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208B1 - 오토 드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토 드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208B1
KR101572208B1 KR1020150074734A KR20150074734A KR101572208B1 KR 101572208 B1 KR101572208 B1 KR 101572208B1 KR 1020150074734 A KR1020150074734 A KR 1020150074734A KR 20150074734 A KR20150074734 A KR 20150074734A KR 101572208 B1 KR101572208 B1 KR 10157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ump
vapor
suction
pipe
drai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텍
Priority to KR102015007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LCD 및 LED 공정에서 사용되는 챔버, 챔버와 연결된 트랩탱크에 모인 액화된 유증기를 자동으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이 흡입하고 배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증기가 모인 트랩탱크를 상시 확인하거나 수동으로 트랩탱크의 배출밸브를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수의 트랩탱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토 드레인 시스템{Auto drain system}
본 발명은 오토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LCD 및 LED 공정에서 사용되는 챔버와 연결된 트랩탱크에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연결하여 트랩탱크 내부에 모인 액화된 유증기를 자동으로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CD 및 LED 공정에서는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드라이펌프를 이용하여 챔버 내부를 흡입한다. 이 때 드라이펌프는 챔버 내부에서 발생된 유증기(솔벤트)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배출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과정에서 온도차로 인해 유증기가 다시 액화되어 배출이 원활히 되지 못 했다.
또한, 드라이펌프의 토출구는 트랩탱크로 연결되며 트랩탱크 내부에는 액화된 상태로 유증기가 모이게 되고, 액화된 유증기가 트랩탱크의 내부에서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유증기를 트랩탱크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관리자가 트랩탱크의 배출밸브를 수동으로 직접 개방하여 배출해야 했으므로 번거로움이 생길 뿐만 아니라 다수의 트랩탱크를 관리하기가 곤란하였다.
한편, 유증기 배출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8-069555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LCD 및 LED 공정과정에서 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드라이펌프를 가동하게 되는데, 이 때 수집되는 유증기가 모아진 트랩탱크로부터 액화된 유증기를 자동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랩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트랩탱크로부터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도입관과, 상기 흡입도입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밸브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몸체에 연결된 흡입배관과, 일측이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회수탱크에 연결된 배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유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배관으로 유증기를 배출하는 메인다이어프램펌프 및 상기 밸브 몸체 및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배관과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는 배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펌프와 상기 밸브액추에이터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부에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예비 다이어프램펌프는 펌프연결관을 통해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고, 예비펌프토출배관을 통해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연결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부의 바닥에는 유증기의 누설을 감지하는 리크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펌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배관에는 상기 흡입구가 복수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흡입구에 복수의 트랩탱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랩탱크에는 레벨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트랩탱크에 채워진 액화된 유증기의 높이가 일정수준에 도달한 것을 상기 레벨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은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트랩탱크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은 작업자가 작동시간 및 주기를 설정해 놓으면 트랩탱크로 유입되어 액화된 유증기를 자동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트랩탱크를 상시 확인하거나 수동으로 트랩탱크의 배출밸브를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수의 트랩탱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수동조작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둘째, 화재사고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은 내부로 질소 또는 CDA(Air)가 투입되어 밸브와 펌프가 공압에 의해서 작동된다. 따라서 전기모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파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화재사고의 위험이 감소한다.
셋째, 인화성 유증기가 흐르는 배관부에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여도 제어부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즉, 예기치 못하게 배관부에서 유증기가 새어나간 상태에서 화염이나 스파크가 발생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은 배관부와 제어부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배관부에서 발생한 화염이나 스파크가 제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고 발생 시에 기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이상상태에 대한 알람기능이 마련되어 작업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압력 저하, 펌프 이상 및 배출관의 틈이 발생하여 유증기가 새는 것이 감지된다면 부저가 울리고, 이를 메인 장비로 신호를 송출하여 알림으로써 즉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정비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챔버와 연결된 트랩탱크의 개수에 따라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의 개수가 다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흡입구는 트랩탱크의 개수에 따라 2개일 수도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챔버에 연결된 트랩탱크의 개수에 따라 흡입구의 개수가 다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흡입구 개수가 많은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트랩탱크에 따라 액화된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4개의 트랩탱크에서 유증기를 흡입하게 된다면 흡입구의 개수가 5개가 구비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4개의 흡입구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이어프램펌프의 성능에 따라 하나의 흡입구에 2개 이상의 트랩탱크가 연결되어 효율적으로 유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전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후면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내부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전면사시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후면사시도.
