 2023-09-13 이선경 짜 맞춤 방식의 조립식 유아용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147B2 (en) Fine ceramic control valve
KR200495420Y1 (ko) 이동식 간이 싱크대
US8033392B1 (en) Mouth guard holding assembly and method
US8985148B2 (en) Fine ceramic control vale
US8844549B2 (en) Modular outdoor playpen apparatus
US8857469B2 (en) Water valve suitable for use with a bathtub
CA2517314A1 (en) Floor box
KR101705949B1 (ko) 싱크대와 가스버너가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US7467753B2 (en) Connecting tube structure
US5446930A (en) Portable shower enclosure
KR100965853B1 (ko)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KR20110025407A (ko) 이동 가능한 접철식 간이싱크대
KR101407107B1 (ko) 이동식 박스 욕조
CA2208001C (en) Sanitary fitting with a cartridge
KR101534165B1 (ko)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KR20140108893A (ko)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CN207136598U (zh) 一种可伸缩多功能的开放式厨房
KR101203450B1 (ko) 화상방지 수도꼭지
KR101241186B1 (ko)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KR101839611B1 (ko) 원터치캡
CN210449574U (zh) 一种花洒
CN210449575U (zh) 一种花洒
CN218943159U (zh) 一种浴盆
KR100336461B1 (ko) 이동식 물탱크 조립체
KR101469432B1 (ko) 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