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615Y1 -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615Y1
KR200460615Y1 KR20110005324U KR20110005324U KR200460615Y1 KR 200460615 Y1 KR200460615 Y1 KR 200460615Y1 KR 20110005324 U KR20110005324 U KR 20110005324U KR 20110005324 U KR20110005324 U KR 20110005324U KR 200460615 Y1 KR200460615 Y1 KR 200460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oss
moss removal
removal un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05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열
Original Assignee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05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6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이 고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방류수로의 바닥면, 양 벽면 및 양 상부면을 각각 닦는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 및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를 포함한다. 한편, 벽면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한 쌍의 벽면브러쉬의 위치를 자동 변동시키는 밸런스 웨이트장치(370)를 구비하고, 바닥이끼제거 유니트는 바닥브러쉬의 위치를 자동 변동시켜 바닥브러쉬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조정하고 바닥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 보정하는 제1하중 조절장치(380)를 구비하며,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한 쌍의 상면브러쉬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각각 자동 변동시켜 상면브러쉬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조정하고 상면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 보정하는 한 쌍의 제2하중 조절장치(390)를 구비한다. 이 고안은 각 브러쉬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자동 변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류수로의 바닥면 및/또는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방류수로의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An automatic algal remover}
이 고안은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 및 폐수처리시설의 워크웨이에 결합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방류수로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를 위한 침전지는 하수처리장치와 고정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런 고정구조물은 침전지와 방류수로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 침전지와, 침전지와 방류수로가 직선형태를 가진 사각형 침전지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가 침전지의 방류수로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하수처리를 위한 침전지는 고정구조물과 하수처리장치로 구성된다. 이런 고정구조물은 침전지의 외곽을 원형으로 둘러싼 둑(1)과, 그러한 둑(1)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형성된 방류수로(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침전지의 방류수로(2)는 바닥면(3)과 벽면(4)과 상부면(5) 및 웨어 플레이트(6)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류수로의 웨어 플레이트(6)는 침전지의 물이 방류수로의 내주로 흘러넘칠 수 있도록 V자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수처리장치에 이용되는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가 있으며, 이러한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침전지의 반지름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워크웨이(7)가 침전지의 둘레를 회전하면서 가라앉은 침전물을 끌어 모으도록 구성된다. 즉,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워크웨이(7)에 결합된 상태로 작동하면서 방류수로(2)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이런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68717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68717호에 공개된 종래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프레임(111)의 하부에는 주프레임(1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상하이동부재(113)가 결합되어 있고, 이런 제1상하이동부재(113)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부재(11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회전부재(114)에는 제1모터(123)가 안착되는 연결부재(122)가 체결되고, 제1모터(123)에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 및 벽면(4)을 닦는 센터브러쉬(121)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프레임(112)에는 보조프레임(11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상하이동부재(115)가 결합되어 있고, 이런 제2상하이동부재(115)의 내부에는 그 횡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제2샤프트(1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제2샤프트(131)에는 상면 브러쉬(133, 134)가 각각 결합되고, 이러한 상면브러쉬(133, 134)는 제2모터(132)의 구동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한다.