도7은 도5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
도8은 도5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에서 제어부를 제거하고 배관부만 도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전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후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은 기능적으로 제어부(100) 및 배관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00)와 배관부(200)는 내벽으로 분리되어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서로의 연결은 내벽의 구멍(미도시)을 통해 전선으로 전기적 연결된다. 따라서 유사시 배관부(200)의 화염이나 스파크가 제어부(100)에 도달하지 못한다.
제어부(100)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써, 배관부(2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흡입과 배출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측에 제어부(100)가 위치하고, 하측에 배관부(200)가 위치되어 있다.
제어부(100)가 위치한 상측에는 낙수방지커버(110), 컨트롤패널(120), 제어부후면도어(130), 제어부측면도어(140), 주전원 공급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낙수방지커버(110)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최상부의 케이스(160)에 구부러져 연장된 부분으로, 오토 드레인 시스템(1)에 예기치 않게 수분이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컨트롤패널(120)을 보호한다.
컨트롤패널(120)은 작업자가 밸브의 스위치, 펌프의 스위치 및 시간설정, 부저의 스위치, 전원의 온오프 등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패널이다.
제어부후면도어(130)는 케이스(160)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100)를 오토 드레인 시스템(1) 후면에서 수리나 보수할 수 있도록 여는 문이다.
제어부측면도어(140)는 제어부후면도어(13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00)의 수리나 보수를 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 여는 문이다.
주전원 공급부(150)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내부에서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메인장비로 이상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기능도 있다.
배관부(200)는 제어부(100)와 내벽을 경계로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으로, 제어부(100)의 명령에 따라 트랩탱크로부터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배관부(200)는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배관부전면도어(201)는 컨트롤패널(120)과 같은 면에 설치된 도어로써, 배관부(200)를 수리 및 보수할 수 있도록 전면에서 열 수 있는 도어이다.
배관부후면도어(202)는 배관부전면도어(201)와 마찬가지로 배관부(200)의 수리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후면에서 열 수 있는 도어이다.
흡입도입관(203)은 흡입구(203a)가 형성되며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트랩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트랩탱크 내부에 액화되어 저장된 유증기를 흡입하며, 일측은 밸브몸체(207)와 연결되어 있다.
배출구(204)는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구(203a)를 통하여 흡입하고 나서, 회수탱크(미도시)로 배출하는 구멍이다.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는 흡입구(203a)가 형성된 흡입도입관(203)에 연결된 밸브몸체(207)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는 배출구(204)와 연결된 밸브몸체(207)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밸브몸체(207)는 유증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는 관로를 개폐하는 부분으로,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 및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 각각에 하나씩 결합되어 있어 밸브액추에이터에 의해 열리고 닫힌다.
메인펌프토출배관(208)은 트랩탱크에서 액화된 유증기가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로 흡입된 후에 회수탱크(미도시)로 배출될 때의 경로를 제공하는 관으로,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의 밸브몸체(207)와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메인펌프토출배관(208)은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는 트랩탱크에 축적된 유증기를 정해진 시간이나 주기에 따라 흡입하고 배출하는 펌프이다. 다이어프램펌프(209, 211)에 대한 자세한 동작원리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비펌프토출배관(210)은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에 이상상태가 감지되었을 때 작동하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에서 흡입되어 배출되는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관으로, 메인펌프토출배관(208)과 마찬가지로 밸브몸체(207)와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 사이를 연결하며,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재질로 제작된다.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마련된 펌프이다.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에 이상이 발생되어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면,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의 입구는 폐쇄되고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의 입구는 개방되며, 따라서 유증기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와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 사이에 설치된 펌프연결관(216)을 지나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로 흡입된다. 이와 반대로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의 고장이 해결된 이후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에 이상이 발생되어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면,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의 입구가 폐쇄되고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의 입구가 개방되어 유증기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로만 흡입된다.
