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569Y1 - 판재 구조의 cfrp 빔 - Google Patents

판재 구조의 cfrp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69Y1
KR200461569Y1 KR2020090015276U KR20090015276U KR200461569Y1 KR 200461569 Y1 KR200461569 Y1 KR 200461569Y1 KR 2020090015276 U KR2020090015276 U KR 2020090015276U KR 20090015276 U KR20090015276 U KR 20090015276U KR 200461569 Y1 KR200461569 Y1 KR 200461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frp
plate
bending
plate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19U (ko
Inventor
이진홍
Original Assignee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69Y1/ko
Priority to PCT/EP2010/065497 priority patent/WO2011064047A1/en
Priority to CN201080043103.6A priority patent/CN102596607B/zh
Priority to TW099135275A priority patent/TWI506188B/zh
Priority to JP2012540339A priority patent/JP5670468B2/ja
Publication of KR20110005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5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preformed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elements being joined together, e.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04 - E04C3/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 구조의 탄소 섬유 강화 수지(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이하, "CFRP" 라고 약칭한다)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자재, 구축물, 자동차, 선박 등에 사용되는 구조 재료인 판재 구조의 CFRP 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CFRP 판재와; 상기 CFRP 판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휨 방지 부재와; 상기 휨 방지 부재가 장착되는 알루미늄 판재 및;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판재 조립형 구조로 제작 기간이 단축되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CFRP 판재로서 제작이 수월하며, 형틀 제작이 손쉽고 형틀 제작시 일반적인 소재도 사용가능하며, 길이 방향 사이즈 외에도 넓이 방향 사이즈도 변경이 자유로우며, 형틀을 보강함으로써 외부 부하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며, CFRP 판재의 가공면의 최소화로 가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CFRP, 판재 구조, 휨 방지 부재, 지지 블럭, 형틀

