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550B1 - 살균 세척기 - Google Patents

살균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550B1
KR102490550B1 KR1020220087677A KR20220087677A KR102490550B1 KR 102490550 B1 KR102490550 B1 KR 102490550B1 KR 1020220087677 A KR1020220087677 A KR 1020220087677A KR 20220087677 A KR20220087677 A KR 20220087677A KR 102490550 B1 KR102490550 B1 KR 10249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tank
sterilizing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주
Original Assignee
(주)이하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하이진 filed Critical (주)이하이진
Priority to KR102022008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4Surface a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등의 세척대상물을 자동으로 살균, 세척할 수 있는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의 살균부에는 살균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버블을 분출시키는 버블 분출기가 구비되고, 세척부에는 물 또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폭기관이 구비되어서 살균 및 세척의 시간은 단축시키면서 효율을 높이고, 바구니 트레이를 구비하여 세척대상물을 수조의 세척로 투입하고 꺼내는 작업이 편리하고, 수조의 살균부와 세척부를 분리시켜서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에 살균물질이 잔존할 위험이 없는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기는 세척수가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살균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세척수로 분출시키는 버블 분출기가 구비되는 살균부; 상기 수조에서 물 또는 공기를 생성하여 세척수로 토출하는 폭기관이 구비되는 세척부; 상기 수조에 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는 망구조의 바구니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살균 세척기{Sterilizing washer }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등의 세척대상물을 자동으로 살균, 세척할 수 있는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의 살균부에는 살균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버블을 분출시키는 버블 분출기가 구비되고, 세척부에는 물 또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폭기관이 구비되어서 살균 및 세척의 시간은 단축시키면서 효율을 높이고, 바구니 트레이를 구비하여 세척대상물을 수조의 세척로 투입하고 꺼내는 작업이 편리하고, 수조의 살균부와 세척부를 분리시켜서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에 살균물질이 잔존할 위험이 없는 살균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휴게소와 같은 대형 식당이나 학교 급식 시설 등에서는, 대량의 음식물을 조리하여 공급하므로, 작은 식당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음식물의 재료가 되는 야채나 과일의 소비량이 매우 크다.
따라서 야채나 과일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조리하는 경우, 재료 준비 시간에만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어, 세척에 필요한 작업자가 많이 필요함에 따라 인건비가 과도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많은 재료를 일일이 세척할 경우 세척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재료별로 꼼꼼하게 세척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세척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세척 품질의 저하는 음식물의 품질 저하로 직결되어 식당의 평가를 나쁘게 하여 경쟁력을 떨어뜨림과 동시에, 비위생적인 음식물 조리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이에 대량의 식재료를 보다 빠르면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자동 세척을 통해 인건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세척기에 관한 기술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769호(20110124 공개)는 수조에 담긴 세척수에 산소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야채, 그릇 등을 세척한다.
