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997B1 -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997B1
KR100215997B1 KR1019970034272A KR19970034272A KR100215997B1 KR 100215997 B1 KR100215997 B1 KR 100215997B1 KR 1019970034272 A KR1019970034272 A KR 1019970034272A KR 19970034272 A KR19970034272 A KR 19970034272A KR 100215997 B1 KR100215997 B1 KR 10021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sedimentation basin
discharge channel
removal device
sewag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247A (ko
Inventor
차현열
Original Assignee
차현열
세방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열, 세방기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현열
Priority to KR101997003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9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를 선회하는 하수처리장치에 부착시켜 방류수로의 이끼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전지(3)의 방류수로(4)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류수로(4)의 이끼를 문질러 제거하는 다수의 솔(31,32,33)과; 상기 다수의 솔(31,32,33)을 상기 방류수로(4)에 밀착시킬 수 있는 다수의 브래킷(41,43)과; 상기 다수의 브래킷(41,43)을 지지하는 대차부(70)에 각각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대(51,52,53)와; 상기 대차부(7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의 롤러(10,11)와; 상기 대차부(70)를 견인하는 견인대(20)와; 상기 견인대(20)와 상기 침전지(3)의 하수처리장치(1)를 결합시키는 연장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지(3)의 하수처리장치(1)에 구비된 동력원에 의해 상기 연장부재(12)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 대차부(70)가 상기 하수처리장치(1)의 선회중심축(1a)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방류수로(4)를 따라 이동하며, 이때, 상기 다수의 솔(31,32,33)의 각각은 상기 방류수로(4)의 바닥면(4a)과 벽면(4b) 및 상부면(4c)에 각각 밀착되어 문지름으로써 이끼를 제거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본 발명은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수처리 및 폐수처리 시설의 침전지의 설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를 위한 침전지는 고정구조물들과 하수처리장치로 구성된다. 이런 고정구조물들은 침전지의 외곽을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콘크리트구조물로 형성되는 둑과, 그러한 둑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콘크리트구조물인 다수의 외팔보형 돌출부와, 상기 둑의 안쪽에서 상기 다수의 외팔보형 돌출부상에 지지되게 형성되고 침전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환형의 방류수로를 포함한다. 이런 방류수로는 유입된 물이 환형의 방류수로를 따라 배수구로 흘러가기 위해서 방류수로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반대편의 배수구까지 양쪽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침전지의 방류수로는 바닥면과 벽면과 상부면 및 웨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류수로의 웨어 플레이트는 침전지의 물이 방류수로의 내부로 흘러 넘칠 수 있도록 V자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수처리장치로 이용되는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가 있으며, 이러한 주변구동형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침전지의 반지름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워크 웨이(walk way)가 전동모터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침전지의 둘레를 회전하므로써 가라앉은 침전물을 끌어 모으게 된다. 또한, 스컴 컬렉서는 통상적으로 슬러지 수집기의 하부방향에 고정되어 슬러지 수집기와 함께 수면을 선회하면서 수면에 떠오르는 부유물을 스컴 컬렉터 박스(scum collector box)쪽으로 수집한다.
상기와 같은 하수처리장치 및 고정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침전지에 있는 침전물은 침전지의 하부로 가라앉게 되고, 이런 침전물과 분리된 물은 침전지의 방류수로를 통하여 다음 하수처리공정으로 보내진다.