흡입배관(212)은 다수의 흡입구(203a)에서 흡입된 유증기를 하나로 모아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 또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로 유증기가 흐를 수 있도록 밸브몸체(207) 및 다이어프램펌프들(209, 211) 사이에 연결된 관이다. 흡입배관(212)은 분지되어 펌프연결관(216)에 연결되어 있다.
리크센서(213)는 배관부(200)를 보호하는 케이스(160) 바닥면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이나 부품들에서 유증기가 새는 것을 감지하고, 누설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로 누설에 관한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이다.
배출배관(214)은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 및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에서 배출된 유증기를 한군데로 모아 회수탱크로 배출하는 관으로서, 배출배관(214)은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압력센서(215)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와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 사이를 연결하는 펌프연결관(216) 상단에 설치되어,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나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에 문제가 발생하여 압력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제어부(100)에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이다.
질소투입구(300)는 배관부(200) 내부에 밸브 및 펌프가 질소 또는 CDA(Air)를 투입하여 공압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질소 또는 CDA(Air)를 투입시키는 구멍이다. 배관부(200) 내부에는 압력센서(215)와는 다른 별도의 공압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되어 질소 또는 CDA(Air)의 압력 저하가 감지되었을 때 제어부(100)에 신호를 송출하여 공압의 이상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이 트랩탱크에서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을 동작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컨트롤패널(120)에 포함된 전원스위치를 온 상태로 조작한다. 전원을 온 상태로 조작한 이후에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가 작동할 시간과 작동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펌핑이 진행되는 시간 및 이에 대한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다. 챔버와 연결되어 챔버 내부의 유증기가 배출되어서 모아진 트랩탱크의 내부에는 한차례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이 유증기를 흡입하게 되면 한동안은 다시 유증기가 모아질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항상 펌핑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은 작동시간 및 주기를 조절하여 장치에 소모되는 전력을 아낄 수 있다.
또한, 자동모드/수동모드를 선택하여 작업자가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을 운용할 수 있다. 자동모드를 이용하여 설정된 작동시간 및 주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펌핑할 수도 있지만, LCD 및 LED 공정상황에 따라 트랩탱크에 모이는 유증기는 같은 시간에 일정한 양이 모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동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지 않고 수동으로 조작하여 펌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후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작동이 시작되면 설정된 작동주기에 도달되었을 때 펌핑을 시작하게 된다. 즉, 각각의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가 트랩탱크로부터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밸브몸체(207)를 개방시키고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를 가동하여 트랩탱크로부터 유증기의 흡입을 시작한다. 각각의 흡입구(203a)로부터 흡입된 유증기는 흡입배관(212)으로 모여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로 흡입된다. 이렇게 흡입된 유증기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 내부에서 다시 메인펌프토출배관(208)을 거쳐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의 밸브몸체(207)로 이동된다. 이 때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는 유증기가 회수탱크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밸브몸체(207)를 개방하여 배출배관(214)으로 유증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배출구(204)를 통해 유증기는 회수탱크로 배출된다.
만약, 흡입하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나 이에 연결된 배관에 이상이 생긴다면 압력이 변화할 것이다. 예를 들면, 배관에 틈이 생겨 유증기가 새어 나간다면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로 흡입되는 유증기의 압력은 높아질 것이다. 또한,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에 문제가 생겨 유증기를 배출구(204)로 제대로 배출하지 못 한다면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로 흡입되는 유증기의 압력은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변화를 압력센서(215)가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이상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100)는 다시 주전원 공급부(150)가 메인장비에 이상신호를 송출하게 하여 작업자에게 이상상태를 부저로 알리는 알람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의 밸브를 폐쇄하고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의 밸브를 개방하여 유증기가 펌프연결관(216)을 거쳐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자동적으로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를 정지시키고,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를 가동시킴으로써 유증기는 트랩탱크로부터 흡입되고 예비펌프토출배관(210)을 거쳐 배출구(204)로 배출된다. 이 때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는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에서 설정된 작동시간 및 주기로 동일하게 가동된다.
반대로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나 이와 연결된 배관에 이상이 생기면 제어부(100)는 동일한 방식으로 펌프를 전환한다. 이때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를 정지시키고, 메인 다이어프램펌프(209)를 가동시킨다.