또한, 주프레임(111)의 중간부위에는 제1, 제2상하이동부재(113, 11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리프팅장치(140)는 와이어(143)를 감을 수 있는 제1와이어 드럼(142)과, 이런 제1와이어 드럼(1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14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프레임(111)의 최상부에는 밸런스 웨이트장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밸런스 웨이트장치(150)는 주프레임(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센터브러쉬유니트(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주프레임(111)의 한 쪽의 측면에는 상면브러쉬유니트(130)의 위치를 세팅하는 세팅장치(1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회전하는 센터브러쉬(121)를 이용하여 방류수로(2)의 바닥면(3) 및 벽면(4)의 이끼를 제거하고, 상면브러쉬(133, 134)를 이용하여 방류수로(2)의 상부면(5)의 이끼를 제거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센터브러쉬(121)가 회전하여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대해 마찰력을 가지면, 그 회전방향과 같은 벽면쪽으로 이동하여 벽면(4)과 바닥면(3)을 닦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워크웨이(7)가 방류수로(2)를 한번 선회할 때, 한쪽 벽에 생성된 이끼만을 제거함으로 방류수로를 다수 회전하면서 닦아야 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센터브러쉬(121)의 회전력에 의해 방류수로의 바닥면(3)과 벽면(4)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그래서, 센터브러쉬(121)에는 대형브러쉬가 사용되고, 그런 센터브러쉬(12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큰 회전력을 제공해야 한다. 이로 인해, 센터브러쉬(121)는 쉽게 마모되고, 센터브러쉬(121)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연결부재(122)에는 집중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상면브러쉬의 위치를 초기에 세팅된 동일한 높이에서 좌우 상면브러쉬(133, 134)가 회전하여 상부면(5)을 닦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방류수로(2)의 상부면(5)의 높이는 시공여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면브러쉬(133, 134)가 좌, 우측 상부면(5)에 밀착하지 못하고 들뜨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끼제거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90100호에는 상기와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168717호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공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90100호에 공개된 종래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벽면이끼제거 유니트와 리트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를 도시한 부분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슬러지 수집기의 워크웨이에 결합되는 주프레임(210)과, 주프레임(210)에 결합되어 방류수로의 바닥면, 양 벽면 및 양 상부면을 닦는 이끼제거 유니트와, 이끼제거 유니트를 상부로 리프팅하는 리프팅장치(260)와, 리프팅장치(260)를 작동시켜 이끼제거 유니트의 위치를 제어하고 이끼제거 유니트를 작동시켜 방류수로의 이끼를 제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안됨)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을 닦는 바닥이끼제거 유니트(220)와, 방류수로의 벽면을 닦는 벽면이끼제거 유니트(240), 및 방류수로의 상부면을 닦는 상면이끼제거 유니트(2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이끼제거 유니트(220)는 주프레임(210)의 하부에 결합된 보조프레임(211)에 대해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하이동부재(212)와, 상하이동부재(212)에 대해 좌우회전이 가능한 연장부재(213), 및 연장부재(2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판형 바닥브러쉬(225)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이끼제거 유니트(240)는 상하이동부재(212)에 대해 좌우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좌우이동부재(243, 247)와, 한 쌍의 좌우이동부재(243, 247)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원통형 벽면브러쉬(244, 248)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이끼제거 유니트(230)는 주프레임(21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또 다른 상하이동부재(214)에 고정된 고정판(도시안됨)과, 고정판에 형성된 회전축에 대해 좌우로 롤링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236), 및 회전부재(236)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상면브러쉬(232, 233)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 제290100호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벽면브러쉬와 바닥브러쉬가 회전하여 방류수로의 좌, 우측의 벽면과 바닥면의 이끼를 동시에 제거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벽면과 바닥을 닦는 브러쉬를 분리 설치하여 브러쉬의 연결부재에 가해지는 오버로드를 감소시키므로 브러쉬의 과마모를 방지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류수로의 좌, 우측 상부면 높이가 다를 경우 상면이끼제거 유니트가 롤링하여 상면브러쉬가 방류수로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부면에 생성된 이끼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이끼제거 유니트를 승하강시킴에 있어서 와이어(263)를 이용하되, 이 와이어(263)를 와이어드럼(262)에 감거나 푸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와이어(263)가 와이어드럼(262)에서 종종 이탈함에 따라 이끼제거 유니트를 승하강시키는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상면이끼제거 유니트(230)의 위치를 세팅함에 있어서 별도의 세팅장치(280)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면이끼제거 유니트(230)를 구성하는 상면브러쉬(232, 233)가 마모되면, 세팅장치(280)의 핸들을 조작하여 상면브러쉬(232, 233)의 높낮이를 조정하였다. 즉, 상기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수동으로 상면브러쉬(232, 233)의 세척가능 범위를 설정하고 조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세척가능 범위를 정교하게 설정하거나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이러한 작업들을 상면브러쉬(232, 233)의 마모량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양쪽 상면브러쉬(232, 233)의 높낮이를 조정하더라도, 조정된 높낮이가 설정된 높이보다 높으며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낮으면 이끼가 제거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양 벽면의 높이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좌우로 롤링하는 구성요소들(롤링장치)로 해결이 가능하지만, 그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롤링장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상면브러쉬(232, 233)들 간의 간격조절이 불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방류수로의 웨어 플레이트(6) 간의 폭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즉, 상면브러쉬(232, 233)가 웨어 플레이트(6)를 덮어 그 부분이 파먹게 되어 브러쉬의 교체 주기를 앞당기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경우 밸런스 웨이트장치(270)가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 바닥이끼제거 유니트(220)와 벽면이끼제거 유니트(240)의 높낮이를 동시에 조절(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이끼제거 유니트(220) 만을 독립적으로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바닥이끼제거 유니트(220)의 자중이 바닥브러쉬(225)에 가해져 세척(이끼제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브러쉬(225)에 가해지는 세척력, 즉 하중을 조절할 수 없어 바닥브러쉬(225)와 모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한 쌍의 벽면브러쉬를 1개의 스프링의 동일 탄성력으로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방류수로의 내부 및 외부 벽면의 반경차이로 인해 각각의 벽면브러쉬에 가해지는 마찰력의 차이로 어느 한 쪽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한 쌍의 상면브러쉬가 좌우로 롤링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부방향으로 리프팅시킬 때에 한 쌍의 상면브러쉬가 좌우로 덜커덩거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브러쉬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자동 변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류수로의 바닥면 및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 또는 벽면간의 폭 간격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방류수로의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각 브러쉬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자동 변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동 