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30Y1 -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30Y1
KR200461830Y1 KR2020110000615U KR20110000615U KR200461830Y1 KR 200461830 Y1 KR200461830 Y1 KR 200461830Y1 KR 2020110000615 U KR2020110000615 U KR 2020110000615U KR 20110000615 U KR20110000615 U KR 20110000615U KR 200461830 Y1 KR200461830 Y1 KR 200461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termin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390U (ko
Inventor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Priority to KR202011000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3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병은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에 있어 견고하고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접속 유효길이가 길게 형성하여 클립감이 향상 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점접속부과 면 접속부의 2점 삽지 접속 및 1점 융기접속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플러그 접속단자를 점접속부와 면 접속부로 이루어진 2점 삽지 접속에 의하여 접속유효길이가 최대화되어 클림감이 향상되고 융기 접속부에 의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A socket connector for board conneting}
본 발병은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점접속부과 면 접속부의 2점 삽지 접속 및 1점 융기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접속 유효길이가 길게 형성하여 클립감이 향상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커넥터는 보드와 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보드 접속용 커넥터는 일 측 보드에 실장 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타 측 보드에 실장 되는 소켓 커넥터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드 접속용 커넥터는 공개특허 2007-12254호의 인용문헌과 같이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러그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부를 감싸는 플러그접속단자로 이루어진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부가 삽입되게 요입된 두 개의 소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는 소켓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소켓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기기 보드 접속용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접속단자와 접속됨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의 소켓 접속단자가 플러그 접속단자의 양측을 탄성 삽지하여 접속 구속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소켓 접속단자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쉬게 탄성 변형되어 접속력이 저하되고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소켓 접속단자의 양측 탄성 삽지가 점 접속에 의하여 삽지하게 구성되어 있어 접속유효 길이가 짧아 접속시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클립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보드 접속용 커넥터의 소켓 커넥터가 플러그 단자와의 접속력이 약하고, 그 접속이 점 접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접속유효길이가 짧아 클립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점접속부과 면 접속부의 2점 삽지 접속 및 1점 융기접속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플러그 접속단자를 점접속부와 면 접속부로 이루어진 2점 삽지 접속에 의하여 접속유효길이가 최대화되어 클림감이 향상되고 융기 접속부에 의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에 있어 플러그 접속단자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를 실시에 있어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분리 상태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에 있어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상태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에 있어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접속단자와의 결합 및 접속이 견고하고 긴밀하며 유효접속길이를 극대화하여 클립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부가 삽입되게 요입된 두 개의 소켓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부(101)에 결합되는 소켓 접속단자(110)로 이루어진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접속단자(110)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 접속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게 단자소재를 U 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플러그 접속부(111)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실장단자(112)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에는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를 양측에서 삽지 구속하여 접속할 수 있게 실장단자(112) 측 수직벽(111a)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를 삽지 구속하며 접속될 수 있게 실장단자(112) 반대 측 수직벽(111a)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벽(111a)과 평행을 이루게 플러그 접속부(111) 측으로 절곡 형성된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와,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게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실장단자(112) 사이에 구비되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의 상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된 실장측 탄성지지편(114a)과, 상기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게 실장단자(112) 반대 측 수직벽(111a)의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된 자유단측 탄성지지곡면부(114b)와, 플러그 접속부(111)의 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접속에 따른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의 벌어짐 변형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게 변형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선단과 긴밀 접속되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에 대한 탄성 지지력이 유발되게 하는 융기 접속부(115)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측면에서 돌출된 결속턱(211)의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 구속하여 플러그 접속단자(210)와의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플러그 접속부(111)를 향하여 반구형으로 절곡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접속단자(210)와의 접속 유효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게 플러그 접속부(111)를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접속단자(110)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 접속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게 단자소재를 U 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플러그 접속부(111)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를 삽지 구속하며 접속될 수 있게 실장단자(112) 측 수직벽(111a)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를 삽지 구속하며 접속될 수 있게 실장단자(112) 반대 측 수직벽(111a)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와, 플러그 접속부(111)의 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접속에 따른 양 삽지 접속부의 벌어짐 변형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게 변형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선단과 긴밀 접속되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에 대한 탄성 지지력이 유발되게 하는 융기 접속부(115)로 구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켓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되게 되면, 플러그 접속단자(210)가 소켓 접속단자(110)의 양측 면이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 및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을 하게 되고,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는 실장측 탄성지지편(114a)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며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점 접속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는 자유단측 탄성지지곡면부(114b)에 의하여 탄성 지지력을 갖지며 수직면을 이루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면 접속하게 되어 접속 유효거리가 최대화되어 클립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합과정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 접속단자(210)가 계속하여 삽입되어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가 벌어지게 되면, 플러그 접속부(111)의 저면에 형성된 융기 접속부(115)가 융기되어 돌출되면서 삽입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선단과 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210)와 접합 융기 접속부(115)는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의 벌어짐 탄성 변형에 따른 융기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에 대하여 탄성 지지력을 유발시켜 플러그 접속단자(210)와의 삽지 및 접속력이 증가되게 되고, 플러그 접속단자(210)와 소켓 접속단자(110)가 3점 접속에 의하여 견고한 결속과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00 : 소켓 커넥터 101 : 소켓부
110 : 소켓 접속단자
111 : 플러그 접속부 111a: 수직벽
112 : 실장단자
113a: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 113b: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
114a: 실장측 탄성지지편 114b: 자유단측 탄성지지곡면부
115 : 융기 접속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10 : 플러그 접속단자
211 : 결속턱 212 : 결속홈

