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230Y1 -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230Y1
KR200461230Y1 KR2020110011254U KR20110011254U KR200461230Y1 KR 200461230 Y1 KR200461230 Y1 KR 200461230Y1 KR 2020110011254 U KR2020110011254 U KR 2020110011254U KR 20110011254 U KR20110011254 U KR 20110011254U KR 200461230 Y1 KR200461230 Y1 KR 200461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 support
vehicle
plate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홍
Original Assignee
손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홍 filed Critical 손기홍
Priority to KR2020110011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운송수단의 머리지지장치(1000)는 외피(10)와 상기 외피(10)의 내부에 충진된 스펀지 또는 솜과 같은 쿠션부재를 가지는 머리지지부재(100)를 가진다.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에서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180)의 반대면에는 흡착판(280)(28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Head-supporting device used in transportation means}
본 고안은 버스, 기차, 지하철, 승용차 또는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서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머리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 기차, 지하철, 승용차 또는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서 잠을 잘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세는 편안하지는 못하며, 특히, 머리를 기댈 곳이 마땅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는 운송수단에서 머리를 기댈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들 버스, 승용차, 기차, 지하철,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은 운송 중 진동이 발생하는데, 머리를 기대고 있을 때 이러한 진동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어야 한다.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하는 수단으로는 베개가 있는데 베개를 들고 다니면서 버스 등의 운송수단에서 사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만일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베개를 버스 등의 창에 놓고 머리를 베개에 대고 창측으로 밀어 베개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할 것인데 이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 될 것이고 도리어 휴식을 방해하는 꼴밖에는 안된다.
따라서 휴대하고 다니면서 운송수단에 적절하게 장착하여 머리를 기댈 수 있는 운송수단의 머리지지장치가 필요하며 특별히 이러한 머리지지장치는 효과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버스, 지하철, 기차, 승용차,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 적절하게 장착하여 머리를 기댈 수 있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송수단의 운송 중 발생하는 진동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머리가 지지되는 머리지지부재와; 상기 머리지지부재에서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의 반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송수단의 내부면에 흡착되어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는 흡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는 휴대하고 다니다가 상기 운송수단을 타게 되면 상기 흡착판을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면에 흡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머리지지부재에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흡착판은 상기 운송수단의 창문에 흡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머리지지부재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쿠션부재는 스펀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흡착판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판부재는 상기 외피의 내부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머리지지부재는 인형의 형태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운송수단을 타고 이동시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를 제공하며, 특별히, 운송수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외피를 인형의 형태로 함으로써 어린아이의 정서적 안정감을 꾀하고 포근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판 설치판을 보이는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3a의 머리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1000)를 보인다.
상기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1000)는 우선 머리가 지지되는 머리지지부재(100)를 가진다.
상기 머리지지부재(100)는, 도 4에서 잘 보이는 것과 같이, 외피(10)를 가지며 상기 외피(10)의 내부에 쿠션부재(70)가 충진 된 것이다.
상기 외피(10)는 여러 가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천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외피(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쿠션부재(70)는 머리가 지지되었을 때 쿠션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솜이나 스펀지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솜은 천연솜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솜과 같은 인조솜을 포함한다.
이들 솜이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부재는 머리가 지지되었을 때 머리에 쿠션을 주는 것에 더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외피(10)와 그 내부에 충진되는 쿠션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머리지지부재(100)는 그 형상이 전체적으로 머리가 안착되기 좋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은데, 도면을 참고로,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의 일면은 머리가 안착되도록 곡선면을 가지는 머리안착부(18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에서 상기 머리안착부(180)의 반대면에는 흡착판(280)(28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머리지지장치(1000)를 버스, 기차, 지하철, 승용차 등의 운송수단에서 창문 등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흡착판(280)(280)을 운송수단의 창문에 부착하고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의 머리안착부(180)에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 설치판(200)을 보인다.
상기 흡착판 설치판(200)은 흡착판(280)(280)을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에 설치하고 또한 운송수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흡착판 설치판(200)은 우선 판부재(240)를 가지며 상기 판부재(240)에 흡착판(280)(28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판부재(240)와 흡착판(280)(280)은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
상기 흡착판(280)은 상기 판부재(24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48)와 연속되어 형성되고 있다. (도 4 참조)
상기 판부재(240)에는 관통구멍(20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머리지지부재(100)에 머리가 지지되었을 때 그 압력으로 상기 외피(10)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흡착판 설치판(200)은 pvc, 실리콘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를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며, 상기 머리지지장치(1000)가 흡착판(280)(280)을 통하여 운송수단의 창문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머리를 기대었을 때 운송수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판 설치판(200)은 상기 머리지지장치(1000)가 전체적으로 강성을 가지도록 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100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단면도인데, 이들을 참고로, 상기 흡착판(280)(280)을 가지는 흡착판 설치판(200)은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의 외피(10)의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280)(28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10)는 직물과 같은 천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면이 선(6)을 따라 벌어져 이를 통하여 쿠션부재(70)를 충진하고 그 바닥에 상기 흡착판설치부재(200)가 흡착판(280)(280)이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선(6)을 봉제한다.
한편 다른 경우 도 3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외피(10)의 바닥면에 개방부(198)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10)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부(198)를 덮도록 상기 흡착판 설치판(200)을 외피(10)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상기 개방부(198)를 통하여 흡착판(280)(280)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흡착판 설치판(200)의 판부재(240)와 상기 개방부(198) 주변의 외피(10)의 바닥면을 상호간에 봉제한다. 이에 따라 봉제선(6)이 형성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1000)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머리지지장치(1000)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버스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타는 경우, 창문(W)에 상기 흡착판(280)(280)을 흡착하여 설치하고 머리지지부재(100)에 머리를 기대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흡착판(280)이 설치되는 흡착판 설치판(20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서 흡착판(280)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이후 상기 머리지지부재(100)의 외피(10)의 내부에 충진된 스펀지 또는 솜 등과 같은 쿠션부재(70)가 진동을 흡수하게 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2000)를 보이는데, 이 경우 외피(10')는 인형의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에 스펀지 또는 솜과 같은 쿠션부재(70')가 충진되고 인형의 외피(10')의 뒷면 측 바닥면에 흡착판 설치판(200)이 설치되고 흡착판(280)(28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외피(10')를 곰인형 등과 같은 인형의 형태를 하는 경우, 어린아이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인형에 머리를 기대었을 때 포근함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운송수단을 타고 운송시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를 제공하며, 특별히, 운송수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피를 인형의 형태로 함으로써 어린아이의 정서적 안정감을 꾀하고 포근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 머리지지부재
10, 10': 외피
70, 70': 쿠션부재
200: 흡착판 설치판
280: 흡착판
240: 판부재