변동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비롯하여 일체로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로 했던 구성요소들이 불필요하여 그 구동 메커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이끼제거 유니트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전달구조를 체인과 기어 간의 맞물림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이끼제거 유니트를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각각의 하중 조절장치를 통해 바닥브러쉬 및 상면브러쉬에 알맞은 하중을 조정하여 세척력 및 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 보상할 수 있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한 쌍의 벽면브러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각각의 스프링을 통해 각각 부여함에 따라 각각의 벽면브러쉬에 동일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한 쌍의 상면브러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각각의 스프링을 통해 각각 부여함에 따라, 웨어 플레이트 간의 폭 간격이 변동되더라도 각각의 상면브러쉬가 웨어 플레이트를 덮지 않고 웨어 플레이트 가까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상면에 부착된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자동식 이끼제거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 고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슬러지 수집기의 워크웨이에 결합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어 방류수로를 닦는 이끼제거 유니트와,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를 상부로 리프팅하는 리프팅장치, 및 상기 리프팅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를 작동시켜 방류수로의 이끼를 제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 고안의 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을 닦는 바닥브러쉬를 갖는 바닥이끼제거 유니트와, 방류수로의 양 벽면을 닦는 한 쌍의 벽면브러쉬를 갖는 벽면이끼제거 유니트 및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을 닦는 한 쌍의 상면브러쉬를 갖는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 고안은 상기 벽면이끼제거 유니트가 방류수로의 바닥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의 위치를 자동 변동시켜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의 원활한 주행을 돕는 밸런스 웨이트장치를 구비하고, 바닥이끼제거 유니트가 방류수로의 바닥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상기 바닥브러쉬의 위치를 자동 변동시켜 상기 바닥브러쉬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조정하고 상기 바닥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 보정하는 제1하중 조절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상면이끼제거 유니트가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각각 자동 변동시켜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각각 조정하고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의 마모량을 각각 자동 보정하는 한 쌍의 제2하중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의 리프팅장치는 체인과 와이어를 구비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는 동력전달 케이블과,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의 상기 체인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주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의 와이어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안은 바닥브러쉬,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 및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가 개별 모터의 동력을 각각 제공받아 각각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고안의 밸런스 웨이트장치 및 제1, 제2하중 조절장치는 일정 직경을 갖는 와이어 풀리와, 상기 와이어 풀리에 결합되며 직경이 상기 와이어 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와이어 드럼, 및 일측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측은 상기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에 고정된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각자의 상하이동부재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안의 벽면이끼제거 유니트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좌우측에 서로 간에 수평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 로드의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를 방류수로의 양 벽면 쪽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제1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고안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서로 간에 수평하거나 평행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 로드의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를 방류수로의 양 웨어 플레이트 쪽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고안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는 상기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의 하부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방류수로의 양 벽면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 바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고안은 각 브러쉬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자동 변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류수로의 바닥면 및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 또는 벽면간의 폭 간격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방류수로의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각 브러쉬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자동 변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동 변동을 위한 구성요소(종래의 세팅장치)들을 비롯하여 일체로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로 했던 구성요소(바닥브러쉬용 스프링)들이 불필요하여 그 구동 메커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이끼제거 유니트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전달구조를 체인과 기어 간의 맞물림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이끼제거 유니트를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각각의 하중 조절장치를 통해 바닥브러쉬 및 상면브러쉬에 가해지는 하중을 알맞게 조정하여 세척력 및 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한 쌍의 벽면브러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각각의 스프링을 통해 각각 부여함에 따라 각각의 벽면브러쉬에 동일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한 쌍의 상면브러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각각의 스프링을 통해 각각 부여함에 따라, 웨어 플레이트 간의 폭 간격이 변동되더라도 각각의 상면브러쉬가 웨어 플레이트를 덮지 않고 웨어 플레이트 가까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상면에 부착된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가 침전지의 방류수로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벽면이끼제거 유니트와 리프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를 도시한 부분정면도이고,
도 7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방류수로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바닥이끼제거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벽면이끼제거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2하중 조절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8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C 부분 및 D 부분의 확대도들이며,
도 23은 도 11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 이 고안에 따른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를 방류수로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슬러지 수집기의 워크웨이(7)에 결합되는 주프레임(310)과, 주프레임(310)에 결합되어 방류수로(2)의 바닥면(3), 양 벽면(4) 및 양 상부면(5)을 닦는 이끼제거 유니트와, 이끼제거 유니트를 상부로 리프팅하는 리프팅장치(360)와,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을 닦는 바닥이끼제거 유니트 (320)와, 방류수로(2)의 양 벽면(4)을 닦는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 및 방류수로(2)의 양 상부면(5)을 닦는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로 구성된다.
