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89Y1 -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89Y1
KR200461089Y1 KR2020080009248U KR20080009248U KR200461089Y1 KR 200461089 Y1 KR200461089 Y1 KR 200461089Y1 KR 2020080009248 U KR2020080009248 U KR 2020080009248U KR 20080009248 U KR20080009248 U KR 20080009248U KR 200461089 Y1 KR200461089 Y1 KR 200461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switch
switch unit
switch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642U (ko
Inventor
박건호
신상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8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2Means for earthing parts of switch not norm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 H01H2221/03Stoppers for on or off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 스위치부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의 내측면과 이격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 블록;을 구비하는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CONNETOR TYPE SWITCHING DEVICE}
본 고안은 스위치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체결시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커넥터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 부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의 커넥터부의 경우 케이스로부터 직접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터미널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였다. 따라서, 와이어 하니스 등의 커넥터 체결 공정시 가해지는 작업자의 외력 내지는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하여 커넥터의 원치 않는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커넥터에 가해지는 외력 내지 충격에 의하여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 구조를 갖는 커넥터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 스위치부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의 내측면과 이격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 블록;을 구비하는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에 장착되되 일단이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접촉을 이루는 커넥터 탄성 리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 스위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와,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여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외주로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위치 노브 바디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는, 종래의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와는 달리 하우징 커넥터부가 커넥터 바디와 간극을 유지하며 이격 상태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조립 시 발생 가능한 과도한 체결 조작에 의한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접속 불량 내지 커넥터 블록의 손상을 방지하여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는, 종래의 로터리 스위치 유니 트와는 달리 하우징 커넥터부가 커넥터 바디와 간극을 유지하며 이격 상태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접속 불량 내지 커넥터 블록의 손상을 방지하여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는 회동 가능한 스위치부를 구비하되 과도한 스위치의 회동을 인한 구성요소의 손상 내지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방지 내지 현저하게 감소시킬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300)과, 스위치부(400)와, 커넥터 블록(200)을 포함하는데, 인쇄회로기판(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부(400)와 커넥터 블록(200)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넥터부(120)와 하우징 스위치부(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커넥터부(120)와 하우징 스위치부(130)는 하우징 바디(11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 바디(110)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지 만, 이는 일예일뿐 하우징 커넥터부(120)와 하우징 스위치부(130)가 하우징 바디(110)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하우징 커넥터부와 하우징 스위치부가 서로 대치되는 배향 구조를 벗어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우징 바디(11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의 측면에는 하우징 장착부(113)가 구비되고 하우징 장착부(113)는 차량의 대시 보드 패널(미도시)에 장착되어 외부로 원치 않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는 사각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 바디(110)로서 하우징 바디(110)는 외부와 소통을 이루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형상을 취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단에는 하우징 커넥터부(120)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커넥터부(120)는 대응 커넥터 삽입구(121)가 배치되는데, 대응 커넥터 삽입구(121)는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우징 커넥터부(120)는 대응 커넥터 삽입구(121)를 통하여 하우징 바디(110)와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넥터부(120)는 하우징 바디(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커넥터부는 서로 체결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커넥터부(120)의 일측에는 하우징 커넥터 홈(123)이 구비되는데, 이는 하기되는 커넥터 블록(200)과 대응되는 대응 커넥터(미도시)와의 삽입 체결시 양자의 체결을 공고히 하기 위한 체결 수단의 맞물림을 허용 내지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우징 스위치부(130)는 하우징 바디(110)의 타측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스 위치부(130)는 스위치부(4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구현된다. 하우징 스위치부(130)는 하우징 바디(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하우징 바디(110)의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하우징 스위치부(130)는 하우징 바디(110)의 타단에 하우징 커넥터부(120)와 마주하며 배치된다. 하우징 스위치부(130)에는 하우징 스위치부 장착부(131)가 구비되는데, 하우징 스위치부 장착부(131)는 관통구 내지 요홈 타입으로 구비되어 스위치부(400)의 스위치 노브(41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300)은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300)에는 각종 전기 소자와 회로배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에는 하기되는 스위치부(400의 스위치 디바이스(420)와 커넥터 블록(200)이 장착되는데, 이들은 하우징 바디(110)의 양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 가능하다.