작동주기에 따라 흡입 및 배출과정이 완료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은 자동적으로 밸브액추에이터(205, 206), 다이어프램펌프(209, 211) 등이 오프되고 다음 가동을 위해 대기한다.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흡입 및 배출과정은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을 작업자가 설정하지 않아도 작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트랩탱크 내부에 액화된 유증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레벨센서 또는 수위센서가 마련되어 액화된 유증기의 높이가 일정수준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00)가 메인다이어프램펌프(209) 또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211)를 작동시킴으로써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오토 드레인 시스템(1)의 작동설정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흡입 및 배출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전면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후면사시도이며, 도7은 도5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을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고, 도8은 도5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에서 제어부를 제거하고 배관부만 도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9는 도8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어부(100') 및 배관부(200')의 배치와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의 개수가 증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그 기능과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0')를 앞쪽에 배관부(200')를 제어부(100') 뒤쪽에 배치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흡입구(203')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와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를 평행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의 개수가 많지 않았다면, 제2실시예에서는 배관부의 하단에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를 설치하고 상단에 배출밸브액추에이터(206')를 설치하여 흡입밸브액추에이터(205')의 밸브몸체(207')와 연결된 흡입구(203')를 제1실시예보다 더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 대의 오토 드레인 시스템(1')으로 다수의 트랩탱크와 연결되어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흡입구(203')와 연결된 배관을 2대 이상의 트랩탱크와 연결시켜 사용한다면 흡입 및 배출 효율은 더욱 증가될 것이다. 이는 제1실시예도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은 트랩탱크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은 작업자가 작동시간 및 주기를 설정해 놓으면 트랩탱크로 유입되어 액화된 유증기를 자동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트랩탱크를 상시 확인하거나 수동으로 트랩탱크의 배출밸브를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수의 트랩탱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수동조작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재사고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은 내부로 질소 또는 CDA(Air)가 투입되어 밸브와 펌프가 공압에 의해서 작동된다. 따라서 전기모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파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화재사고의 위험이 감소한다.
또, 인화성 유증기가 흐르는 배관부(200, 200')에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여도 제어부(100, 100')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즉, 예기치 못하게 배관부(200, 200')에서 유증기가 새어나가 화염이나 스파크가 발생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은 배관부(200, 200')와 제어부(100, 100')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배관부(200, 200')에서 발생한 화염이나 스파크가 제어부(100, 100')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아 기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의 이상상태에 대한 알람기능이 마련되어 작업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압력 저하, 펌프 이상 및 배출관의 틈이 발생하여 유증기가 새는 것이 감지된다면 부저가 울리고, 이를 메인 장비로 신호를 송출하여 알림으로써 즉시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을 정비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챔버와 연결된 트랩탱크의 개수에 따라 액화된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03, 203')의 개수가 다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의 흡입구(203, 203')는 트랩탱크의 개수에 따라 2개일 수도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챔버에 연결된 트랩탱크의 개수에 따라 흡입구(203, 203')의 개수가 다른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 타입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흡입구(203, 203') 개수가 많은 타입의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을 사용하면서 트랩탱크에 따라 액화된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3, 203')의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4개의 트랩탱크에서 유증기를 흡입하게 된다면 흡입구(203, 203')의 개수가 5개가 구비된 오토 드레인 시스템(1, 1')을 사용함에 있어서 4개의 흡입구(203, 203')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이어프램펌프(209, 211, 209', 211')의 성능에 따라 하나의 흡입구(203, 203')에는 2개 이상의 트랩탱크가 연결되어 효율적으로 유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1 : 오토 드레인 시스템
100 : 제어부