먼저,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바닥이끼제거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몸체의 역할을 하는 주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이런 주프레임(310)은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제1보조프레임(311)이 결합되어 있다.
제1보조프레임(311)에는 제1보조프레임(3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상하이동부재(312)가 결합되어 있고, 이런 제1상하이동부재(312)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부재(313)가 결합되어 있다.
좌우회전부재(313)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322)가 안착될 수 있는 연장부재(321)가 결합되어 있다. 이 연장부재(321)는 좌우회전부재(313)를 축으로 감싸고 있다. 그리고, 제1모터(322)에는 제1샤프트(323)가 결합되고, 이런 제 1샤프트(323)의 하단에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을 닦는 원판형 바닥브러쉬(325)가 결합된다.
한편, 바닥브러쉬(325)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대해 마찰력을 가지면, 그 회전방향의 벽면(4)쪽으로 접근한다. 그래서, 바닥브러쉬(325)의 상단에는 바닥브러쉬(325)가 양 벽면(4)에 밀착하는 것을 막고,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제1가이드 바퀴(32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벽면이끼제거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프레임(310)에는 주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상하이동부재(314)가 결합되어 있고, 이런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좌우측에는 서로 간에 수평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34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341)에는 제1좌우이동부재(343)가 각각 결합된다. 그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34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각각 장착되어 있어, 제1좌우이동부재(343)는 각각의 제1가이드부재(341)를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343)에는 제2모터(342)가 그 상단에 각각 안착되고, 이런 제2모터(342)와 연결되어 방류수로(2)의 양 벽면(4)을 닦는 한 쌍의 원통형 벽면브러쉬(344)가 그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일측과 제1좌우이동부재(343)의 일측 사이에는 제1가이드 로드(345)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가이드 로드(345)의 일측 단부는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가이드 로드(345)의 타측은 제1좌우이동부재(343)가 자유롭게 좌우이동할 수 있는 자유단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제1가이드 로드(345)의 둘레에는 제1스프링(346)이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1스프링(346)은 한 쌍의 원통형 벽면브러쉬(344)를 항상 일정하게 벽면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343)는 제1연결와이어(347)에 의해 주프레임(31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연결와이어(347)는 제1가이드부재(341)의 일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 롤러(348)를 각각 경유해 제1좌우이동부재(343)의 일측과 주프레임(310)의 하단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연결와이어(347)의 단부에는 스토퍼 겸 추의 역할을 하는 중량추(347a)가 하단의 고정부재(349)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와이어(347)가 경로를 바꾸는 지점에 제1가이드 롤러(348)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한 쌍의 제1연결와이어(347)가 마찰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배면에는 방류수로의 바닥면(3)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연장부재(도시안됨)가 결합되어 있고, 이 연장부재의 하단에는 제2가이드 바퀴(319)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2가이드 바퀴(319)는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가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함과 더불어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가 하강하여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과밀착하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는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2하중 조절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프레임(310)의 하부 중에서 제1보조프레임(311)과 대향하는 하부 타측면에는 서로 간에 평행한 한 쌍의 제2보조프레임(315)이 결합되어 있다.
