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101Y1 -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101Y1
KR200290101Y1 KR2020020019034U KR20020019034U KR200290101Y1 KR 200290101 Y1 KR200290101 Y1 KR 200290101Y1 KR 2020020019034 U KR2020020019034 U KR 2020020019034U KR 20020019034 U KR20020019034 U KR 20020019034U KR 200290101 Y1 KR200290101 Y1 KR 200290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moss removal
discharge channel
removal device
remo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열
Original Assignee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9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101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류수로의 폭과 높낮이가 달라지더라도 양 벽면과 양 상부면에 생성된 이끼의 제거효율이 높은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방류수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대차(201)와, 대차(201)에 결합되어 방류수로의 바닥면(3), 양 벽면(4) 및 양 상부면(5)을 닦는 이끼제거유니트 및, 대차(201)의 이동과 이끼제거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이끼제거유니트는 이송바퀴(205)에 맞물려 회전하는 바닥브러쉬(207)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바닥면(3)을 닦는 바닥이끼제거유니트와; 대차(201)에 대해 좌우이동이 가능한 좌우이동부재(233, 237)와, 좌우이동부재(233, 237)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벽면브러쉬(234, 238)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양 벽면(4)을 닦는 벽면이끼제거유니트(230)와; 대차(201)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이동부재(252)에 고정된 고정판(261)과, 고정판(261)에 형성된 회전축(258)에 대해 좌우로 롤링이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260) 및, 회전부재(26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상면브러쉬(256, 257)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을 닦는 상면이끼제거유니트(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력식 이끼제거장치{A movable algal remover}
본 고안은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수처리 및 폐수처리시설의 방류수로에 설치되어 동력식으로 이끼를 제거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를 위한 침전지는 하수처리장치와 고정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런 고정구조물은 침전지와 방류수로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 침전지와, 침전지와 방류수로가 직선형태를 가진 사각형 침전지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침전지의 방류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고정구조물은 침전지의 외곽을 원형으로 둘러싼 둑(1)과, 그러한 둑으로부터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형성된 방류수로(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침전지의 방류수로(2)는 바닥면(3)과 양 벽면(4)과 양 상부면(5) 및 웨어 플레이트(6)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류수로(2)의 웨어 플레이트(6)는 침전지의 물이 방류수로의 내주로 흘러 넘칠 수 있도록 V자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수처리장치에 이용되는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와 중심구동형 슬러지 수집기가 있다.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침전지의 반지름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워크웨이(8)가 침전지의 둘레를 회전하면서 가라앉은 침전물을 끌어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면, 중심구동형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의 중앙에 슬러지 수집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7)가 위치하고, 워크웨이(8)가 침전지 중앙의 구동부(7)와 침전지 외곽의 둑(1)에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에 사용되는 이끼제거장치는 침전지 주변을 구동하고 있는 워크웨이(8)에 부착되어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방류수로(2)를 선회한다. 하지만, 중심구동형 슬러지 수집기에 사용되는 이끼제거장치는 시설 구조상 워크웨이(8)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방류수로(2)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런 중심구동형 슬러지 수집기에서는 기존 침전지 시설물과 관련없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100)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100)는 침전지 중앙에 위치한 슬러지 수집기의 구동부(7)로부터 전선(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런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18316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18316호에 공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100)는 전선(10)이 이끼제거장치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전선안내관(102)을 설치하고, 대차(101)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모터(103)에 전선(1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모터(103)는 체인(108)에 의해 배분기어(109)에 맞물리고, 이런 배분기어(109)는 이송바퀴(104, 105)에 연결된다. 즉, 종래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100)는 제1모터(103)의 회전력으로 이송바퀴(104, 105)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고, 전방 이송바퀴(104)는 체인에 맞물려 전방 바닥브러쉬(106)를 회전시키고, 그로 인해 전방 바닥브러쉬(106)가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후방 이송바퀴(105)도 후방 바닥브러쉬 (107)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그로 인해 후방 바닥브러쉬(107) 또한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1)의 상단에는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5)을 닦는 상면브러쉬유니트(110, 12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런 상면브러쉬유니트(110, 120)는 전방 상면브러쉬유니트(110)와 후방 상면브러쉬유니트 (120)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상면브러쉬유니트(110)는 대차의 상단에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연결부재(111)를 구비하고, 이런 연결부재(111)의 양쪽 단부에는 제1샤프트(1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샤프트(112)에는 상면브러쉬(114)가 고정되는 상면브래킷 (113)이 체결된다.
