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731Y1 -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31Y1
KR200460731Y1 KR20120002935U KR20120002935U KR200460731Y1 KR 200460731 Y1 KR200460731 Y1 KR 200460731Y1 KR 20120002935 U KR20120002935 U KR 20120002935U KR 20120002935 U KR20120002935 U KR 20120002935U KR 200460731 Y1 KR200460731 Y1 KR 200460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uit
oil
compressed air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2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호
Original Assignee
최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호 filed Critical 최규호
Priority to KR20120002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점검 및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도록 된 공기압축기(10,11)와;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제1 관로(12)에 의해 연결된 건조기(30)와; 상기 건조기(30)에 의해 건조된 공기가 충전되도록 제2 관로(31)에 의해 연결된 저장탱크(4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4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압축공기에 의해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도록 된 장치에 연결되는 공기압축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12)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된 냉각기(13,14)와; 상기 냉각기(13,14)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관로(12) 상에 구비되어 압축공기 내에 함유된 응축수와 오일을 분리해 내도록 된 유수분리기(15,16)와; 상기 각 관로(12,31) 상에 상기 유수분리기(15,16) 또는 건조기(30)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제1 및 제2 체크밸브(17,18,32)와;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 내의 잔압 및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의한 응축수와 오일을 배출하도록 작동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19,20) 및 상기 건조기(30)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작동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33)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연결되는 제3 관로(51) 및 이 제3 관로(5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41)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전동개폐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Air compressor system for power control}
본 고안은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점검 및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피스톤이나 임펠러 등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후에, 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례로,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기는 전술된 바와 같은 공기압축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연결되는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압축공기는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후에 유수분리기를 거치면서 압축과정에서의 오일성분과 냉각과정에서의 응축수를 분리하게 되고, 이후에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일정 압력의 압축공기를 저장탱크에 저장하게 되며, 이 저장탱크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차단기를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는 일정 압력을 유지하여 차단기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위해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가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압력계나 압력센서 또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압력계나 압력센서 또는 타이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기와 건조기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체크밸브 등이 연결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저장탱크 내에 압축공기가 완전 충전된 이후에, 상기 공기압축기 내의 잔압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유수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응축수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통상적인 공기압축기는 그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공기를 냉각기로 냉각시킴에 따라 냉각과정에서 발생된 습기나 응축수에 의해 출구측이나 관로 상에 부식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함유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나 체크밸브의 기밀부에 유입됨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밸브나 체크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면 상기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가 역류 또는 누출되어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저장탱크 내에 압축공기를 충전하기 위해 공기압축기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장치의 손상 및 유지보수 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299725호) 2002. 12. 17.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오작동이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밸브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점검 및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도록 된 공기압축기(10,11)와;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제1 관로(12)에 의해 연결된 건조기(30)와;
상기 건조기(30)에 의해 건조된 공기가 충전되도록 제2 관로(31)에 의해 연결된 저장탱크(4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4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압축공기에 의해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도록 된 장치에 연결되는 공기압축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12)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된 냉각기(13,14)와;
상기 냉각기(13,14)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관로(12) 상에 구비되어 압축공기 내에 함유된 응축수와 오일을 분리해 내도록 된 유수분리기(15,16)와;