종래의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는 구동수단(2)에 의해 침전지의 수면상을 선회하면서 침전지의 둑(3)의 상면의 둘레를 이동하는 슬러지 수집기(1)에 배치된다. 이런 슬러지 수집기(1)에는 힌지부(5b)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구멍(5a)이 형성된 고정바(5)가 고정된다. 또한, 이런 고정바(5)의 힌지부(5b)에는 견인대(6)의 한 쪽의 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런 견인대(6)의 반대쪽의 단부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직각 U자형 단면을 갖는 대차부(7)가 결합된다. 이렇게 힌지결합된 대차부(7)의 하면에는 방류수로(4)의 바닥면(4a)을 접촉하는 바닥면솔(8b)을 포함하는 바닥면브래킷(8a)들이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방류수로(4)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대차부(7)의 하부로 비껴나갈 수 있도록 고정볼트(7a)로 고정된다. 또한, 대차부(7)의 하면에는 벽면지지대(9)가 폭방향으로 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런 벽면지지대(9)의 양단부에는 벽면솔(9b)을 포함하는 벽면브래킷(9a)이 방류수로(4)의 높이방향과 동일한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바닥면 및 벽면브래킷(8a,9a)들은 방류수로(4)의 바닥면과 벽면을 접촉하는 바닥면 및 벽면솔(8b,9b)들을 본체부(7)의 자중과 벽면지지대(9)에 의해 방류수로(4)의 바닥면(4a)과 벽면(4b)에 밀착되게 지지한다.
따라서, 슬러지 수집기(1)가 소정속도로 침전지의 수면을 선회할 경우, 견인대(6)로 결합된 대차부(7)가 방류수로(4)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대차부(7)에 배치된 다수의 브래킷(8a,9a)들에 지지된 솔(8b,9b)들이 방류수로(4)의 바닥면(4a)과 벽면(4b)에 생성된 이끼 및 협잡물들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대차부의 하면에 고정된 바닥면브래킷에 고정된 바닥면솔들이 방류수로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슬러지 수집기에 의해 끌리면서 이동을 하기 때문에 방류수로의 물의 양이 많아질 경우나 방류수로의 기울기에 따른 물의 유동이 빨라질 경우 대차부가 부력에 의해 방류수로의 바닥면에서 들려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차부의 중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면솔들이 빨리 마모되거나 구부러지기 때문에 이끼제거효율이 떨어지거나 대차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차부의 폭의 크기가 방류수로의 소정위치의 폭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목상의 이유로 방류수로의 폭이 곳곳에서 다양하게 변할 경우, 대차부가 방류수로의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방류수로의 폭방향으로 요동을 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솔이 부착된 브래킷 및 대차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 수집기에 의해 끌리면서 작동하는 대차부가 방류수로의 폭에 끼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고가의 슬러지 수집기가 고장이 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차부의 측면방향에 배치된 벽면브래킷의 벽면솔이 방류수로의 소정위치의 벽면에 밀착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목상의 이유로 방류수로의 곳곳에서 벽면의 기울기가 다양하게 변할 경우, 방류수로의 벽면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전지의 수면상에서 선회하는 하수처리장치에 의해 방류수로에서 자연스럽게 구동하면서 방류수로의 이끼 및 협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의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정면도.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배면도.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중요부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러지 수집기 4 : 방류수로
10,11 : 바퀴 20 : 견인대
31,32,33 : 솔 41,43 : 브래킷
51,52,53 : 지지대 70 : 대차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침전지의 방류수로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방류수로에 생성된 이끼를 문질러 제거하는 다수의 솔과; 상기 다수의 솔을 상기 방류수로에 밀착시킬 수 있는 다수의 브래킷과; 상기 다수의 브래킷을 지지하는 대차부에 각각 고정하는 다수의 바닥면, 상부면, 벽면지지대와; 상기 대차부의 하면 및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대차부를 견인하는 견인대와; 상기 견인대와 상기 침전지의 하수처리장치를 결합시키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지의 하수처리장치에 구비된 동력원에 의해 상기 연장 부재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 대차부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선회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방류수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때, 상기 다수의 솔의 각각은 상기방류수로의 바닥면과 벽면 및 상부면에 각각 밀착되어 문지름으로써 이끼 및 협착물을 제거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면지지대에 결합된 상기 솔을 원형솔이며, 상기 상부면지지대는 상기 원형솔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무급유 베어링(oilless