Description

판재 구조의 CFRP 빔{CFRP BEAM OF PLATE STRUCTURE}
본 고안은 판재 구조의 탄소 섬유 강화 수지(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이하, "CFRP" 라고 약칭한다)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자재, 구축물, 자동차, 선박 등에 사용되는 구조 재료인 판재 구조의 CFRP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물 및 자동차, 선박 등의 구조재로서 CFRP 빔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CFRP 빔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여기서, CFRP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 섬유 강화 수지로, 여러가지 탄소 섬유와 여러가지 열경화 수지의 복합재료이다.
이러한 CFR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높은 비강도를 가져, 가볍고 강하다. 탄소 섬유는 섬유 방향에 대해, 고 장력 강철과 동일한 정도의 인장도를 가졌으며, 티타늄보다 높은 탄성률을 가지고 있으며, 비중은 알루미늄의 60%로 초 경량체이다.
둘째, 열 수축 및 열 팽창이 거의 없고, 치수 정밀도가 지극히 높다. CFRP는 섬유 방향의 열 팽창 계수가 거의 0과 동일하고, 고온에서는 소폭 수축한다. 따라서 적층방식에 의해 적층되면, 열 팽창 계수 0의 CFRP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진동 흡수성이 좋고, 제진 효가가 높다. CFRP는 수지와 섬유의 상호작용에 의해 금속에 비해 진동 흡수가 크고, 감쇠율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CFRP가 구조재로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10)은 CFRP 판재(11)와, 사각 내부 형틀(12) 및 형틀 지지부재(13)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은 사이즈를 변경하려면, 내부 형틀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기에, 사이즈 변경이 어려우며, 제작 기간도 장기간이 소요되며,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은 가중되는 외부 부하 조건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0G 이상의 프로젝트의 크로스 축에 적용되는 고정밀도 및 고강도의 판재 구조의 CFRP 빔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CFRP 판재와; 상기 CFRP 판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휨 방지 부재와; 상기 휨 방지 부재가 장착되는 알루미늄 판재 및; 상기 알루미늄 판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휨 방지 부재는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휨 방지 부재는 넓이(폭)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휨 방지 부재는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함으로써, 외부 압력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판재 조립형 구조로 제작 기간이 단축되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 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CFRP 판재로서 제작이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형틀 제작이 손쉬우며, 형틀 제작시 일반적인 소재도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길이 방향 사이즈 외에도 넓이 방향 사이즈도 변경이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형틀을 보강함으로써, 외부 부하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CFRP 판재의 가공면의 최소화로 가공비용이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온도별 변화량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20)은 CFRP 판재(11)와, 상기 CFRP 판재(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휨 방지 부재(21)와, 상기 휨 방지 부재(21)가 장착되는 알루미늄 판재(22) 및, 상기 알루미늄 판재(22)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블럭(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휨 방지 부재(21)는 상기 알루미늄 판재(22)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CFRP 판재(11)에 가해지는 외부 힘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가 이하 표 1에 도시되었다.
(표 1)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화량
Figure 112009072501020-utm00001
(상기 표 1을 측정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초기 온도는 22℃이며, 20℃ ~ 100℃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량(20℃ 단위)을 X, Y, Z 방향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구로는 하이트게이지 및 버니어캘리퍼스를 사용함)
표 1을 참조하면, 측정된 결과와 같이 온도 차에 의한 변화가 발생되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오차량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알루미늄은 평균 10℃ 당 0.02㎜의 증가량을 보였으며, CFRP는 알루미늄 대비 1/3 정도의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 측정온도로 설정 시, 변형량은 초기 측정온도에서 측정된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도 5는 이러한 알루미늄 대 CFRP의 온도별 변화량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20)은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10)에 비해 좌측면과 우측면만이 CFRP 판재(11)로 되어 있기에,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10)에 비해, 그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작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20)은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10)과 동일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며, 내부 형틀이 필요치 않기에,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10)에서는 불가능한 넓이(폭) 방향으로의 연장이 가능하다.
즉, 알루미늄 판재(22) 상에 장착된 상기 휨 방지 부재(21)의 길이만 연장하면, 판재 구조의 CFRP 빔(20)은 원하는 만큼 넓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히 알루미늄 판재(22) 상에 장착된 상기 휨 방지 부재(21)의 개수를 증가함으로써, 외부 압력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다.
여기서, CFRP 판재(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휨 방지 부재(21), 알루미늄 판재 및, 지지블럭(31)들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강철 소재, 고 강력 강철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내부 형틀이 불필요하며, 외부 고온, 고압용 형틀 제작이 간단하며, 제작 기간이 단축되고 무게가 절감되며, 길이 및 넓이 방향의 사이즈 변경 및 가공성이 손쉬우며, 대량의 적층식 운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종래의 사각 파이프 형태의 CFRP 빔에 비해 경량 구조이나, 강성을 더 우수하다.
또한, 기존 압출에서의 길이 제한요소를 해소함으로써, 향후 10 세대 이상의 반도체 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판재 구조의 설계로서, 다양한 시스템 설계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금형이 필요 없는 판재 구조는 점점 단납기화 되어가는 시장 상황에 대응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은 2500mm 이상의 Stoke을 요구하는 시스템, 고속 및 높은 가속 조건을 가진 시스템, 작은 공간에서의 높은 정도를 요구 하는 시스템 및, 높은 페이 로드(Pay load) 조건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CFRP제 구조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 구조의 CFRP 빔의 온도별 변화량 그래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CFRP 빔 11: CFRP 판재
12: 내부 형틀 13: 형틀 지지부재
21: 휨 방지 부재 22: 알루미늄 판재

Claims (4)

  1.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CFRP 판재;
    상기 2개의 CFRP 판재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2개의 CRRP 판재의 가장자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휨 방지 부재;
    상기 2개의 CFRP 판재의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2개의 CRRP 판재의 중앙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알루미늄 판재; 및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기 2개의 CFRP 사이에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2개의 지지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구조의 CFRP 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휨 방지 부재는,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구조의 CFRP 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휨 방지 부재 각각의 길이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구조의 CFRP 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휨 방지 부재들 사이의 간격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구조의 CFRP 빔.
KR2020090015276U 2009-11-25 2009-11-25 판재 구조의 cfrp 빔 KR200461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276U KR200461569Y1 (ko) 2009-11-25 2009-11-25 판재 구조의 cfrp 빔
PCT/EP2010/065497 WO2011064047A1 (en) 2009-11-25 2010-10-15 Cfrp beam of plate structure
CN201080043103.6A CN102596607B (zh) 2009-11-25 2010-10-15 板结构的碳纤维增强塑料梁
TW099135275A TWI506188B (zh) 2009-11-25 2010-10-15 平板構造物的碳纖維強化塑膠樑
JP2012540339A JP5670468B2 (ja) 2009-11-25 2010-10-15 プレート構造のcfrp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276U KR200461569Y1 (ko) 2009-11-25 2009-11-25 판재 구조의 cfrp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19U KR20110005419U (ko) 2011-06-01
KR200461569Y1 true KR200461569Y1 (ko) 2012-07-20