Claims (6)

  1. (a) 머리가 지지되는 머리지지부재와;
    (b) 상기 머리지지부재에서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의 반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송수단의 내부면에 흡착되어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는 흡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머리지지부재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판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판부재는 상기 외피의 내부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은 외부로 노출되어,
    (c) 사용자는 휴대하고 다니다가 상기 운송수단을 타게 되면 상기 흡착판을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면에 흡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머리지지부재에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면은 상기 운송수단의 창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스펀지 또는 솜을 재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재는 인형의 형태를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KR2020110011254U 2011-12-19 2011-12-19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KR200461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54U KR200461230Y1 (ko) 2011-12-19 2011-12-19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54U KR200461230Y1 (ko) 2011-12-19 2011-12-19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230Y1 true KR200461230Y1 (ko) 2012-06-28

Family

ID=4687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254U KR200461230Y1 (ko) 2011-12-19 2011-12-19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79A (ko) * 2015-04-09 2016-10-19 윤다진 창가 좌석용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896Y1 (ko) * 2002-07-19 2002-11-04 이훈영 휴대용 헤드 레스트
KR20100048358A (ko) * 2008-10-31 2010-05-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착탈되고 지압돌기부를 갖는 보조안착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896Y1 (ko) * 2002-07-19 2002-11-04 이훈영 휴대용 헤드 레스트
KR20100048358A (ko) * 2008-10-31 2010-05-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착탈되고 지압돌기부를 갖는 보조안착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79A (ko) * 2015-04-09 2016-10-19 윤다진 창가 좌석용 베개
KR101697136B1 (ko) * 2015-04-09 2017-01-17 윤다진 창가 좌석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82B1 (en) Headrest for head and neck
US4440443A (en) Headrest
CN105398359B (zh) 用于儿童安全座椅的侧面撞击保护件
JP2007050133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5361321B2 (ja) 車両用シート
RU2683897C2 (ru)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иденье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дорожной подушки в мотор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JP2014237339A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
US20120222219A1 (en) Rest-supporting device
KR200461230Y1 (ko)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머리지지장치
JP5834314B2 (ja) 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CN208615775U (zh) 一种汽车座椅海绵
KR20110077053A (ko) 헤어밴드가 달린 여행용 베개
US20090222990A1 (en) Neck roll for baby seats
KR20150067644A (ko) 자동차 헤드 레스트용 베개
KR102183715B1 (ko) 헤드레스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쿠션
CN208682674U (zh) 可拆卸的枕垫组件
TW202229055A (zh) 汽車椅套
US20180111522A1 (en) Window pillow
JP3146000U (ja) 乗物用枕、及び、これを備えた乗物用の座席シート
KR102537184B1 (ko) 휴대형 좌석용 목 베개
CN209191736U (zh) 一种适用于婴儿的汽车儿童安全座椅
JP4884700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9104459A (ja) シートパッド、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制御方法
JP3227413U (ja) ネックパッド用バッグ
CN208993539U (zh) 一种带披肩的汽车坐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