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08B1 -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08B1
KR101497308B1 KR20130144030A KR20130144030A KR101497308B1 KR 101497308 B1 KR101497308 B1 KR 101497308B1 KR 20130144030 A KR20130144030 A KR 20130144030A KR 20130144030 A KR20130144030 A KR 20130144030A KR 101497308 B1 KR101497308 B1 KR 10149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teering wheel
control switch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2013014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된 컨택터부를 스위칭하는 노브를 포함하여, 컴팩트하게 설계가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가 운행시 전방을 주시하며 차량 내부의 기능을 보다 손쉽게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의 노브와 바디부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steering), 즉 조향 장치는 방향 전환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스티어링 휠, 즉 핸들의 조작으로 발생된 회전력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기어 장치(일반적으로는 랙/피니언 구조)에 전달이 되고 기어장치가 타이로드를 움직여 바퀴를 회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근래에는 거의 모든 차량이 EPS 내지 웜 기어/파워 실린더 방식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스티어링 장치를 가지는 현재 자동차의 핸들을 살펴보면 고급차에서부터 시작한 핸들 스위치가 일반 차량에 까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핸들 스위치는 운전 중에 대시보드 내지 덱(deck)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컨 조절 버튼 내지 오디오 선곡/볼륨 조절 버튼 등의 주변기기의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핸들 주변에도 장착하여 운전자의 집중력을 흐트러트리지 않으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주변기기의 작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두 손을 핸들에 파지한 상태로 운전을 하고 있을 때 주변기기의 작동을 위해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편의성이 있어 이미 고급 차량에서는 필수적인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노브(30)에 형성된 홀(20)과 본체(10)에 형성된 돌출부(25)가 힌지결합되어 시소 타입으로 작동되어야 하는바,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결합부(홀(20), 돌출부(25)) 등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교적 많은 설치 공간을 차지함은 물론, 각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을 가려주기 위하여 본체(10)와 노브(30) 사이가 넓어져 외관미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컴팩트한 설계를 저해하고, 최근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스티어링 휠의 리모컨 스위치 어셈블리 장착영역에 주행의 안전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다양한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에 통합 구성시켜 설치공간을 감소시키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스위치를 하나의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해당 스위치를 스티어링 휠에 각각 설치할 경우 소요되는 설치비용 및 설치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외관미의 개선과 함께 최근의 추세에 따른 차량의 고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된 컨택터부를 스위칭하는 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함몰되게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함몰되게 제2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가 결합 될 때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가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2 오목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오목부에는 고정되며, 상기 노브의 이탈이 방지되는 상기 제1,2 오목부의 입구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2 오목부의 최장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에는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상기 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노브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과회전방지부는 상기 노브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노브는 일체로 성형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노브의 시소(see-saw) 방식과 누름방식의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소 방식에 의해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컴팩트하게 설계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에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가 운행시 전방을 주시하며 차량 내부의 기능을 보다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시된 사시도,
도 3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는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에 결합되는 커버부(200)와, 상기 바디부(100)에 배치된 컨택터부(400)를 스위칭하는 노브(300)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300)는 돌출부(320)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단부(310)에 형성되고, 타단부(34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돌출부(320)를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상기 컨택터부(400)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바디부(100)에는 함몰되게 제1 오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200)에는 함몰되게 제2 오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오목부(110) 및 상기 제2 오목부(210)는,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커버부(200)가 결합 될 때 대략 반구형의 함몰된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33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330)는 상기 바디부(100)에 상기 커버부(200)가 결합될때 상기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210) 사이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330)는 상기 제2 오목부(210)에 상기 노브(300)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오목부(110)와는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때 상기 돌출부(320)의 피봇시 영향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110)와의 이격거리를 두게 되며, 상기 제1 오목부(110)와 상기 선단부(330)의 이격거리는 0.025mm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는 상기 돌출부(320)의 크기 및 재질 등에 의해 다르게 거리를 둘 수 있다.
상기 노브(30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2 오목부(110,210)의 입구부(미도시)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2 오목부(110,210)의 최장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장이격거리(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커버부(200)가 결합될 때, 상기 제1,2 오목부(110,210)가 결합된 때 반구형의 지름을 나타내며, 상기 제1,2 오목부(110,210)의 입구부가 상기 제1,2 오목부(110,210)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330)가 상기 제1,2 오목부(110,210)가 감싸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부(200)에는 복수의 관통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20)에 상기 노브(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에는 상기 노브(300)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과회전방지부(120)는 상기 노브(300)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3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컨택터부(400)를 스위칭 시킨 후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330)가 상기 제2 오목부(210)에 고정되고, 상기 노브(300)는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지는 바,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320)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상기 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노브(3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300)를 누름 작동시키면 상기 일단부(31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피봇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300)는 상기 제2오목부(210)에 고정된 상기 돌출부(320)의 선단부(33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한편, 상기 제1 오목부(110)와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 간섭없이 그 타단부(340)가 피봇된다.
따라서, 상기 타단부(340)가 하측에 설치된 상기 컨택터부(400)를 스위칭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바디부 110: 제1 오목부
120: 과회전방지부
200: 커버부 210: 제2 오목부
300: 노브 310: 일단부
320: 돌출부 330: 선단부
340: 타단부
400: 컨택터부

Claims (11)

  1.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상기 바디부에 배치된 컨택터부를 스위칭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함몰되게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함몰되게 제2 오목부가 형성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가 결합 될 때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선단부가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2 오목부 사이에 결합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는 이격되고, 상기 제2 오목부에는 고정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이탈이 방지되는 상기 제1,2 오목부의 입구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2 오목부의 최장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된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상기 노브가 설치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노브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부가 형성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회전방지부는 상기 노브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노브는 일체로 성형된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KR20130144030A 2013-11-25 2013-11-25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KR10149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030A KR101497308B1 (ko) 2013-11-25 2013-11-25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030A KR101497308B1 (ko) 2013-11-25 2013-11-25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308B1 true KR101497308B1 (ko) 2015-03-02

Family

ID=5302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4030A KR101497308B1 (ko) 2013-11-25 2013-11-25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3325A (ja) * 2009-07-21 2011-02-03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460896Y1 (ko) * 2010-09-28 2012-06-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200465882Y1 (ko) * 2010-12-01 2013-03-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KR200467435Y1 (ko) * 2008-12-24 2013-06-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35Y1 (ko) * 2008-12-24 2013-06-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JP2011023325A (ja) * 2009-07-21 2011-02-03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460896Y1 (ko) * 2010-09-28 2012-06-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200465882Y1 (ko) * 2010-12-01 2013-03-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372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125396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4622561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WO2010101008A1 (ja) 電動工具
US4191866A (en) Three-function switch for a motorcycle
US7488907B2 (en) Lever switch device
JP2011187378A (ja) 車載用入力装置
KR101497308B1 (ko) 자동차 스티어링 휠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어셈블리
EP2639803B1 (en) Steering switch device
KR101521430B1 (ko)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KR20130066416A (ko)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250645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414293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907374B1 (ko) 스티어링휠용 스위치 조립체
KR200460896Y1 (ko) 스위치 유니트
JP2011218968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0289716Y1 (ko) 조그 다이얼 스위치를 장착한 차량용 핸들
KR101206218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65490Y1 (ko) 스위치 유니트
JPS6076443A (ja) スイツチを内蔵したステアリングホイ−ル
KR200467275Y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장치
KR101555378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