커넥터 블록(200)은 커넥터 바디(210)와 커넥터 터미널(220)과 커넥터 접속부(230)를 포함하는데, 커넥터 바디(210)는 하우징 커넥터부(130)에 위치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커넥터 바디(210)는 내측에 대응 커넥터 장착구(211)를 구비하는데, 대응 커넥터 장착구(211)에는 대응되는 대응 커넥터(미도시)의 삽입 장착이 허용된다. 커넥터 바디(210)는 외측면 내지 내측면에 대응 커넥터 체결부(213)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대응 커넥터 체결부에 대응하는 체결부는 통상적인 커넥터 체결 구조에 구비되는 것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커넥터 바디(210)의 외측면에는 커넥터 바디 장착홈(215)이 구비되는데, 이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넥터부(130) 사이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 돌출부(미도시)와 맞물림으로써 커넥터 바디 장착홈(215)을 구비하는 커넥터 블록(200)은 하우징(10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0)으로부터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이 방지된다.
커넥터 바디(210)의 일단에는 커넥터 접속부(23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커넥터 터미널(220)이 배치되는데, 커넥터 접속부(230)와 커넥터 터미널(220)을 커넥터 바디(210)를 관통하여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커넥터 접속부(23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을 통하여 스위치부(4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스위치부(400)의 스위치 디바이스(420)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커넥터 접속부(230)를 통하여 커넥터 터미널(220)로 전달된다. 커넥터 터미널(220)은 대응 커넥터(미도시)의 접속 터미널(미도시)과 접속되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블록과 하우징 커넥터부는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도 4의 A 위치에서의 변형예로서, 하우징 커넥터부(120)에 장착되는 커넥터 탄성 리브(5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하우징 커넥터부(120)에는 커넥터 탄성 리브 관통구(125)가 형성되는데, 커넥터 탄성 리브 관통구(125)는 하우징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커넥터 탄성 리브 관통구(125)에는 커넥터 탄성 리브(500)가 배치되는데, 커넥터 탄성 리브(500)는 커넥터 탄성 리브 바디(520)와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를 포함한다. 커넥터 탄성 리브 바디(520)와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데,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는 커넥터 탄성 리브 바디(520)의 양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쌍을 이루며 커넥터 탄성 리브 바디(520)의 양단에 배치되는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한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로 상이한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는 커넥터 탄성 리브 바디(520)보다 큰 최대 단면적(커넥터 탄성 리브 바디의 길이 방향 최대 단면적)을 갖는데, 이를 통하여 컨게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가 하우징 커넥터부(120)와의 접촉에 의하여 저지됨으로써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가 가압되되더라도 커넥터 탄성 리브(500)가 원치 않게 하우징 커넥터부(12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에 의하여 커넥터 바디(210)는 하우징 커넥터부(130)의 외측면과 간극 d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1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하우징(100)에 가해진 충격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 탄성 리브(500)에 의하여 상당 부분 흡수되거나 감쇠된 형태로 커넥터 바디(210)로 전달됨으로써 커넥터 블록(200)을 통한 대응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가 해제되거나 이들의 변형으로 인한 접속 불량 상태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에 의하여 대응 커넥터(미도시)의 과도한 인입으로 커넥터 바디(210)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경우, 커넥터 탄성 리브 스톱퍼(510)는 변형되어 도면 부호 "B"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이루어 커넥터 바디(210)에 가해지는 과도한 외력을 흡수하여 커넥터 바 디(210)의 위치 변형, 궁극적으로 커넥터 접속부(230) 및 커넥터 터미널(220)의 변형 내지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노브(410)와 스위치 디바이스(42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노브(410)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와 스위치 노브 바디(411)를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는 하우징 스위치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의 양단은, 하우징 바디(110)로부터 연장 형성된 하우징 스위치부(130)의 하우징 스위치부 장착부(13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의 외주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411)가 구비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411)는 외주면에 노브 바디 그루브(412)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시 발생 가능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 노브 바디(411)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 바디(411)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을 이룬다.