상기 각 관로(12,31) 상에 상기 유수분리기(15,16) 또는 건조기(30)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제1 및 제2 체크밸브(17,18,32)와;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 내의 잔압 및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의한 응축수와 오일을 배출하도록 작동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19,20) 및 상기 건조기(30)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작동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33)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연결되는 제3 관로(51) 및 이 제3 관로(5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41)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전동개폐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41)에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44)와, 이 타이머(44)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11)가 작동됨을 알리는 경보수단(45)이 구비되고, 상기 전동개폐밸브(50)는 평상시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후에 상기 경보수단(45)이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공기압축기(10,11)와 건조기(30) 측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연결되는 제3 관로(51) 상에 전동개폐밸브(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17,18,32) 또는 솔레노이드밸브(19,20,33)의 작동불량으로 인해 저장탱크(40) 내에 충전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전동개폐밸브(50)의 작동에 의해 압력누출을 차단하여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압력 누출에 따른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불필요한 이상작동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44)와 불필요한 초과작동을 알리는 경보수단(45)이 구비되고, 상기 경보수단(45)이 작동된 후에 상기 전동개폐밸브(50)가 컨트롤러(41)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 작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비상시에 작업자가 현장을 직접적으로 방문하지 않더라도 안전조치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점검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밸브(19,20,33)를 연결하는 제3 관로(51) 상에 전동개폐밸브(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동개폐밸브(50)의 폐쇄 작동시에 상기 체크밸브(17,18,32)와 솔레노이드밸브(19,20,33) 자체에 내압이 형성시킴으로 인해 각 체크밸브(17,18,32)와 솔레노이드밸브(19,20,33) 내에 구비되는 밸브체와 밸브시트를 상호 이격시켜 그에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축 배출하도록 된 공기압축기(10,11)가 구비되고, 이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기(30) 및 이 건조기(3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충전하도록 된 저장탱크(40)가 구비되며, 이 저장탱크(40)의 상부측에 저장탱크(40)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4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종래에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는 제1 관로(12)를 통해 상기 건조기(30)에 전달되는데, 상기 제1 관로(12) 상에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고온 고압의 압축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13,14)와 이 냉각기(13,14)의 후단에 위치되어 압축공기 내에 함유된 응축수와 오일을 분리해 내는 유수분리기(15,16) 및 압축공기를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체크밸브(17,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30)에 의해 건조된 압축공기는 제2 관로(31)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40)에 전달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2 관로(31) 상에는 전술된 제1 체크밸브(17,18)에 유사한 제2 체크밸브(32)가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기(15,16)와 건조기(30)에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19,2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33)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19,20)에 의해서는 상기 공기압축기 (10,11) 내의 잔압과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의해 분리된 응축수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33)는 상기 건조기(30)의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19,20,33)는 제3 관로(5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3 관로(51) 상에는 전동개폐밸브(50)가 구비되는데, 이 전동개폐밸브(50)는 상기 컨트롤러(41)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구성과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압축기(10,1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가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기(3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기압축기(10)와 제2 공기압축기(11)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공기압축기(10,11)는 1차적으로 압축된 공기를 2차 압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냉각기(13,14)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압축에 따라 각각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된 제1 냉각기(13)와 제2 냉각기(14)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기(15,16)와 제1 체크밸브(17,18)는 상기 각 공기압축기(10,11)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개폐밸브(50)는 밸브(52)에 구비되는 볼밸브체를 구동모터(53)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특히 상기 전동개폐밸브(50)는 상기 체크밸브(17,18,20)나 솔레노이드밸브(19,20,33)의 작동구조인 상하직동식(이는 밸브체와 시트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됨으로 인해 밸브체가 시트에 안착될 때에 이물질이 쉽게 끼이게 됨) 개폐구조와는 달리 상기 볼밸브체는 구동모터(53)에 의해 밸브시트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는 회전개폐식 구조로 구비되어 밸브시트 상에 묻은 이물질을 볼밸브체에 의해 쉽게 쓸어냄으로 인해 이물질에 따른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1)는 상기 저장탱크(40)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패널 또는 박스 형태로 된 케이스 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42)와, 상기 저장탱크(40)의 내압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압력스위치(43) 및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된 타이머(44)와 이 타이머(44)의 설정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이 지속됨을 알리는 알람이나 경광등 등을 포함한 경보수단(45)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동상태는 평상시에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가 건조기(30)를 거쳐 상기 저장탱크(40)에 충전되어 일정 압력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19,20,33)는 개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 내의 잔압과 상기 유수분리기(15,16) 및 건조기(30)에서 생성된 응축수와 오일 및 기타 이물질을 배출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 전동개폐밸브(50)는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의해 배출되는 잔압이나 응축수와 오일을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이 정상수치에 비해 낮아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압축기(10,11)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어 상기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을 정상수치로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이 정상화되면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는데, 이는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인 것이다.