이렇게 전방 상면브러쉬유니트(110)를 구성함으로써, 상면브러쉬(114)가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5)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그리고, 후방 상면브러쉬유니트(120)는 전방 상면브러쉬유니트(110)와 동일한 구성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후방 상면브러쉬가 방류수로에 접하는 위치를 달리하여 방류수로의 경사면과 웨어 플레이트를 닦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1)에는 제2샤프트(133)가 방류수로의 폭방향을 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런 제2샤프트(133)의 양쪽 단부에는 벽면브러쉬(131)가 고정된 벽면브래킷(132)이 방류수로의 높이방향과 동일한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벽면브러쉬유니트(130, 140)는 방류수로의 벽면의 윗쪽 영역에 위치하는 상부 벽면브러쉬유니트(130)와, 아랫쪽 벽면에 위치하는 하부 벽면브러쉬유니트(140)로서, 방류수로의 양 벽면(4)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대차(101)에는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가이드부재(150, 151)가 설치된다. 이런 가이드 부재(150, 151)는 방류수로의 벽면에 대응하면서, 이끼제거장치가 방류수로를 따라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100)는 방류수로(2)에 운전대기 상태로 있다가, 전원이 공급되면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제1모터(1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방류수로(2)를 선회한다.
이렇게 이끼제거장치(100)가 방류수로(2)를 1회 선회하여 워크웨이(8)의 하단지점의 근처에서 대차(101)에 부착된 센서가 스톱퍼(9)을 인식하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정지한다. 그런 다음, 제1모터(103)가 역회전함에 따라, 동력식 이끼제거장치(100)는 방류수로를 역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이끼를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이동에 따라 다수의 브러쉬(110, 120, 130, 140)들이 단지 끌려가면서 방류수로의 벽면(4)과 양상부면(5)을 닦기 때문에 이끼제거율이 저조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토목시공상의 이유로 방류수로의 폭이 변할 경우, 벽면브러쉬들이 방류수로의 벽면에 긴밀하게 접촉하지 못해 이끼제거가 원활하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토목시공상의 이유로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의 높낮이가 달라질 경우, 상면브러쉬가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에 접하지 못하고 들떠서 이끼제거가 원활하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제1모터(103)의 구동력이 다수의 체인을 통해 바닥브러쉬(106, 107)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 체인이 이완되어 동력전달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방류수로의 폭에 연동하여 양 벽면브러쉬간의 폭이 수축과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류수로의 폭변화에 무관하게 양 벽면에 생성된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의 높낮이가 달라지더라도 상면브러쉬가 롤링하여,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에 밀착하여 효율적인 이끼제거가 가능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침전지의 방류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바닥이끼제거유니트의 동력전달관계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벽면이끼제거유니트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면이끼제거유니트의 체결부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방류수로 7 : 구동부
100, 200, 300 : 이끼제거장치
106, 107 : 바닥브러쉬
110, 120 : 상면브러쉬유니트 130, 140 : 벽면브러쉬유니트
201 : 대차 205, 209 : 이송바퀴
211 : 제1체인 221, 222 : 가이드 부재
230 : 벽면이끼제거유니트 233, 237 : 좌우이동부재
234, 238 : 벽면브러쉬
250 : 상면이끼제거유니트 251 : 프레임
256, 257 : 상면브러쉬 258 : 회전축
259 : 회전제한부재 260 : 회전부재
270 : 밸런스 웨이트장치 320 : 센터브러쉬유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에 다수의 이송바퀴가 설치되어 방류수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에 안착된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바퀴에 전달하여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는 수로이동유니트와, 상기 대차에 결합되어 방류수로의 바닥면, 양 벽면 및 양 상부면을 닦는 이끼제거유니트 및, 상기 대차의 이동과 상기 이끼제거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끼제거유니트는 상기 이송바퀴에 맞물려 회전하는 3개의 원통형 바닥브러쉬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바닥면을 닦는 바닥이끼제거유니트와; 상기 대차에 대해 좌우이동이 가능한 1쌍의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1쌍의 