Claims (1)

  1.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부가 삽입되게 요입된 두 개의 소켓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부(101)에 결합되는 소켓 접속단자(110)로 이루어진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접속단자(110)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플러그 접속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게 단자소재를 U 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플러그 접속부(111)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실장단자(112)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에는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를 양측에서 삽지 구속하며 접속할 수 있게 실장단자(112) 측 수직벽(111a)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11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를 삽지 구속하며 접속될 수 있게 실장단자(112) 반대 측 수직벽(111a)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벽(111a)과 평행을 이루게 플러그 접속부(111) 측으로 절곡 형성된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와,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게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실장단자(112) 사이에 구비되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의 상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된 실장측 탄성지지편(114a) 및 상기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게 실장단자(112) 반대 측 수직벽(111a)의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된 자유단측 탄성지지곡면부(114b)와,
    플러그 접속부(111)의 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접속에 따른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의 벌어짐 변형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게 변형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선단과 긴밀 접속되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와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에 대한 탄성 지지력이 유발되게 하는 융기 접속부(115)로 구성하며,
    상기 실장측 삽지 점접속부(113a)는 플러그 접속단자(210)의 측면에서 돌출된 결속턱(211)의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 구속하여 플러그 접속단자(210)와의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플러그 접속부(111)를 향하여 반구형으로 절곡 형성하고,
    상기 자유단측 삽지 면접속부(113b)는 플러그 접속단자(210)와의 접속 유효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게 플러그 접속부(111)를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KR2020110000615U 2011-01-21 2011-01-21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KR200461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15U KR200461830Y1 (ko) 2011-01-21 2011-01-21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15U KR200461830Y1 (ko) 2011-01-21 2011-01-21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90U KR20110001390U (ko) 2011-02-09
KR200461830Y1 true KR200461830Y1 (ko) 2012-08-07

Family

ID=4420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15U KR200461830Y1 (ko) 2011-01-21 2011-01-21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739B1 (ko) * 2015-07-01 2020-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의 홀드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411Y1 (ko) * 2010-10-29 2010-12-13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411Y1 (ko) * 2010-10-29 2010-12-13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90U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774B1 (ko) 도체 연결 접촉 요소
JP3144085U (ja) コネクタ
WO2009008185A1 (ja) 留め具
TW200638275A (en) Memory card adapter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JP2011119109A (ja) 端子金具
JP201202829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1890363A3 (en) A female terminal fitting
TW200742180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CN104425919A (zh) 连接器
KR200461830Y1 (ko)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KR200451411Y1 (ko)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소켓 커넥터
JP2008027713A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
JP2011129271A (ja) 端子金具
CN201044286Y (zh) 一种用于开关插座的插套
JP4082702B2 (ja) コネクタ
JP201214641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203026686U (zh) 弹片
KR101182660B1 (ko) 암단자
EP1901400A3 (en) A wire cover and a locking construction therefor
JP2009218174A (ja) レセプタクル
JP2015115213A (ja) ケーブル嵌合コネクタ
KR200471051Y1 (ko) 무선단말기용 심카드 소켓
KR10200571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기의 전원플러그 전기 접속용 보드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