반면에, 장치나 구성의 일부에서 압축공기의 누출이 발생되어 상기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이 정상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가 지속적으로 가동되는데, 이때에 상기 타이머(44)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11)가 작동됨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경보수단(45)에 의해 장치의 비정상 작동을 알려주게 된다.
종래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비정상 작동시에 시스템 자체적으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점검하지 않게 되면 상기 공기압축기(10,11)는 계속적으로 가동되어 과열 등에 의한 장치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기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은 산간벽지나 접근이 번거로운 격오지 등에 설치되어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므로, 작업자가 대기중인 통제본부 등에서 실제로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도착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매우 길게 소요되므로 장치를 효과적으로 점검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제3 관로(51)를 연결하고, 이 제3 관로(51) 상에 상기 컨트롤러(41)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전동개폐밸브(50)가 구비된 것인데, 이 전동개폐밸브(50)는 장치의 정상 작동시에 항상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20,33)를 통한 배출물을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하게 되고, 전술된 바와 같은 비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경보수단(45)이 작동 이후에 상기 제3 관로(51)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개폐밸브(50)에 의해 제3 관로(51)가 폐쇄하게 되면 상기 체크밸브(17,18,32) 또는 솔레노이드밸브(19,20,33) 등의 오작동에 의해 압축공기가 누출되더라도 압축공기가 완전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저장탱크(40) 내의 압력이 정상수치에 도달하도록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 전동개폐밸브(50)가 구비됨에 따라 시스템의 비정상 작동시에 자체적으로 안전조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산간벽지나 접근이 번거로운 격오지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거나 안전조치를 위해 작업자의 투입 또는 점검 등을 위해 별도의 시간을 투자할 필요가 없게 되며, 또한 장치를 정상화시켜 과열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동개폐밸브(50)가 구비됨에 따라 그 폐쇄작동에 의해 상기 관로(12,31,51) 및 체크밸브(17,18,32)와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내압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전동개폐밸브(50)의 폐쇄작동에 의한 내압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17,18,32)의 밸브체와 시트 사이가 이격되어 기밀부로부터 1차적으로 이물질이 분리되고, 이후에 상기 전동개폐밸브(50)의 개방시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20,33)의 밸브체와 시트 사이를 이격될 때에 내압의 배출력으로 인해 그에 끼인 이물질이 상기 체크밸브(17,18,20)로부터 탈락된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통상적으로 저장탱크(40)의 압력 누출의 원인은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출구에서 배출된 압축공기가 냉각기(13,14)에 의해 냉각됨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내부의 부식에 따른 이물질이 상기 체크밸브(17,18,32)나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끼임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체크밸브(17,18,32)나 솔레노이드밸브(19,20,33)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행하게 되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상기 전동개폐밸브(50)에 의해 전술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17,18,32)와 솔레노이드밸브(19,20,33) 자체에 끼인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유지보수 및 점검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구비되는 모터(21,22)를 나타낸 것으로, 이 모터(21,22)는 상기 컨트롤러(41)의 압력스위치(43)에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고, 다른 부호는 상기 유수분리기(15,16)와 건조기(30)에 구비되는 스탑밸브(23)와 안전밸브(24) 또는 스트레이너(25) 등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종래에 유사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도록 된 공기압축기(10,11)와;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제1 관로(12)에 의해 연결된 건조기(30)와;
    상기 건조기(30)에 의해 건조된 공기가 충전되도록 제2 관로(31)에 의해 연결된 저장탱크(4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4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압축공기에 의해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도록 된 장치에 연결되는 공기압축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12)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에 의한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된 냉각기(13,14)와;