좌우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1쌍의 원통형 벽면브러쉬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양 벽면을 닦는 벽면이끼제거유니트와; 상기 대차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이동부재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회전축에 대해 좌우로 롤링이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1쌍의 원통형 상면브러쉬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을 닦는 상면이끼제거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쌍의 좌우이동부재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둘레에는 상기 1쌍의 좌우이동부재를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부재는 좌우로 롤링이 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바퀴의 구동력은 상기 이송바퀴의 기어와, 상기 바닥브러쉬의 기어 및 상기 기어들의 사이에서 맞물려 작동하는 또 다른 기어를 통해 상기 바닥브러쉬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바퀴의 축과 상기 바닥브러쉬의 축은 상기 축들에 대해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체결판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 제1 실시예 〉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종래와 동일하게 슬러지 수집기의 중앙에 있는 구동부의 전원을 전선을 통해 공급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는 방류수로(2)에 배치되어 있을 때, 물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프레임틀로 이루어진 대차(201)가 몸체의 역할을 한다. 이런 대차(201)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안내관(202)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선이 다른 장치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런 전선 안내관(202)을 통해, 전선은 대차(201)에 설치된 제1모터(203) 및 대차(201)의 전, 후방에 각각 위치한 제2 내지 제4모터(232, 236, 254)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모터(203)는 제1체인(211)에 의해 배분기어(204)와 맞물려 있다. 이런 배분기어(204)는 제1모터(203)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제3체인(212, 213)과 체결된 이송바퀴(205, 209)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제2, 제3체인(212, 213)에 의해 연결된 이송바퀴(205, 209)는 제1모터(203)에서 발생된 회전력으로 구동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바닥이끼제거유니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바닥이끼제거유니트의 동력전달관계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이끼제거유니트는 전방에 위치한 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로 구성되는데, 아래에서는 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다.
전방 이송바퀴(205)는 축과 원형의 바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방 이송바퀴(205)의 축에는 배분기어(204)와 맞물린 제2체인(212)과, 전방 바닥브러쉬(207)와 체결된 사각 체결판(208)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사각 체결판(208)은 전방 이송바퀴(205)의 축에 대해 베어링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 체결판(208)은 원통형 전방 바닥브러쉬(207)와 베어링 결합되어 있어, 전방 바닥브러쉬(207)의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전방 바닥브러쉬(207)와 전방 이송바퀴(205)의 축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이런 전방 바닥브러쉬(207)의 기어와 전방 이송바퀴(205)의 기어의 사이에는 중간기어(206)가 맞물려 있어서, 전방 이송바퀴(205)의 회전 구동력이 원통형 전방 바닥브러쉬(207)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는 대차(201)에 부착된 세팅장치(214)를 포함하는데, 이런 세팅장치(214)는 너트와 볼트형식으로 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와 체결되어, 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전방 바닥브러쉬(207)의 위치를 세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는 전방 바닥브러쉬(207)가 닦지 못한 부분을 닦을 수 있도록, 사각 체결판(208)의 외측에 두 개의 원통형 후방 바닥브러쉬(210)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방 바닥이끼제거유니트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벽면이끼제거유니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벽면이끼제거유니트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01)의 앞단에는 연결부재(231)가 고정되어 있고, 이런 연결부재(231)에는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놓여진 평면부재(235)가 고정되어 있다. 