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08U - 싱크대용 배수캡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308U
KR20190002308U KR2020180000999U KR20180000999U KR20190002308U KR 20190002308 U KR20190002308 U KR 20190002308U KR 2020180000999 U KR2020180000999 U KR 2020180000999U KR 20180000999 U KR20180000999 U KR 20180000999U KR 20190002308 U KR20190002308 U KR 201900023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ink
food waste
drain
drai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학
윤용철
이길주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주)테바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바, 최상필 filed Critical (주)테바
Priority to KR2020180000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308U/ko
Publication of KR20190002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구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몸체 및 배출구에 안착된 상태로 배출구를 폐쇄하는 누름구를 포함하며, 몸체 내측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저류되면, 부력에 의해 누름구가 부상(浮上)하여 배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누름구가 배출구를 폐쇄하고 있어서 배출구를 통해 숟가락, 젓가락과 같은 수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보여지는 것이 차단되고, 배수시에만 부력에 의해 누름구가 부상하여 배출구가 개방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악취의 유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쾌적한 싱크대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배수캡{Drain cap for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가려주는 동시에 악취를 차단하고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조리할 음식 재료의 세척, 조리 후에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거나 음식물 찌꺼기가 묻은 조리도구 및 용기 등의 설겆이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주방의 공간을 일컫는다. 이러한 싱크대는 배수구와, 배수구에 연통된 배수관을 통해 외부의 하수관과 연결되기 때문에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각종의 생활하수는 배수관을 거쳐 하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서 음식 재료를 손질하거나 설거지를 하게 되면, 크기가 다양한 각종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와 함께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면 자칫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거나 배수관 내에서 정체된 음식물 찌꺼기의 부패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싱크대 배수구에 거름망을 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싱크대용 거름망 거치대는, 음식물 쓰레기가 거름망에 담겨진 상태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거름망에 장시간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악취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배수시에는 일일이 덮개를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반대로 이를 폐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싱크대용 거름망 거치대의 구조상 수저 등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거름망으로 빠져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8749호(2015년 10월 08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과제는, 배수구의 악취와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보여지는 것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숟가락, 젓가락 등과 같은 수저가 거름망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길이가 긴 음식물 쓰레기가 정체되지 않고 거름망에 원활히 걸러지게 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캡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구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몸체 및 상기 배출구에 안착된 상태로 배출구를 폐쇄하는 누름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내측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저류되면, 부력에 의해 상기 누름구가 부상(浮上)하여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의 외측을 따라 상향 돌출된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내측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누름구가 배출구를 폐쇄하고 있어서 배출구를 통해 숟가락, 젓가락과 같은 수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보여지는 것이 차단되고, 배수시에만 부력에 의해 누름구가 부상하여 배출구가 개방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악취의 유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쾌적한 싱크대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인해 배수가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길이가 긴 음식물 쓰레기가 몸체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거름망으로 쉽게 빠져나가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은, 몸체(100) 및 누름구(2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물 또는 생활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주는 거름망(F)에 안착되는 것으로, 거름망(F)이 설치된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재질로는 가볍고,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적으며,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테프론, 실리콘 및 바이오폴리머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여기서, 몸체(100)는, 중공의 형태로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구(110)가 하부에 형성된다. 배출구(110)는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물 또는 생활하수 또는 이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통로로써, 몸체(1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다.
한편, 몸체(100)는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0)로 물 또는 생활하수 또는 이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내측면이 길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20)으로 인해 콩나물, 국수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음식물 쓰레기가 몸체(100)에 걸쳐지지 않으면서 경사면(120)을 따라 신속히 빠져나갈 수 있다.