그런데 세척수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것 만으로는 강력한 세척력을 보장하기 어렵고, 야채 그릇 등의 세척 대상물에 세균의 완벽한 제거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세척대상물을 일일이 수조에 투척하고, 세척이 완료되면 일일이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세척과정에서 세척대상물에서 떨어져 나온 찌꺼기가 배수구의 거름망을 막고, 작업자는 배수시에 이 찌꺼기를 일일이 걷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세척기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마이크로버블에 살균물질을 함유시켜서 세척대상물에 묻은 세균을 멸균시키고, 물 또는 공기를 고압으로 토출하는 폭기관을 구비하여 보다 강력하게 세척하고, 바구니 트레이를 구비하여 세척 대상물을 한번에 수조에 투입하고 꺼낼 수 있고, 수조의 살균부와 세척부를 분리시켜서 세척대상물에 살균물질이 잔존하지 않도록 세척하고, 찌꺼기가 배수구의 거름망을 막고 있더라도 간편한 작업으로 배수가 원활해지는 살균 세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기는
세척수가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살균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세척수로 분출시키는 버블 분출기가 구비되는 살균부;
상기 수조에서 물 또는 공기를 생성하여 세척수로 토출하는 폭기관이 구비되는 세척부;
상기 수조에 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는 망구조의 바구니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조에는 상기 살균부와 세척부를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살균부와 세척부에는 각각 급수구, 배수구, 월류구 및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위에는 거름망이 놓이고,
상기 거름망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다리가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자바라식 다리는 상기 배수구로 투입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벽에는 상기 자바라식 다리의 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의 가장자리에는 회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침과 수직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거름날개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기는 수조의 살균부에서 살균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버블을 세척수로 분출시켜서 살균물질이 세척대상물 표면 곧곧으로 스며들어 완벽하게 멸균시키고, 수조의 세척부에서 고압의 물 또는 공기를 세척수로 토출시켜서 세척수에 묻은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분리제거하여서 세척 대상물의 살균 및 세척 효율이 뛰어나고, 수조의 살균부와 세척부를 분리시켜서 세척 대상물에 살균물질이 잔존할 위험이 없고, 바구니 트레이를 이용해 세척 대상물을 한번에 수조로 투입하고 꺼낼 수 있어서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시키고, 찌꺼기가 배수구의 거름망을 막고 있어도 간편한 작업만으로 찌꺼기가 배수구로 흘러들어가지 않으면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살균 세척기를 위에서 본 평면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살균 세척기를 정면에서 본 정면 구조도.
도 3 은 도2에서 트레이가 거치된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 구조도.
도 4 는 배수구와 이를 덮는 거름망을 요부로 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기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기는 살균부(11)와 세척부(12)를 구비하는 수조(10), 버블 분출기(20), 폭기관(30), 트레이(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0)에는 세척수가 담기고, 수조(10)는 야채와 과일 등의 세척 대상물을 살균하는 살균부(11)와 세척하는 세척부(12)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수조(10)의 살균부(11)와 세척부(12)는 공유될 수 있다. 즉, 수조(10) 내부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수조(10) 전체에서 세척 대상물의 살균과 세척이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그런데 수조(10) 내부를 분리하지 않고 살균과 세척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에 살균물질이 세척 대상물에 잔존할 수 있다. 살균물질로는 인체에 무해한 것을 사용하지만, 그럼에도 살균물질이 잔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도면과 같이 수조(10)의 중간에 분리판(13)을 설치하여 살균부(11)의 세척수가 세척부(12)의 세척수에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살균부(11)에서 살균된 세척 대상물을 세척부(12)에서 세척하는 과정에서 살균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10)의 살균부(11)에는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세척수로 분출시키는 버블 분출기(20)가 바닥에 구비된다.
상기 버블 분출기(20)는 살균물질이 함유된 미세 공기방울(즉,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살균부(11)의 세척부(12)에 분출시킨다.
세척수로 분출되는 마이크로버블은 살균물질이 세척 대상물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스며들도록 하여서 살균 효율을 높인다.
참고로, 마이크로버블이란, 물과 공기만을 이용한 친환경적 에너지원으로써, 1/100 mm에서 1/000 mm의 아주 작은 거품으로, 보통 거품과는 달리 직경이 1μm 이하의 매우 미세한 기포이며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이 50μm이하의 미소 기포이다.
마이크로버블의 색은 우윳빛으로 미세한 거품이 연속으로 터지면서 수중에서 축소해 소멸함과 함께 동시에 매우 느린 속도로 상승하면서 40Khz의 초음파를 포함한 충격파가 시속 400 ㎞의 속도, 다량의 음이온발생, 순간적인 고열을 발생시키면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마이크로버블은 살균효과와 강력한 초음파를 포함한 충격파에 의하여 과일이나 야채에 존재하는 각종 농약성분이나, 식기류나 의류에 잔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세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에 함유되는 살균물질로는 HOCl, NaOC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HOCl, NaOCl 세척대상물 표면에 묻은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시킨다.