이런 평면부재(235)의 좌, 우측에는 제3, 제4모터(232, 236)가 안착되는 좌우이동부재(233, 237)가 결합되고, 제3, 제4모터(232, 236)에는 벽면브러쉬(234, 238)가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좌우이동부재(232, 237)의 사이에는 가이드 로드가 결합되고, 이 가이드 로드의 둘레에는스프링(239)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239)은 좌우이동부재(233, 237)를 외측방향(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밀어 1쌍의 원통형 벽면브러쉬(234, 238)가 방류수로의 벽면(4)에 일정한 힘으로 접하게 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상면이끼제거유니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면이끼제거유니트의 체결부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01)의 뒤단에는 프레임(251)이 위치한다. 프레임(251)의 하부에는 프레임(2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부재(252)가 결합되어 있다. 이런 상하이동부재(252)에는 회전축(258)이 일체로 결합된 고정판(261)이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 회전축(258)은 지지부재(253)가 부착된 사각형 회전부재(260)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부재(260)는 회전축(258)에 베어링 결합되어 있어, 회전축(258)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롤링이 가능하다. 하지만, 회전부재(260)는 상하이동부재(252)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제한부재(259)에 의해 과도한 회전이 제한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60)는 상면브러쉬(256, 257)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254)가 안착되는 지지부재(253)에 결합된다. 이 지지부재(253)의 내부에는 그 횡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샤프트(255)가 설치되어 있고, 이런 샤프트(255)는 제2모터(25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255)의 좌, 우측에는 방류수로(2)의 양 상부면(5)을 닦는 원통형 상면브러쉬(256, 257)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이런 상면브러쉬(256, 257)의 상부에는 이것을 보호하는 덮개가 씌워져 있다.(도 6참조)
그리고, 본 고안은 샤프트(255)에 결합되는 상면브러쉬(256, 257)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침전지의 형태에 따라 방류수로(2)의 상부면(5)을 닦는 상면브러쉬가 샤프트(255)의 한 쪽에만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251)의 최상단의 측면에는 밸런스 웨이트장치(2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밸런스 웨이트장치(270)에는 제1와이어(271)가 결합되어 있어, 상하이동부재(25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밸런스 웨이트장치(270)가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부재(252)에 결합된 상면이끼제거유니트(2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참조)
그리고, 대차(201)에는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가이드부재(221, 222)가 설치된다. 가이드부재(221, 222)는 방류수로의 벽면(4)에 대응하여,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방류수로를 따라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도와준다.(도 6참조)
그리고, 대차(201)의 한 측면에는 센서(223, 2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센서(223, 224)가 스톱퍼를 인식하면,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는 더 이상 구동하지 않고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를 침전지의 방류수로(2)에 설치한다. 이때,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는 침전지에 고정된워크웨이(8)의 하부지점이고, 이 곳에는 방류수로(2)의 벽면을 가로질러 스톱퍼(9)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가 방류수로(2)에 설치되면,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의 각각의 브러쉬들은 방류수로의 바닥면(3), 양 벽면(4) 및 양 상부면(5)에 접촉하게 된다.
즉, 바닥브러쉬(207, 210)는 방류수로의 바닥면(3)에 접하게 된다. 만약, 바닥브러쉬의 마모 등의 이유로 바닥브러쉬(207)가 방류수로의 바닥면과 접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에 세팅장치(214)의 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바닥브러쉬(207)의 위치를 세팅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면브러쉬(234, 238)는 좌우이동부재(233, 237)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39)의 장력에 의해 방류수로의 양 벽면(4)에 밀착하여 접하게 된다.
이렇게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에 결합된 각각의 브러쉬들이 방류수로에 맞닿은 상태에서, 슬러지 수집기의 중앙에 있는 구동부(7)으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선(10)과 연결된 제1 내지 제4모터(203, 254, 232, 236)가 각각 작동된다.