누름구(200)는, 배출구(110) 상에 안착된 상태로 배출구(110)를 폐쇄하거나 부력에 의해 부상하면서 배출구(110)를 개방하여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물 또는 생활하수 또는 이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110)로 빠져 나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누름구(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조약돌 또는 바둑알 등과 같이 크기가 비교적 작고 평편하면서 둥글둥글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그리고, 누름구(200)의 재질로는 몸체(100)와 마찬가지로 가볍고,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적으며,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테프론, 실리콘 및 바이오폴리머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이때, 누름구(200)는, 몸체(100) 내측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저류되면, 부력에 의해 부상하게 되고, 이렇게 누름구(200)가 부상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배출구(110)가 개방된다. 이렇게 개방된 배출구(110)를 통해 물 또는 생활하수 또는 이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면서 거름망(F)에 걸러지는 것이다.
한편, 몸체(100) 내에서의 부력을 더욱 상승시키기 위해 배출구(110)의 외측을 따라 상향 돌출된 단턱(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111)으로 인해 본체(100)의 내측 하면과 누름구(200)의 하면 간의 간격이 더 벌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사이 공간으로 물을 더 많이 정체시켜 누름구(200)의 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배출구(110)의 배출공간을 넓혀 비교적 크기가 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한다.
즉, 평상시에는 누름구(200)가 배출구(110)를 폐쇄하고 있어서 배출구(110)를 통해 숟가락, 젓가락, 포크 및 나이프 등과 같은 식기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수를 원활히 하게 한다.
또한, 거름망(F)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보여지는 것이 차단되고, 배수시에만 부력에 의해 누름구(200)가 부상하여 배출구(110)가 개방되기 때문에 악취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배출구
111: 단턱
120: 경사면
200: 누름구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구(110)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몸체(100); 및
    상기 배출구(110)에 안착된 상태로 배출구(110)를 폐쇄하는 누름구(20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 내측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저류되면, 부력에 의해 상기 누름구(200)가 부상(浮上)하여 상기 배출구(110)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0)의 외측을 따라 상향 돌출된 단턱(11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내측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120)이 형성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캡.
KR2020180000999U 2018-03-08 2018-03-08 싱크대용 배수캡 KR201900023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99U KR20190002308U (ko) 2018-03-08 2018-03-08 싱크대용 배수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99U KR20190002308U (ko) 2018-03-08 2018-03-08 싱크대용 배수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08U true KR20190002308U (ko) 2019-09-18

Family

ID=6806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99U KR20190002308U (ko) 2018-03-08 2018-03-08 싱크대용 배수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3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036A1 (ko) * 2021-05-21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49B1 (ko) 2014-03-22 2015-10-08 이해규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49B1 (ko) 2014-03-22 2015-10-08 이해규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036A1 (ko) * 2021-05-21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12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лива для раковины
US8505125B1 (en) Hair catching stall shower drain
CN114729529A (zh) 一种多功能水槽及防溢装置
KR20190002308U (ko) 싱크대용 배수캡
US5136736A (en) Sink accessory for soaking, washing or rinsing dishes
KR20190002307U (ko) 싱크대용 배수캡
CN209996241U (zh) 具有果蔬清洗和碗碟清洗功能的水槽式洗碗机
CN212452936U (zh) 一种多功能水槽及防溢装置
EP3301233A1 (en) Metallic sink with seamless connecting structure to drain
KR100793816B1 (ko) 싱크대용 배수구 마개구조
KR200461981Y1 (ko) 쌀 세척 용기
KR200435116Y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CN106703138B (zh) 台阶式清洗水槽
KR20110011153A (ko) 싱크대 배수구의 거름장치
AU2003204241B2 (en) Sink filter
JP3164401U (ja) 水切り器具
KR200445154Y1 (ko) 싱크대 개수대
KR200374439Y1 (ko) 드라이키친용 싱크대의 오버드레인 구조
KR200495922Y1 (ko)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된 조리용팬
KR200368183Y1 (ko) 싱크대의 배수구 패킹
KR101629920B1 (ko) 배수구 거름망
KR101516794B1 (ko)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조리용기용 뚜껑
KR20070103170A (ko) 배수통 세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100011604A (ko) 기능성 싱크볼 구조
CN209712804U (zh) 水槽式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