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896Y1 -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896Y1
KR200460896Y1 KR2020100010006U KR20100010006U KR200460896Y1 KR 200460896 Y1 KR200460896 Y1 KR 200460896Y1 KR 2020100010006 U KR2020100010006 U KR 2020100010006U KR 20100010006 U KR20100010006 U KR 20100010006U KR 200460896 Y1 KR200460896 Y1 KR 200460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witch
hook body
housing
switch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91U (ko
Inventor
전성호
정가훈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9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8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후크부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후크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유니트{SWITCHING DEVICE UNIT}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감을 증대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상단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각종 스위치 장치와 더불어 스티어링 휠의 하단에는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SRC(Steering Roll Connector)/슬립 링(Slip Ring)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SRC와 슬립 링은 구조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스티어링 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스위치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의 컴팩트화가 요구됨과 동시에 조작감 등의 향상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의 경우 차량의 미세 진동으로 인한 인접 구성요소와의 접촉 단속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여 주행자의 승차감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컴팩트화된 스위치를 조작함에 있어 조그마한 위치 오차가 누적되는 경우 차후 조작시 오작동의 우려가 제기될 수도 있으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는 이러한 사항에 대한 방지책이 부재하였다.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에는 스위치 노브의 원위치 복귀시 이를 저지하는 별개물로서의 스톱퍼를 장착하고 또한 소음 발생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고무 패드 등을 장착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이는 원가를 증대시키고 제조 공정의 수를 증대시켜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위치 확보를 확실하게 하여 차후 작동시 발생하는 오작동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주행시 미세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간결한 구조의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후크부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후크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 바디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후크 바디 수용부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 일면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와 접촉 가능한 후크 바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 바디와, 상기 걸림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 바디를 수용하는 걸림 바디 수용부와, 상기 걸림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 바디와 접촉 가능한 걸림 바디 접촉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후크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 바디 접촉면에는 상기 후크 바디를 수용하기 위한 걸림 바디 접촉면 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후크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 바디의 상기 걸림 바디 수용부를 향한 측면에 후크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바디 수용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걸림 바디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는 돌기 구조 또는 요홈 구조를 취하고, 상기 걸림 바디 가이드는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에 상응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후크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 측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별도의 스톱퍼 내지 고무 패드 등을 구비하지 않고 스위치 노브 및 하우징과 일체화된 구조의 후크 걸림부를 통하여 안정적인 위치 확보로 인하여 차후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하고 상시 접촉 상태로 인하여 래틀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여 주행시 작동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일체회된 후크 걸림부 구조를 통하여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후크 바디 가이드/걸림 바디 가이드 등을 통하여 안정적인 스위칭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걸림 바디 접촉 유지부를 통하여 외력이 제거된 후 원위치 복귀되는 스위치 노브의 제자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는, Y자 형상의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를 통하여 원위치 복귀시 발생되는 래틀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도 3의 선 A-A를 딸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후크 걸림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변형예의 후크 걸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변형예의 후크/걸림 바디 가이드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도 3의 선 A-A를 딸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후크 걸림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변형예의 후크 걸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변형예의 후크/걸림 바디 가이드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부(300)를 구비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취하는데, 하우징(100)의 단부에는 차량, 예를 들의 스티어링 휠 등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을 이루기 위한 하우징 장착부(101)가 배치된다. 하우징 장착부(101)에 인접한 영역에는 하우징 커넥터 수용부(102)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커넥터 수용부(102)에는 하기되는 커넥터(201)가 배치되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일면 상에는 복수 개의 격벽(103)이 배치되는데, 이들 격벽(103)은 스위치부(300)의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320)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이 스위치 노브(320)에 할당되어 빛이 출력되는 경우 해당 스위치 노브(320) 이외의 영역으로 빛이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스위치 노브(320)의 안정적인 스위칭 동작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소정의 하우징 지지 프레임(105)이 배치된다. 