제1모터(203)가 작동되면, 제1체인(211)에 의해 배분기어(204)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배분기어(204)는 전, 후방 이송바퀴(205, 209)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이송바퀴(205, 209)가 회전함에 따라,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방류수로를 따라 선회한다. 그리고, 바닥브러쉬(207, 210)는 중간기어(206)에 의해 이송바퀴(205, 209)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방류수로의 바닥면(3)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2모터(254)는 상면브러쉬(256, 257)를 회전시켜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5)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이렇게 상면브러쉬(256, 257)가 방류수로의양 상부면(5)를 닦다가,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5)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좌, 우측 상면브러쉬(256, 257)는 회전축(258)을 중심으로 롤링하게 된다. 즉, 상면브러쉬(256, 257)가 롤링하여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5)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3모터(236)는 우측에 위치한 벽면브러쉬(23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4모터(232)는 좌측에 위치한 벽면브러쉬(23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방류수로의 양 벽면(4)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또한, 방류수로가 시공여건에 따라 방류수로의 폭이 달라지더라도, 벽면브러쉬(234, 238)는 좌우이동부재(233, 237)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39)의 장력에 의해 방류수로의 양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는 중심구동형 침전지의 방류수로(2)를 따라 선회하면서 이끼를 제거하는데, 이때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부재(221, 222)에 의해 대차(201)가 벽면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방류수로를 따라 원활하게 선회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따라,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가 방류수로를 일주하고 나면, 센서(223, 224)가 스톱퍼(9)를 인식하고 이끼제거장치는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워크웨이(8)의 하단지점에서 정지한다. 이렇게 방류수로의 일주한 후에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정지하는 것은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동일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선회함에 따라,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0)이 침전지에 고정된 워크웨이(8)에 걸리거나 꼬여서 단선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다.(도 1참조)
그래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가 방류수로를 일주하고 정지하면, 제어장치는 모터를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는 침전지의 방류수로를 역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동력식 이끼제거장치가 다시 방류수로를 역선회하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브러쉬들이 마모되면, 언제든지 분리하여 교환이 가능하고, 방류수로의 여건에 따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200)는 설치조건으로 중심구동형 슬러지 수집기와 원형침전지에 사용한다고 설명했지만, 방류수로가 직선형태를 이루는 각종 사각형 침전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 장치(300)는 전선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전선안내관을 설치하고, 대차(301)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모터(303)에 전선(10)을 연결한다. 제1모터(303)는 체인(308)들에 의해 이송바퀴(304, 305)에 체결된다. 즉, 동력식 이끼제거장치(300)는 제1모터(303)의 회전력으로 이송바퀴(304, 305)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고, 전방 이송바퀴(304)는 체인에 맞물려 전방 바닥브러쉬(306)를 회전시키고, 그로 인해 전방 바닥브러쉬(306)가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후방 이송바퀴(305)도 후방 바닥브러쉬 (307)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그로 인해 후방 바닥브러쉬(307) 또한 방류수로(2)의 바닥면(3)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대차(301)의 선단부에는 센터브러쉬유니트(320)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좌우회전부재(324)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회전부재(324)에는 제2모터(323)가 안착되는 연결부재(322)가 결합되고, 이런 제2모터(323)는 방류수로(2)의 바닥면(3) 및 양 벽면(4)을 닦는 센터브러쉬(321)에 체결된다.
그리고, 대차(301)의 후단부에는 프레임(336)이 위치한다. 이러한 프레임(336)에는 프레임(336)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하이동부재(335)가 결합되고, 이런 상하이동부재(335)는 지지부재(334)와 체결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34)에는 제3모터(333)가 안착되고, 지지부재(334)의 내부에는 그 횡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샤프트(332)가 설치되고, 샤프트(332)의 단부에는 방류수로(2)의 양 상부면(5)을 닦는 상면브러쉬(331)가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336)의 최상부에는 밸런스 웨이트장치(33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밸런스 웨이트장치(338)는 프레임(336)의 하부에 위치한 상면이끼제거유니트(3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대차(301)에는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가이드부재(326)가 설치된다. 이런 가이드 부재(326)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300)가 방류수로의 양 벽면(4)에 충돌되지 않으면서 방류수로를 따라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식 이끼제거장치(300)는 방류수로(2)에 운전대기 상태로 있다가, 전원이 공급되면 동력식 이끼제거장치(300)의 내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모터(303, 323, 333)가 회전한다. 그러면, 동력식 이끼제거장치(300)는 방류수로(2)를 따라 선회하고, 방류수로의 바닥면(3), 벽면(4) 및 양 상부면(5)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즉, 센터브러쉬(321)은 방류수로의 바닥면(3)과 벽면(4)을 닦고, 상면브러쉬(331)는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5)을 닦게 된다.