제2보조프레임(315)에는 제2보조프레임(315)을 따라 상하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제3상하이동부재(316)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런 제3상하이동부재(316)에는 서로 간에 수평하거나 평행한 제2가이드부재(33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31)에는 제2좌우이동부재(33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33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각각 장착되어 있어,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333)는 각각의 제2가이드부재(331)를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333)에는 제3모터(332)가 그 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이런 제3모터(332)와 연결되어 방류수로(2)의 양 상부면(5)을 닦는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가 제3모터(332)의 회전축에 각각 체결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의 상부에는 이것을 보호하는 덮개(335)가 각각 씌워져 있다.
그리고, 제3상하이동부재(316)의 일측과 제2좌우이동부재(333)의 일측 사이에는 제2가이드 로드(336)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가이드 로드(336)의 일측 단부는 제3상하이동부재(316)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2가이드 로드(336)의 타측은 제2좌우이동부재(333)가 자유롭게 좌우이동할 수 있는 자유단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제2가이드 로드(336)의 둘레에는 제2스프링(337)이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한 쌍의 제2스프링(337)은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를 항상 일정하게 웨어 플레이트(6)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31)는 제2연결와이어(338)에 의해 한 쌍의 제2보조프레임(315)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연결와이어(338)의 단부에는 스토퍼 겸 추의 역할을 하는 중량추(338a)가 하단의 고정부재(338b)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333)에는 그 하부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재(339)가 고정되고, 이 한 쌍의 연장부재(339)의 단부에는 방류수로(2)의 양 벽면(4)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 바퀴(339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끼제거 유니트(320, 330, 340)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여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8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C 부분 및 D 부분의 확대도들이며, 도 23은 도 11에 도시된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프레임(310)의 상부부위에는 제1, 제2, 제3상하이동부재(312, 314, 31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장치(3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리프팅장치(360)는 체인(361a)과 와이어(361b) 및 승하강 로드(361c)로 구성된 동력전달 케이블(361)과,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에 맞물린 상태로 동력전달 케이블(361)을 회전시키는 기어축(362)과, 이런 기어축(36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모터(363), 및 주프레임(310)의 하단에 고정되어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와이어(361b)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롤러(36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 케이블(361)은 제1, 제2, 제3상하이동부재(312, 314, 316)를 일정 높낮이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체인(361a)과, 체인(361a)의 일측에 고정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와이어(361b), 및 일단은 체인(361a)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와이어(361b)에 고정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는 승하강로드(361c)로 구성된다. 여기서, 승하강로드(361c)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제1고정부재(314a)를 관통하여 일정 범위(A) 내에서 자유롭게 승하강 가능하다. 여기서, 일정 범위 A는 수로의 가장 깊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의 차이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이 실시예의 리프팅장치(360)는 제1, 제2, 제3상하이동부재(312, 314, 316)를 승하강시킴에 있어서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이 기어축(362)의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체인과 기어 간의 맞물림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이 기어축(362)의 기어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체인과 기어 간의 맞물림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 제2, 제3상하이동부재(312, 314, 316)의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의 승하강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프레임(310)의 최상부에는 밸런스 웨이트장치(3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밸런스 웨이트장치(370)는 주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2상하이동부재(314)에 결합되는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의 높낮이를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밸런스 웨이트장치(370)는 직경이 큰 제1와이어 풀리(371)와, 이런 제1와이어 풀리(371)에 결합되며 직경이 제1와이어 풀리(37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1와이어 드럼(372)과, 이런 제1와이어 드럼(372)에 결합되는 손잡이(373), 및 일측은 제1와이어 드럼(372)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측은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른 일측은 제1와이어 풀리(371)에 고정되어 감기고 다른 타측은 추가 연결된 도르래를 거쳐 주프레임(310)의 일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와이어(374)로 구성된다. 따라서, 벽면브러쉬(344)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의 높낮이 변동에 따라 도르래의 원리로 작동하는 밸런스 웨이트장치(370)로 인해 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정되어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와이어(37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하이동부재(314)로부터 돌출 고정된 제1고정부재(314a)에 고정된다. 이때, 제1고정부재(314a)는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정면에 고정되고,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좌우측에는 고정바(314b)가 각각 고정된다.