110 : 낙수방지커버
120 : 컨트롤패널
130 : 제어부후면도어
140 : 제어부측면도어
150 : 주전원 공급부
160 : 케이스
200 : 배관부
201 : 배관부전면도어
202 : 배관부후면도어
203 : 흡입구
204 : 배출구
205 : 흡입밸브액추에이터
206 : 배출밸브액추에이터
207 : 밸브몸체
208 : 메인펌프토출배관
209 : 메인 다이어프램펌프
210 : 예비펌프토출배관
211 : 예비 다이어프램펌프
212 : 흡입배관
213 : 리크센서
214 : 배출배관
215 : 압력센서
216 : 펌프연결관
300 : 질소투입구
<제2실시예>
1' : 오토 드레인 시스템
100' : 제어부
110' : 낙수방지커버
120' : 컨트롤패널
150' : 주전원 공급부
160' : 케이스
200' : 배관부
201' : 배관부전면도어
203' : 흡입구
204' : 배출구
205' : 흡입밸브액추에이터
206' : 배출밸브액추에이터
207' : 밸브몸체
208' : 메인펌프토출배관
209' : 메인 다이어프램펌프
210' : 예비펌프토출배관
211' : 예비 다이어프램펌프
212' : 흡입배관
213' : 리크센서
214' : 배출배관
215' : 압력센서
216' : 펌프연결관
300' : 질소투입구

Claims (8)

  1. 트랩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트랩탱크로부터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도입관;
    상기 흡입도입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밸브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몸체에 연결된 흡입배관;
    일측이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회수탱크에 연결된 배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유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배관으로 유증기를 배출하는 메인다이어프램펌프; 및
    상기 밸브 몸체 및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배관과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는 배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와 상기 밸브액추에이터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에는 예비 다이어프램펌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예비 다이어프램펌프는 펌프연결관을 통해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고, 예비펌프토출배관을 통해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연결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바닥에는 유증기의 누설을 감지하는 리크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펌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에는 상기 흡입구가 복수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흡입구에 복수의 트랩탱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탱크에는 레벨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트랩탱크에 채워진 액화된 유증기의 높이가 일정수준에 도달한 것을 상기 레벨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다이어프램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은 액화된 유증기가 흐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드레인 시스템.
KR1020150074734A 2015-05-28 2015-05-28 오토 드레인 시스템 KR10157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34A KR101572208B1 (ko) 2015-05-28 2015-05-28 오토 드레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34A KR101572208B1 (ko) 2015-05-28 2015-05-28 오토 드레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208B1 true KR101572208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734A KR101572208B1 (ko) 2015-05-28 2015-05-28 오토 드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387A (zh) * 2018-08-29 2018-12-25 江苏润阳悦达光伏科技有限公司 危险品排污防泄漏地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755A (ja) 2006-08-07 2008-02-21 Advance Denki Kogyo Kk 流体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755A (ja) 2006-08-07 2008-02-21 Advance Denki Kogyo Kk 流体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387A (zh) * 2018-08-29 2018-12-25 江苏润阳悦达光伏科技有限公司 危险品排污防泄漏地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39147A (ja) ガソリンスタンド環境で特に使用される真空作動式シアー弁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357136B (zh) 消防作业控制装置及方法
TWI542380B (zh) Vacuum wet sprinkler equipment
CN112576577B (zh) 用于对车辆液压制动系统处理的设备
KR101572208B1 (ko) 오토 드레인 시스템
EP0265145B1 (en) Hydro-pneumatic pumpsets
KR101250985B1 (ko) 부스터 펌프
JP6153363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及び気水分離排水装置
CN111156116A (zh) 一种自清洁空气滤清器
JP5785868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3713621B2 (ja) 横軸ポンプ
KR200460731Y1 (ko)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JP2015031273A (ja) ポンプ装置
JP2017169843A (ja) 湿式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の二次側配管における水排出及び水充填方法
KR100268218B1 (ko) 응축수 회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847766B2 (ja) ストレーナの目詰まり判定方法及び判定装置
JP5348752B2 (ja) 揚水装置
KR100614669B1 (ko) 차량용 lpg탱크의 잔류가스 자동 회수 및 재충전 장치
KR20150028413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집진기용 에어펄스 밸브의 오류감지시스템
CN112572393B (zh) 用于对车辆液压制动系统处理的设备
CN112572386B (zh) 用于对车辆液压制动系统处理的设备
JP2000038905A (ja) 油圧制御装置
WO2021169213A1 (zh) 多联机空调系统及其油平衡装置和油平衡控制方法
KR100624262B1 (ko) 엘피지 이/충전을 위한 가스압축기용 방폭장치
KR950011086B1 (ko) 집진장치의 동작 제어씨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