하우징 지지 프레임(105)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함인데, 본 고안의 하우징 지지 프레임(105)는 육각 벌집 구조를 취하여 하우징(100)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측 단부에는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스위치 노브(301)의 회동을 위한 하우징 노즈 회동부(110)가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상기한 바와같이 하우징 지지 프레임(105)에 의하여 지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가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좌굴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확인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전기 소자와 회로배선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200)에는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푸시 스위치(310)가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내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단에는 커넥터(201)가 배치되는데, 커넥터(201)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푸시 스위치(310)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하고 또한 커넥터(201)는 외부 전기장치와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하여 푸시 스위치(31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하고, 또한, 외부 전기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되는 LED와 같은 램프(210)로 전달하여 소정의 빛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스위치부(300)는 스위치 노브(320)와 푸시 스위치(31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노브(320)는 하우징(10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푸시 스위치(3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320)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됨으로써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함으로써 소정의 스위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푸시 스위치(31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경우에 따라 러버 패드 돔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스위치 노브(320)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되고 스위치 노브(320)를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320)는 일단에서 힌지 지지되는 시소 스위치 구조를 형성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320)의 단부에는 노브 회동부(321)가 배치되는데, 노브 회동부(321)는 상기한 하우징 노브 회동부(110)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소정의 힌지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320)의 내측면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하면에는 노브 가동부(323)가 배치되는데, 노브 가동부(323)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노브 가동부(323)의 단부는 곡선 처리되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320)의 일면이 가압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310)와의 접촉 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노브 가동부(323)에는 별도의 탄성 캡이 배치되어 푸시 스위치(310)와의 더욱 원활한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스위치 노브(320)의 노브 회동부(321)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는 개방된 구조의 노브 수용부(325)가 형성될 수 있는데, 노브 수용부(325)는 하기되는 후크 걸림부(33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걸림부(350)의 원활한 상대 위치 점유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스위치 유니트(10)는 후크 걸림부(330)를 포함하는데, 후크 걸림부(330)는 일단 힌지 회동 구조의 스위치 노브(320)가 원위치 복귀되는 경우 하우징(100)으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간결하면서도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이루도록 한다. 후크 걸림부(300)는 후크부(340)와 걸림부(350)를 포함하는데, 후크부(340)는 스위치 노브(320)의 노브 회동부(321)가 배치되는 일단의 반대편 타단으로 하우징(100)을 향하여 배치되고, 걸림부(350)는 후크부(340)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100)에 후크부(34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320)의 타단이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크부(340)는 후크 바디(341)와 후크 바디 수용부(345)와 후크 바디 접촉면(343)을 포함하는데, 후크 바디(341)는 스위치 노브(32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후크 바디(341)는 스위치 노브(320)의 하면으로부터 노브 수용부(325)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별개물로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320)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후크 바디(341)는 스위치 바디(32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후크 바디(341)에 의하여 후크 바디(341)와 스위치 바디(320) 간에는 소정의 공간, 즉 후크 바디 수용부(345)가 형성된다. 후크 바디 수용부(345)에는 하기되는 걸림부(350)의 구성요소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인입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스위치 노브(320)의 원활한 스위칭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 바디 접촉부(343)는 후크 바디(341)의 단부 일면에 형성되는데, 후크 바디 접촉부(343)는 스위치 노브(320)의 하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하기되는 걸림부(350)와의 접촉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걸림부(350)는 걸림 바디(351)와 걸림 바디 수용부(355)와 걸림 바디 접촉면(353)을 포함하는데, 걸림 바디(351)는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바디(351)는 하우징(1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걸림 바디(351)의 일측에는 걸림 바디 수용부(355)가 형성된다. 걸림 바디 수용부(355)는 일측 개방 구조를 이루는데, 이를 통하여 후크부(340)의 후크 바디(341)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없이 인입되어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걸림 바디 접촉면(353)은 걸림 바디(351)의 단부로 하부의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형성되는데, 걸림 바디 접촉면(353)은 후크 바디(341)의 후크 바디 접촉면(343)과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즉, 별도의 별개물로 형성되는 스톱퍼 등을 배제하고 스위치 노브(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340)와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35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310)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가압된 후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스위치 노브(3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 및 장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크 바디(341)가 이루는 후크 바디 접촉면(343) 및 후크 바디 수용부(345)는 소정의 곡선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노브(320)가 노브 회동부(32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도 걸림 바디(351) 대비하여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며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푸시 스위치(310)의 가압 후 외력이 급격하게 제거되더라도 후크 바디(341)와 걸림 바디(351) 간의 안정적인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하여 원활하게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후크 걸림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 안정적인 원위치 확보 및 유지를 위한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바디(351a)의 하면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걸림 바디 접촉면(353a)에는 후크 바디(341a)가 접촉될 수 있는데, 걸림 