한편, 제1고정부재(314a)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후술할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의 하부쪽으로 이동범위를 제한함과 더불어 리프팅장치(360)를 통해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를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와 함께 승강시키는데 이용되는 제1로드(31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바(314b)에는 일정 길이 하부로 연장되어 후술할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의 하부쪽으로 이동범위를 제한함과 더불어 리프팅장치(360)를 통해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를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와 함께 승강시키는데 이용되는 제2로드(318)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프레임(311)의 최상부에는 제1하중 조절장치(38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제1하중 조절장치(380)는 제1보조프레임(3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1상하이동부재(312)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가해지는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의 하중을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하중 조절장치(380)는 직경이 큰 제2와이어 풀리(381)와, 이런 제2와이어 풀리(381)에 결합되며 직경이 제2와이어 풀리(38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와이어 드럼(382), 및 일측은 제2와이어 드럼(382)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측은 제1상하이동부재(312)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른 일측은 제2와이어 풀리(381)에 고정되어 감기고 다른 타측은 추가 연결된 도르래를 거쳐 제1보조프레임(311)의 일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와이어(383)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하중 조절장치(380)는 도르래의 원리를 통한 추의 무게 조절로 인해 바닥브러쉬(325)가 바닥면에 가해지는 조절된 하중으로, 원활한 이끼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바닥브러쉬(325)의 마모량에 따라 그 위치가 자동 보상되도록 한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하이동부재(312)의 타측에는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제2고정부재(312a)가 고정된다. 여기서, 제2고정부재(312a)에는 제1로드(317)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되 제1로드(317)의 하단에 결합된 제1너트(317a)에는 걸리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는 제2고정부재(312a)의 하단과 제1로드(317)의 제1너트(317a) 간의 거리(Y)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즉, 바닥브러쉬(325)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의 높낮이 변동에 따라 도르래의 원리로 작동하는 제1하중 조절장치(380)로 인해 바닥면에 일정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보조프레임(315)의 최상부에는 제2하중 조절장치(39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런 제2하중 조절장치(390)는 제2보조프레임(31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3상하이동부재(316)에 결합되어 상면에 가해지는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의 하중을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하중 조절장치(390)는 직경이 큰 제3와이어 풀리(391)와, 이런 제3와이어 풀리(391)에 결합되며 직경이 제3와이어 풀리(39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3와이어 드럼(392), 및 일측은 제3와이어 드럼(392)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측은 제3상하이동부재(316)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며 다른 일측은 제3와이어 풀리(391)에 고정되어 감기고 다른 타측은 추가 연결된 도르래를 거쳐 제2보조프레임(315)의 일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와이어(393)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하중 조절장치(390)는 도르래의 원리를 통한 원하는 무게 조절로 인해 상면브러쉬(334)가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되어, 원활한 이끼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면브러쉬(334)의 마모량에 따라 그 위치가 자동 보상되도록 한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상하이동부재(316)의 타측에는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제3고정부재(316a)가 고정된다. 여기서, 제3고정부재(316a)에는 제2로드(318)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되 제2로드(318)의 하단에 결합된 제2너트(318a)에는 걸리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면이끼제거 유니트(330)는 제3고정부재(316a)의 하단과 제2로드(318)의 제2너트(318a) 간의 거리(X)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면브러쉬(334)는 방류수로(2)의 상부면(5)의 높낮이 변동에 따라 도르래의 원리로 작동하는 제2하중 조절장치(390)로 인해 상면에 일정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한편, 주프레임(310)과 제1보조프레임(311)의 결합부위에는 제2상하이동부재 (314)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된 감지센서 및 제1 내지 제4모터(322, 342, 332, 363)는 각각 제어장치(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류수로(2)에 배치될 수 있도록 워크웨이(7)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을 온(ON)하면, 제어장치에 의해 제4모터(363)가 작동하여 리프팅장치(360)의 기어축(362)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초기에 세팅된 회전수 또는 시간만큼 기어축(362)이 회전하면서 동력전달 케이블(361)을 회전시킨다. 즉, 제2가이드 바퀴(319)가 방류수로(2)의 바닥면(4)에 맞닿는 지점까지 동력전달 케이블(361)을 회전시킨다. 이때, 기어축(362)의 회전수는 경사진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의 가장 하부지점를 기준으로 초기에 세팅한다.