이렇게 동력식 이끼제거장치(300)가 방류수로(2)를 일주하면, 워크웨이(8)의 하단지점의 근처에서 대차(301)에 부착된 센서(327)가 스톱퍼(9)를 인식하여 더 이상 구동되지 않고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303, 323, 333)를 역회전시키면,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300)는 방류수로를 역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때, 센터브러쉬(32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다른 쪽 벽면에 밀착하면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는 방류수로의 폭에 연동하여 벽면브러쉬간의 수축 및 신장이 가능하여, 방류수로의 폭변화에 무관하게 양 벽면에 생성된 이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의 높낮이가 달라지더라도, 상면브러쉬가 롤링하여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에 밀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하부에 다수의 이송바퀴가 설치되어 방류수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에 안착된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바퀴에 전달하여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는 수로이동유니트와, 상기 대차에 결합되어 방류수로의 바닥면, 양 벽면 및 양 상부면을 닦는 이끼제거유니트 및, 상기 대차의 이동과 상기 이끼제거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끼제거유니트는 상기 이송바퀴에 맞물려 회전하는 3개의 원통형 바닥브러쉬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바닥면을 닦는 바닥이끼제거유니트와; 상기 대차에 대해 좌우이동이 가능한 1쌍의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1쌍의 좌우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1쌍의 원통형 벽면브러쉬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양 벽면을 닦는 벽면이끼제거유니트 및; 상기 대차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이동부재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회전축에 대해 좌우로 롤링이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1쌍의 상면브러쉬를 구비하여 방류수로의 양 상부면을 닦는 상면이끼제거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좌우이동부재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둘레에는 상기 1쌍의 좌우이동부재를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부재는 좌우로 롤링이 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의 구동력은 상기 이송바퀴의 기어와, 상기 바닥브러쉬의 기어 및 상기 기어들의 사이에서 맞물려 작동하는 또 다른 기어를 통해 상기 바닥브러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퀴의 축과 상기 바닥브러쉬의 축은 상기 축들에 대해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체결판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KR2020020019034U 2002-06-24 2002-06-24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KR200290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34U KR200290101Y1 (ko) 2002-06-24 2002-06-24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34U KR200290101Y1 (ko) 2002-06-24 2002-06-24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101Y1 true KR200290101Y1 (ko) 2002-09-27

Family

ID=7312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034U KR200290101Y1 (ko) 2002-06-24 2002-06-24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1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3980A1 (zh) 履带张紧装置及履带式行进装置
KR200471816Y1 (ko)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A2034862C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CN217325048U (zh) 一种桥梁高墩混凝土养护装置
JP2014161788A (ja) 汚泥掻き寄せ機
KR200290101Y1 (ko)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CN201862315U (zh) 一种自动喷式格栅除污机
KR101778921B1 (ko) 원형 최종침전지용 배수로 이끼제거장치
CN206706871U (zh) 一种洗轮机的清污泥装置
KR200168717Y1 (ko) 전자동식이끼제거장치
KR200290100Y1 (ko)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N211803049U (zh) 用于土壤修复的覆土添加设备
JP3491072B1 (ja) 汚泥掻寄装置
KR0185297B1 (ko) 로프견인식 오니제거대차 및 로프견인식 오니제거시스템
KR100215997B1 (ko)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KR100663872B1 (ko) 수로의 이끼 제거장치
KR960009008Y1 (ko) 침전지의 부유물제거장치
KR200407296Y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KR100826996B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JPH1052605A (ja) 汚泥掻寄装置
KR20040105180A (ko)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0175486Y1 (ko)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104

Effective date: 200611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