상기 수조(10)의 세척부(12)에는 고압의 물 또는 공기를 생성하여 세척수로 토출하는 폭기관(30)이 구비된다.
폭기관(30)에는 토출공(31)들이 형성되고, 폭기관(30)의 세척부(12)의 바닥에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폭기관(30)의 배열모양과 토출공(31)들의 형성방향은 세척수에 완류를 형성하고, 보다 많고 강력한 공기방울을 형성할 수 있는 모양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프레셔가 고압의 공기를 폭기관(30)으로 공급하거나, 펌프(33)가 폭기관(30)으로 고압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물 또는 공기는 폭기관(30)의 토출공(31)을 통해 세척수로 토출되어서, 세척수에 강력한 와류를 형성하고, 와류에 공기방울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펌프(33)가 공급하는 물은 세척부(12)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순환공급 할 수 있다.
상기 수조(10)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구(15)와, 세척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구(16)와, 수조(10)에 세척수가 기준 수위 이상으로 높아지면 취수조로 월류시켜서 세척수가 수조(10)에서 넘치지 않도록 하는 월류구(17)와, 수조(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50) 등이 구비된다.
수조(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기 수위센서(50)로는 부유형 센서, 광센서, 유체흐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조(10)에 분리판(13)을 설치하여 살균부(11)와 세척부(12)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급수구(15), 배수구(16), 월류구(17) 및 수위센서(50)는 살균부(11)와 세척부(12)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월류구(17)는 수조(10)의 상부측의 어느 한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수위센서(50)는 상기 월류구(17)의 내측이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60)는 상기 수위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서 수조(10)의 세척수가 만수위 시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급수파이프에 설치된 밸브를 폐쇄시켜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수위센서(50)가 감지하는 세척수가 저수위 시에는 펌프를 가동시키거나 밸브를 개방시켜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수조(10)의 세척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는 과일, 야채, 식기 등의 세척 대상물이 담기고, 상기 수조(10)의 상부에 거치되고 수조(10)의 세척수에 잠기어서, 담긴 세척 대상물을 세척수에 한 번에 투입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40)는 망구조이고 바구니 형상의 바구니 트레이(41)와, 망구조이고 평면 모양의 덮개 트레이(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구니 트레이(41)에는 세척 대상물이 담기고, 상기 덮개 트레이(42)는 상기 바구니 트레이(40)의 상부를 덮어서 바구니 트레이(40)에 담겨서 세척수에 부유된 세척 대상물을 눌러줌으로써 세척수에 잠기도록 한다.
상기 수조(10)의 바닥에 구비된 배수구(16) 위에는 거름망(70)이 놓여서, 세척수의 배수시에 세척 대상물에서 떨어져 나온 각종 찌꺼기가 배수구(16)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거름망(70) 위에 많은 찌꺼기가 쌓이면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 이때는 작업자가 거름망(70) 위에 찌꺼기를 손으로 하나하나 제거해야 하는데 이는 상당히 번거롭다. 거름망(70) 위에 찌꺼기를 제거하는게 번거로워서 거름망(70)을 배수구(16)에서 들어 올리면 일시적으로 배수가 원활해지지만 찌꺼기가 배수구(16)로 흘러들어가 배수구(16)를 막아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거름망(70)은 위에 찌꺼기가 쌓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때 거름망(70)을 들어 올려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찌꺼기가 배수구(16)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70)과 그 주변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거름망(70)은 거름살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에 타공들이 형성된 것을 거름망(7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4에서는 도면의 인식성을 높이기 위해 거름살들의 간격을 다소 넓게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최외곽의 거름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흘림방지막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70)을 배수구(16)에서 분리시키는 때에 상기 흘름방지막은 거름망(70) 위에 쌓인 찌꺼기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름망(70)의 크기는 상기 배수구(16)의 크기 보다 넉넉하게 커서, 거름망(7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찌꺼기가 되도록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배수구(16)가 원형 모양인 경우 거름망(70)의 직경은 배수구(16)의 직경 보다 약 2배 더 커서(길어서), 거름망(70)의 가장자리는 배수구(16)에서 배수구(16)의 반경만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70)의 가장자리에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한 거름날개(75)들이 연속하여 구비된다.