바디(351a)의 걸림 바디 접촉면(353a)에는 걸림 바디 접촉면 유지부(35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걸림 바디 접촉면 유지부(357)는 소정의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후크 바디(341a)는 원형 내지는 실질적인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데, 외력이 제거되어 푸시 스위치(310)를 통한 초기 지지력이 스위치 노브로 전달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의 일단 하측에 연장 배치되는 후크 바디(341a)는 걸림 바디 접촉면(353a)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되 소정의 V자 요홈 구조의 걸림 바디 접촉면 유지부(357)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제자리로 복귀되어 안정적인 위치 확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후크 걸림부는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바디(341)의 외측면에는 후크 바디 가이드(347)가 형성되고 후크 바디 가이드(347)의 대응되는 위치로 걸림부(350)의 걸림 바디 수용부(355)의 내측면에는 걸림 바디 가이드(359)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 바디 가이드(347)는 후크 바디(34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걸림 바디 가이드(359)는 후크 바디 가이드(347)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데, 걸림 바디 가이드(359)는 소정의 경로를 구비한다. 걸림 바디 가이드(359)의 소정의 경로는 스위치 노브(320)가 노브 회동부(32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후크 바디 가이드(347)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스위치 노브가 가압되거나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 복귀되는 경우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후크 바디 가이드는 돌기 구조로 걸림 바디 가이드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었는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후크 바디는 단일의 리브 타입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적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340)는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348)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348)는 후크 바디(341)의 단부로 스위치 노브(320) 측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결국 후크 바디(341)는 Y자 형상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후크 바디(341)의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348)는 걸림부(350)의 걸림 바디 접촉면(353)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되 Y자 형상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348)는걸림 바디(351) 대비하여 소정의 탄성 지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320)를 가압한 후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소정의 탄성 지지 상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후크 바디와 걸림 바디 간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내지 차량의 미세 진동으로 인한 떨림으로 발생되는 래틀 소음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348)는 소정의 크기 내지 후크 바디 대비 각도를 구성함으로써 걸림 바디와의 접촉을 통한 반력에 의하여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 푸시 스위치의 초기 지지력보다 큰 가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스위치 유니트는 차량 스티어링 휠이외에도 차량의 다른 부위에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스위치 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 300...스위치부
310...푸시 스위치 320...스위치 노브
330...후크 걸림부 340...후크부
350...걸림부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후크부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후크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 바디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후크 바디 수용부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 일면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와 접촉 가능한 후크 바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 바디와,
    상기 걸림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 바디를 수용하는 걸림 바디 수용부와,
    상기 걸림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 바디와 접촉 가능한 걸림 바디 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바디 접촉면에는 상기 후크 바디를 수용하기 위한 걸림 바디 접촉면 유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바디의 상기 걸림 바디 수용부를 향한 측면에 후크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바디 수용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걸림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는 돌기 구조 또는 요홈 구조를 취하고,
    상기 걸림 바디 가이드는 상기 후크 바디 가이드에 상응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 측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후크 바디 탄성 브릿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KR2020100010006U 2010-09-28 2010-09-28 스위치 유니트 KR200460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06U KR200460896Y1 (ko) 2010-09-28 2010-09-28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06U KR200460896Y1 (ko) 2010-09-28 2010-09-28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1U KR20120002391U (ko) 2012-04-05
KR200460896Y1 true KR200460896Y1 (ko) 2012-06-14

Family

ID=4660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06U KR200460896Y1 (ko) 2010-09-28 2010-09-28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08B1 (ko) * 2013-11-25 2015-03-02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963A (ko) * 2000-09-21 2002-03-28 윤종용 택트스위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963A (ko) * 2000-09-21 2002-03-28 윤종용 택트스위치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08B1 (ko) * 2013-11-25 2015-03-02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1U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2486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60896Y1 (ko) 스위치 유니트
EP3196073B1 (en) Combination switch lever
JP5859884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US6849816B2 (en) Vehicle steering wheel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190018277A (ko)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KR2004707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JP2004079484A (ja) 車載用複合操作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465882Y1 (ko)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JP2008234934A (ja) スイッチ装置
JP4713425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JP4647816B2 (ja) 車両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JP7240988B2 (ja) 電子キー
KR101171651B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