상기와 같이 제2가이드 바퀴(319)가 방류수로(2)의 바닥면(4)에 맞닿으면, 각각의 이끼제거 유니트(320, 330, 340)와 밸런스 웨이트장치(370) 및 제1, 제2하중 조절장치(380, 390)에 의해 해당 브러쉬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바닥브러쉬(325)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4)에 맞닿고, 상면브러쉬(334)는 방류수로(2)의 양 상부면(5)에 맞닿는다. 한편,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343)에 각각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347)가 일정한 길이로 세팅된 상태이기 때문에, 벽면이끼제거장치(340)가 하강하면서 한 쌍의 제1연결와이어(347)는 각각 느슨해진다. 동시에 중량추(347a)가 아랫방향으로 제1연결와이어(347)를 각각 당김에 따라 제1연결와이어(347)가 일직선으로 펴지고, 그로 인해 제1연결와이어(347)가 벽면브러쉬(344)에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면, 한 쌍의 제1스프링(346)이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343)를 좌, 우측 벽면쪽으로 각각 밀어줌에 따라, 한 쌍의 벽면브러쉬(344)는 방류수로(2)의 양 벽면(4)에 각각 맞닿는다.
또한, 한쌍의 제2좌우이동부재(333)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338)가 일정한 길이로 세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면이끼제거장치(330)가 하강하면서 제2연결와이어(338)는 느슨해진다. 동시에 중량추(338a)가 아랫방향으로 제2연결와이어(338)를 각각 당김에 따라 제2연결와이어(338)가 일직선으로 펴지고, 그로 인해 제2연결와이어(338)가 상면브러쉬(334)에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면, 한 쌍의 제2스프링(337)이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333)를 좌, 우측 웨어 플레이트(6)쪽으로 각각 밀어줌에 따라,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는 방류수로(2)의 양 웨어 플레이트(6)에 각각 맞닿는다.
이와 같이 이끼제거장치가 방류수로에 설치되면, 제어장치에 의해 제1 내지 제3모터(322, 342, 332)가 각각 작동된다. 즉, 바닥브러쉬(325)는 맞닿는 방류수로의 바닥면(3)을 닦게 되고, 한 쌍의 벽면브러쉬(344)중에서 우측면의 브러쉬는 시계방향으로, 좌측면의 브러쉬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양 벽면(4)을 닦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는 방류수로(2)의 양 상부면(5)에 맞닿으면서 회전하여 양 상부면(5)을 닦는다.
상기와 같이,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가 워크웨이(7)에 결합되어 방류수로(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류수로(3)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방류수로(2)를 닦다가, 방류수로(2)의 바닥면(3)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면, 밸런스 웨이트장치(370) 및 제1하중 조절장치(380)가 작동하여 벽면이끼제거 유니트(340)와 바닥이끼제거 유니트(320)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한다. 또한, 시공여건상의 이유로 방류수로의 좌, 우측의 상부면(5)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각자의 제2하중 조절장치(390)가 각각 회전하여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가 양 상부면(5)에 밀착하면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시공여건상의 이유로 양 벽면 간의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양 벽면으로 미는 제2 스프링(337)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제3가이드바퀴(339a)가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따라 방류수로(2)에 대한 이끼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제어장치에 의해 제1모터 내지 제3모터(322, 342, 332)는 정지된다. 그러면, 바닥브러쉬(325), 한 쌍의 벽면브러쉬(344) 및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제4모터(363)가 작동하여 기어축(362)을 통해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이 회전하다가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승하강로드(361c)의 단부에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고정부재(314a)가 걸쳐지고, 그 이후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의 동력에 의해 제2상하이동부재(314)가 상부방향으로 리프팅된다. 그러다가 제1, 제2로드(317, 318)의 너트(317a, 318a)에 제2, 제3 고정부재(312a, 316a)가 각각 걸쳐지고, 그 이후 동력전달 케이블(361)의 체인(361a)의 동력에 의해 제1상하이동부재(312), 제3상하이동부재(316) 및 제2상하이동부재(314)가 상부방향으로 함께 리프팅된다. 이때, 벌어져 있던 한 쌍의 벽면브러쉬(344)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한 쌍의 상면브러쉬(334) 또한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제2, 제3상하이동부재(312, 314, 316)가 위쪽으로 이동하다가 감지센서가 제2상하이동부재(314)의 위치를 감지하면, 제4모터(363)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운전 중이 아닌 대기상태에서는 방류수로(3)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는 설치조건으로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 및 원형침전지에 사용한다고 설명했지만, 방류수로가 직선형태를 이루는 각종 사각형 침전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310 : 주프레임 320 : 바닥이끼제거 유니트
330 : 상면이끼제거 유니트 340 : 벽면이끼제거 유니트
360 : 리프팅장치 370 : 밸런스 웨이트장치
380 : 제1하중 조절장치 390 : 제2하중 조절장치

Claims (7)

  1. 슬러지 수집기의 워크웨이에 결합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어 방류수로를 닦는 이끼제거 유니트와,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를 상부로 리프팅하는 리프팅장치, 및 상기 리프팅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를 작동시켜 방류수로의 이끼를 제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을 닦는 바닥브러쉬를 갖는 바닥이끼제거 유니트와, 방류수로의 양 벽면을 닦는 한 쌍의 벽면브러쉬를 갖는 벽면이끼제거 유니트, 및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을 닦는 한 쌍의 상면브러쉬를 갖는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벽면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의 높낮이 위치를 자동 변동시켜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의 원활한 주행을 돕는 밸런스 웨이트장치와, 상기 밸런스 웨이트장치와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가 상기 바닥면에 과밀착되는 것을 예방하는 제2가이드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바닥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한 추의 무게 조절방식으로 상기 바닥브러쉬의 높낮이 위치를 자동 변동시켜 상기 바닥브러쉬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조정하여 