상기 거름날개(75)는 거름망(70)처럼 거름살들로 구성될 수 있고, 평판에 타공이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거름망(70)이 배수구(16) 위에 놓이는 때에 상기 거름날개(75)는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고, 거름망(70)을 들어 올리면 상기 거름날개(75)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거름날개(75)는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때 내측이나 외측 어느 한 방향으로 펼쳐지고, 회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힌 후에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막아서 수직방향으로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거름망(70)을 들어 올려 세척수가 거름날개(75)를 통과하는 것을 고려하면, 거름날개(75)는 외측으로 펼쳐지고, 수직방향으로 접힌 후에는 회동이 막혀 내측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거름날개(75)가 펼쳐졌을 때 거름망(70)의 크기를 고려하면 거름날개(75)는 내측으로 펼쳐져서 거름망(70)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70)을 들어 올릴 때 과도하게 들리면 거름날개(75)의 하단에 수조(10) 바닥에서 이격되고, 찌꺼기가 이격 공간을 통과하여 배수구(16)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거름망(70)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다리(80)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16)의 내벽에는 상기 자바라식 다리(80)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홈(16h)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다리(80)는 중간 부위에 자바라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부(8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돌부(83)가 구비고, 상단은 외측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거름망(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상기 다리(80)와 거름망(70)을 연결하여서 상기 다리(80)가 외측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바라식 다리(80)들을 오므린 상태로 배수구(16)로 밀어 넣고 거름망(70)을 아래로 누르면 다리(80) 하단의 걸림돌부(83)가 배수구(16)의 걸림홈(16h)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거름망(70)을 더 눌러 배수구(16)를 덮도록 하면 다리(80)의 자바라부(81)가 줄어들게 된다. 거름망(70) 위에 찌꺼기가 쌓여 거름망(70)을 들어 올리면 다리(80)의 자바라부(81)가 늘어나 거름망(70)의 들림을 허용하고 자바라부(81)가 한계치까지 늘어나면 거름망(70)은 더 들리지 않는다. 거름망(70)이 더 들리지 않는 높이에서 거름날개(75)의 하단은 수조(10)의 바닥에 접촉되거나 약간만 이격된 상태가 되어서 찌꺼기가 거름날개(75)와 바닥 사이의 틈새를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거름망(70)의 세척을 위해서 거름망(70)을 배수구(16)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데, 다리(80)의 걸림돌부(83)가 배수구(16)의 걸림홈(16h)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거름망(70)을 배수구(16)에서 분리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거름망(70)을 배수구(16)에서 쉽게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자바라식 다리(80)들의 외주연으로는 누름링(90)이 삽입되고, 누름링(90)에는 상기 거름망(70)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누름돌기(91)가 연결된다.