스위치 디바이스(420)는 가변 저항(VR, 포텐셔미터)로 구현되는데, 스위치 디바이스(420)는 디바이스 바디(421)와 디바이스 바디 대응부(423)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바디(421)의 하단에는 디바이스 바디 터미널(425)가 구비되는데, 디바이스 바디 터미널(425)은 인쇄회로기판(300)에 형성된 기판 디바이스 터미널 장착부(301)에 삽입 고정되고 디바이스 바디 터미널(425)의 단부는 인쇄회로기판(300)을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바디 대응부(423)에 맞물리어 결합된다. 디바이스 바디(421)와 디바이스 바디 대응부(423)는 인쇄회로기판(300)을 사이에 두고 양자가 서로 대응하여 배치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00) 상에 고정 장착된다. 스위치 디바이스 바디(421)의 상단에는 디바이스 돌기(427)가 구비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411)의 하면으로 디바이스 돌기(427)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바이스 돌기(427)와 맞물리는 구조가 구비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410)가 사용자에 의하여 회동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410)의 회동력은 디바이스 돌기(427)를 통하여 전달되고 디바이스 돌기(427)의 회동에 의하여 스위치 디바이스(420)에 상태 변화로 인한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인쇄회로기판 상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변화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작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는 스위치 노브의 안정적인 회동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의 외주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연장부(414)가 구비되는데, 가이드 연장부(414)는 하우징 스위치부(13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연장부 대응부(133)에 가동 가능하게 맞닿아 스위치 노브(410)의 안정적인 회동을 확고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부는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노브의 과도한 조작으로 스위치부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는 스위치 노브 바디 스톱퍼(415)를 더 구비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 스톱퍼(415)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413)의 외주로 스위치 노브 바디(411)의 일단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바디 스톱퍼(415)는 스위치 노브 샤프 트(413)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호상(弧狀)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 스톱퍼(415)의 호를 이루는 외주에 대한 사이각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410)의 회동량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디바이스(420)의 과도한 회동으로 발생 가능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의 일부 변형예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커넥터 블록 210...커넥터 바디
220...커넥터 터미널 230...커넥터 접속부
300...인쇄회로기판 400...스위치부

Claims (4)

  1.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 스위치부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의 내측면과 이격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 블록;을 구비하는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넥터부에 장착되되 일단이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접촉을 이루는 커넥터 탄성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 스위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 샤프트와,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와 함께 회동하여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샤프트의 외주로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일단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위치 노브 바디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KR2020080009248U 2008-07-11 2008-07-11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KR200461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48U KR200461089Y1 (ko) 2008-07-11 2008-07-11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48U KR200461089Y1 (ko) 2008-07-11 2008-07-11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42U KR20100000642U (ko) 2010-01-22
KR200461089Y1 true KR200461089Y1 (ko) 2012-06-21

Family

ID=4419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248U KR200461089Y1 (ko) 2008-07-11 2008-07-11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8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49Y1 (ko) * 2003-12-15 2004-03-12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스위치장치
KR20060098275A (ko) * 2005-03-11 2006-09-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혼 스위치
KR20080002373U (ko) * 2006-12-29 2008-07-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49Y1 (ko) * 2003-12-15 2004-03-12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스위치장치
KR20060098275A (ko) * 2005-03-11 2006-09-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혼 스위치
KR20080002373U (ko) * 2006-12-29 2008-07-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42U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2445A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스위치
US8616081B2 (en) Shift lever device
KR200461089Y1 (ko) 커넥터 스위치 유니트
JP5664847B2 (ja) 電気接続箱
KR200448349Y1 (ko) 접촉 시소 스위치 장치
EP3421325B1 (en) Steering column structure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101094036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CN217562906U (zh) 汽车线束连接器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CN220672885U (zh) 连接器组件
KR200444474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중립 핀
KR200460896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463021Y1 (ko) 차량용 퓨즈 박스 유니트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JP4115251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100878090B1 (ko) 회전식 스위치조립체
KR200460089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460894Y1 (ko) 차량용 스위치 모듈
KR200442787Y1 (ko) 스위치 유니트
KR100862003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0461441Y1 (ko) 비접촉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