상기 바닥브러쉬의 마모량을 자동 보정하는 제1하중 조절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는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한 추의 무게 조절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의 높낮이 위치를 개별적으로 각각 자동 변동시켜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각각 조정하여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의 마모량을 각각 자동 보정하는 한 쌍의 제2하중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팅장치는 체인과 와이어를 구비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는 동력전달 케이블과,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의 상기 체인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주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의 와이어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장치, 제1하중 조절장치 및 제2하중 조절장치는 일정 직경을 갖는 와이어 풀리와, 상기 와이어 풀리에 결합되며 직경이 상기 와이어 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와이어 드럼과, 일측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측은 상기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에 고정된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각자의 상하이동부재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와이어 풀리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측은 추가 연결된 도르래를 거쳐 상기 주프레임, 제1보조프레임 또는 제2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또다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브러쉬,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 및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는 개별 모터의 동력을 각각 제공받아 각각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면이끼제거 유니트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좌우측에 서로 간에 수평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부재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1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 로드의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벽면브러쉬를 방류수로의 양 벽면 쪽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제1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서로 간에 수평하거나 평행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의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 로드의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상면브러쉬를 방류수로의 양 웨어 플레이트 쪽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면이끼제거 유니트는 상기 한 쌍의 제2좌우이동부재의 하부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방류수로의 양 벽면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 바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KR20110005324U 2011-06-15 2011-06-15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KR200460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5324U KR200460615Y1 (ko) 2011-06-15 2011-06-15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5324U KR200460615Y1 (ko) 2011-06-15 2011-06-15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615Y1 true KR200460615Y1 (ko) 2012-06-08

Family

ID=4750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05324U KR200460615Y1 (ko) 2011-06-15 2011-06-15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61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312A (ja) 1997-04-03 1998-10-20 Mitsuhiro Fujiwara 円形沈澱池等用の清掃装置
KR200175486Y1 (ko) 1999-10-18 2000-03-15 박양순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200290100Y1 (ko) * 2002-06-24 2002-09-2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312A (ja) 1997-04-03 1998-10-20 Mitsuhiro Fujiwara 円形沈澱池等用の清掃装置
KR200175486Y1 (ko) 1999-10-18 2000-03-15 박양순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200290100Y1 (ko) * 2002-06-24 2002-09-2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816Y1 (ko)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KR100798080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원형 침전지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200460615Y1 (ko)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US4005019A (en) Gravitational separator
KR100796370B1 (ko)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CN102515290A (zh) 四索式格栅除污机
KR200290100Y1 (ko)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KR200168717Y1 (ko) 전자동식이끼제거장치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KR101545548B1 (ko) 평면 스크린 장치
CN113023568A (zh) 一种电动单梁悬挂桥式起重机
CN109044180B (zh) 一种智能型家用擦玻璃设备
KR200290101Y1 (ko)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KR20020078845A (ko) 일체형 자중 제진기
DE3539858C1 (en) Washing apparatus for cleaning the outlet channels of secondary clarifying tanks
KR100826996B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KR200239062Y1 (ko)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CN115262498B (zh) 一种一体化泵闸专用清污装置
JP3491072B1 (ja) 汚泥掻寄装置
CN220658635U (zh) 一种水渠自动清洗装置
KR102575450B1 (ko) 직진성 확보형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
KR200201940Y1 (ko) 오니 제거기
CN217828988U (zh) 桁车刮泥机
CN220574120U (zh) 槽道清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