상기 자바라식 다리(80)들은 평상시에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있어서 상기 누름링(90)을 위로 밀어 올리고, 그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91)는 거름망(70) 표면으로 돌출된다. 배수를 위해 거름망(70)을 들어 올릴 때 작업자는 누름돌기(91)를 손가락으로 잡고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 거름망(70)을 배수구(16)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누름돌기(91)를 누른 상태에서 거름망(70)을 들어 올리면 분리시킬 수 있다. 누름돌기(91)를 누르면 누름링(90)이 함께 눌려 하강하고, 하강하는 누름링(90)은 자바라식 다리(80)들의 외주연을 아래로 눌려 내측으로 회전시키고, 그러면 다리(80)의 걸림돌부(83)가 배수구(16)의 걸림홈(16h)에서 벗어나게 되어서 거름망(70)은 아무런 방해 없이 배수구(1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살균 세척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조 11 : 살균부
12 : 세척부 13 : 분리판
15 : 급수구 16 : 배수구
16h : 걸림홈 17 : 월류구
20 : 버블 분출기 30 : 폭기관
31 : 토출공 33 : 펌프
41 : 바구니 트레이 43 : 덮개 트레이
50 : 수위센서 60 : 컨트롤러
70 : 거름망 75 : 거름날개
80 : 다리 81 : 자바라부
83 : 걸림돌부 90 : 누름링
91 : 누름돌기

Claims (4)

  1. 세척수가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에서 살균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세척수로 분출시키는 버블 분출기가 구비되는 살균부;
    상기 수조에서 물 또는 공기를 생성하여 세척수로 토출하는 폭기관이 구비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살균 세척기에서

    상기 수조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위에는 거름망이 놓이고,
    상기 거름망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다리가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자바라식 다리는 상기 배수구로 투입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벽에는 상기 자바라식 다리의 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의 가장자리에는 회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침과 수직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거름날개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살균부와 세척부를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와 세척부에는 각각 급수구, 배수구, 월류구 및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는 망구조의 바구니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살균 세척기.
KR1020220087677A 2022-07-15 2022-07-15 살균 세척기 KR10249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77A KR102490550B1 (ko) 2022-07-15 2022-07-15 살균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77A KR102490550B1 (ko) 2022-07-15 2022-07-15 살균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550B1 true KR102490550B1 (ko) 2023-01-20

Family

ID=8510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77A KR102490550B1 (ko) 2022-07-15 2022-07-15 살균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22A (ko) * 2015-01-28 2016-08-08 조태억 자동 야채세척기
KR20200071356A (ko) * 2018-12-11 2020-06-19 고윤한 쌀 세척장치
KR102152561B1 (ko) * 2020-02-07 2020-09-04 임준수 버블 세척 기능을 겸비한 와류 발생 기반의 농수산식품용 초음파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22A (ko) * 2015-01-28 2016-08-08 조태억 자동 야채세척기
KR20200071356A (ko) * 2018-12-11 2020-06-19 고윤한 쌀 세척장치
KR102152561B1 (ko) * 2020-02-07 2020-09-04 임준수 버블 세척 기능을 겸비한 와류 발생 기반의 농수산식품용 초음파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446B1 (ko)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CN205577043U (zh) 一种双层水盘、砧板和沥水帘组合的水槽装置
KR102490550B1 (ko) 살균 세척기
CN104013320A (zh) 一种可沥水的洗菜盆
CN106522321A (zh) 集成式清洗水槽
CN205197924U (zh) 一种全自动清洗消毒集成水槽
KR101057809B1 (ko) 절수구조와 편의성을 제공하는 주방용 싱크대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JP2008259576A (ja) 食器洗浄用シンク及び食器洗浄方法
KR102516511B1 (ko) 살균 세척기
CN112353271B (zh) 一种智能果蔬清洗方法
CN206245415U (zh) 集成式清洗水槽
CN208501809U (zh) 一种可分割式圆角水槽
CN209269626U (zh) 一种洗碗机碎渣结构
CN203970187U (zh) 一种可沥水的洗菜盆
CN215962405U (zh) 组合式过滤组件及洗菜盆
CN208550489U (zh) 集成水槽
KR101087758B1 (ko) 다수개의 개수대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수단을 포함하여제공되는 주방용 싱크대
CN219126248U (zh) 水槽用的清洗篮
CN109489083A (zh) 一种便于刷锅水排放的电磁大炒炉
CN220777337U (zh) 一种清洗效率高的果蔬清洗机
CN211243042U (zh) 一种手摇洗菜篮
CN217365555U (zh) 一种高效气泡式浸泡池
CN206261151U (zh) 自动清洗餐桌
CN209346809U (zh) 一种节能果蔬清洗装置
CN216776992U (zh) 一种环保型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