Family

ID=4346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276U KR200461569Y1 (ko) 2009-11-25 2009-11-25 판재 구조의 cfrp 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70468B2 (ko)
KR (1) KR200461569Y1 (ko)
CN (1) CN102596607B (ko)
TW (1) TWI506188B (ko)
WO (1) WO20110640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146A (zh) * 2015-10-16 2015-12-30 沈阳建筑大学 一种内置cfrp圆管的钢骨混凝土异形柱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553B (zh) * 2013-11-26 2015-10-28 湖南大学 一种基于内嵌碳纤维的方锥形铝合金汽车前纵梁
KR101738039B1 (ko) * 2015-10-23 2017-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프런트필러 구조
CN113460267B (zh) * 2021-07-21 2022-07-1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邮轮结构梁的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6303A (en) 1999-02-18 1999-12-07 Mitek Holdings, Inc. Truss with alternating metal web
JP2002002879A (ja) 2000-06-19 2002-01-09 Sekisui Chem Co Ltd 梁構造覆蓋の改造方法および改造構造
KR100699394B1 (ko) 1999-03-19 2007-03-27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rp 지붕재, 그의 제조 방법,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467B1 (en) * 1996-05-10 2002-01-29 Henkel Corporation Internal reinforcement for hollow structural elements
US20030072905A1 (en) * 2001-10-15 2003-04-17 Ube Industries, Ltd. Reinforced structure of metallic member
DE10153025B4 (de) * 2001-10-26 2007-09-20 Daimlerchrysler Ag Aufprallträger einer Fahrzeugkarosserie
DE10251762A1 (de) * 2002-11-05 2004-05-19 Behr Gmbh & Co. Grundträger für eine Fahrzeugstruktu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rundträgers
EP1581461A1 (en) * 2002-11-13 2005-10-05 The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d Polymer concrete
WO2006091794A1 (en) * 2005-02-25 2006-08-3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onded hybrid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6303A (en) 1999-02-18 1999-12-07 Mitek Holdings, Inc. Truss with alternating metal web
KR100699394B1 (ko) 1999-03-19 2007-03-27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rp 지붕재, 그의 제조 방법, 접합 구조 및 접합 방법
JP2002002879A (ja) 2000-06-19 2002-01-09 Sekisui Chem Co Ltd 梁構造覆蓋の改造方法および改造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146A (zh) * 2015-10-16 2015-12-30 沈阳建筑大学 一种内置cfrp圆管的钢骨混凝土异形柱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19U (ko) 2011-06-01
JP5670468B2 (ja) 2015-02-18
WO2011064047A1 (en) 2011-06-03
TW201131053A (en) 2011-09-16
JP2013512357A (ja) 2013-04-11
TWI506188B (zh) 2015-11-01
CN102596607B (zh) 2015-05-27
CN102596607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569Y1 (ko) 판재 구조의 cfrp 빔
RU2502853C2 (ru) Система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сборной панели с терморазрывом
US20160010330A1 (en) Insulated structural panel connector
Barris et al. Design of FRP reinforced concrete beams for serviceability requirements
US8793965B2 (en) Construction elements for buildings
KR20170005392A (ko) 개선된 강도를 가지는 모놀리스형 보를 사용하는 구조적 시스템 및 방법
RU2542294C2 (ru) Длинномерный сил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типа строительной балки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WO2014142205A1 (ja) ロール成形角形鋼管
KR20070006613A (ko) 크레인 신축자재부의 상위현
KR20120058000A (ko) S자형 슬릿이 형성된 강재 댐퍼
US20170022729A1 (en) Composite disc axial dampener for buildings and structures
JP5786352B2 (ja) 繊維強化樹脂板材の製造方法
JP5958569B2 (ja) 繊維強化樹脂板材の製造方法
JP6872891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JP2018172927A (ja) 柱構造体
JP2019113211A (ja) 炭素/炭素複合材料製の円筒炉用マッフル構造
JP4650317B2 (ja) 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耐力壁パネル、建築構造物
KR102079564B1 (ko) 적층형 격자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EP4060140A1 (en) Core material and structure
Wstawska The influence of geometric imperfections on the stability of three-layer beams with foam core
WO2023176571A1 (ja) 物体
JP2006258132A (ja) ゴム支承
JP2011020397A (ja) 箱型成形品
KR20190113304A (ko) 공학 목재 콘크리트 합성 구조물용 전단 연결재
IKAWA et 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space structure using CLT folded plat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