    상기 냉각기(13,14)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관로(12) 상에 구비되어 압축공기 내에 함유된 응축수와 오일을 분리해 내도록 된 유수분리기(15,16)와;
    상기 각 관로(12,31) 상에 상기 유수분리기(15,16) 또는 건조기(30)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제1 및 제2 체크밸브(17,18,32)와;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11) 내의 잔압 및 상기 유수분리기(15,16)에 의한 응축수와 오일을 배출하도록 작동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19,20) 및 상기 건조기(30)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작동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33)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19,20,33)에 연결되는 제3 관로(51) 및 이 제3 관로(5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41)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전동개폐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1)에는 상기 공기압축기(10,11)의 작동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44)와, 이 타이머(44)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0,11)가 작동됨을 알리는 경보수단(45)이 구비되고, 상기 전동개폐밸브(50)는 평상시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후에 상기 경보수단(45)이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KR20120002935U 2012-04-01 2012-04-01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KR200460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2935U KR200460731Y1 (ko) 2012-04-01 2012-04-01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2935U KR200460731Y1 (ko) 2012-04-01 2012-04-01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31Y1 true KR200460731Y1 (ko) 2012-06-04

Family

ID=4732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2935U KR200460731Y1 (ko) 2012-04-01 2012-04-01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7267A (zh) * 2012-06-11 2014-0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测试装置
KR101713126B1 (ko) * 2016-12-30 2017-03-22 정세라 치과 유니트 체어용 전자동 석션 겸용 콤프레서 장치
KR102525285B1 (ko) * 2022-08-11 2023-04-26 주식회사 디씨티코리아 고장탐지기능이 구비된 치과용 공기압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961A (ja) 2000-05-19 2001-11-30 Denyo Co Ltd 油冷式圧縮機の給油構造
JP2002115662A (ja) 2000-10-05 2002-04-19 Hitachi Ltd 給油式空気圧縮機
JP2006212610A (ja) 2005-02-03 2006-08-17 Fukuhara Co Ltd 乾燥した圧縮空気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961A (ja) 2000-05-19 2001-11-30 Denyo Co Ltd 油冷式圧縮機の給油構造
JP2002115662A (ja) 2000-10-05 2002-04-19 Hitachi Ltd 給油式空気圧縮機
JP2006212610A (ja) 2005-02-03 2006-08-17 Fukuhara Co Ltd 乾燥した圧縮空気の製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7267A (zh) * 2012-06-11 2014-0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测试装置
KR101713126B1 (ko) * 2016-12-30 2017-03-22 정세라 치과 유니트 체어용 전자동 석션 겸용 콤프레서 장치
KR102525285B1 (ko) * 2022-08-11 2023-04-26 주식회사 디씨티코리아 고장탐지기능이 구비된 치과용 공기압축기
WO2024034713A1 (ko)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디씨티코리아 고장탐지기능이 구비된 치과용 공기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785B1 (ko) 물 윤활식 압축기
KR101238062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10131752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200460731Y1 (ko)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JP6412992B2 (ja) 油冷式空気圧縮機
US20130047635A1 (en) Starting method for a refrigerant recovery, recycling and recharging system
CN103802817B (zh) 车辆安全智能排水系统
KR101250985B1 (ko) 부스터 펌프
CN211739554U (zh) 多联机空调系统及其油平衡装置
CN210317676U (zh) 一种水润滑空气压缩装置
JP4299413B2 (ja) 給水装置
KR101222472B1 (ko) 공기 압축 장치
CN113310249A (zh) 多联机空调系统及其油平衡装置和油平衡控制方法
JP6280842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TWI671467B (zh) 給液式氣體壓縮機
KR102328626B1 (ko) 철도차량 dc 모터타입 화재진압장치
JP2015031273A (ja) ポンプ装置
JP5025381B2 (ja) ドレン排出異常の検出装置および圧縮空気除湿装置
US20100326676A1 (en) Automatic drum drip
KR101572208B1 (ko) 오토 드레인 시스템
JP2009167874A (ja) 水潤滑圧縮機の水抜き方法
KR20070012600A (ko) 물 윤활 스크롤 압축기
CN210859100U (zh) 具有排放装置的真空机组
KR102027177B1 (ko) 대형 컨테이너 냉각수시스템의 수격방지 장치
CN220622121U (zh) 一种排液真空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