bea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에 결합된 상기 솔은 사각형솔이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사각형솔의 몸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과, 상기 공간에 삽입된 상기 사각형솔의 몸체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걸림턱에 밀착될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벽면지지대는 축방향으로 상기 벽면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브래킷의 수축 및 압축을 한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견인대에는 상기 대차부가 상기 침수지의 방류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뜨지 않으면서 구동시키기 의해 견인각을 조절하는 고정레버가 부착된 파이프형상의 고정부가 다관절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정면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배면도이고,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중요부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배치관계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 2에 있어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대차부(70)의 정면과 후면에는 물의 부력을 이겨낼 수 있는 중량을 유지하고, 또한 유동하는 물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 대차부(70)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의 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대차부(70)의 상면방향에는 상부면지지대(52)들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런 상부면지지대(52)들에는 대차부(70)의 높이방향으로 원판형솔(32)들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부(70)의 양 측면 방향에는 대차부(70)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원활한 이동을 유동하는 보호바퀴(11)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벽면지지대(53)들이 대차부(70)의 양 측면상에서 대각선방향으로 대치되는 부위에서 관통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벽면지지대(53)들의 한 쪽의 단부가 서로 엇갈리게 관통된 대차부(70)의 양 쪽의 측면의 상부에는 벽면솔(33)들을 포함하는 벽면브래킷(43)들이 대각방향으로 대우를 이루면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배치된 벽면브래킷(43)들과 일체형으로 조합된 벽면지지대(53)들의 반대쪽의 단부에는 스프링장력을 조절하는 레버(55a)들이 대각방향으로 대우를 이루면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부(70)의 하면방향에는 대차부(70)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 이송바퀴(10)들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바닥면지지대(51)들이 대차부(70)의 내부에서 하면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이런 바닥면지지대(51)들의 하단부에는 물의 유동을 방해하지 아ㅎ으면서 대차부(70)가 지나는 부위의 이끼를 모두 제거할 수있게 바닥면솔(31)을 포함하는 바닥면브래킷(41)들이 대차부(7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대차부(7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a에 보이듯이, 대차부(7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71)의 내경에는 Π자 형상의 파이프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끝단부에 핀(60a)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상부면지지대(52a)의 다리가 되는 부위가 대차부(7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구멍(71)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제 1 상부면지지대(52a)는 고정볼트(71a)로 고정된다. 또한, 이런 제 1 상부면지지대(52a)의 어깨가 되는 부위의 내부에는 스프링부재 (54a)가 삽입이 된다. 이렇게 삽입된 스프링부재(54a)를 포함하는 제 1 상부지지대(52a)의 양단부에는 내삽된 스프링부재(54a)에 의해 축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켜 상부면솔(32)이 방류수로(4)의 웨어 플레이트(4d)에 접촉될 수 있도록 T자 형상의 제 2 상부면지지대(52b)들이 각각 삽입된다. 이런 제 2 상부면지지대(52b)의 삽입된 단부에는 장공(5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장공(59a)이 형성된 제 2 상부면지지대(52b)는 비틀림없이 d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상부면지지대(52a)와 핀(60a)결합된다. 또한, 이런 제 2 상부면지지대(52b)의 어깨가 되는 부위에는 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습기에 강한 종류의 축베어링(61)이 내삽된다. 이렇게 축베어링(61)이 내삽된 제 2 상부면지지대(52b)의 내경에는 대차부(70)의 높이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α방향으로 승각작동이 가능한 제 3 상부면지지대(52c)가 삽입된다. 이런 제 3 상부면지지대(52c)의 하단부에는 방류수로(4)의 상부면(4c) 및 웨어플레이트(4d)와 접촉하면서 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무급유 베어링(62 : oilless bering)을 포함하는 원판형솔(32)이 결합된다.
도 3b 및 도 3c에 보이듯이, 대차부(70)의 측면의 상부에 각각 엇갈리게 배치된 벽면솔(33)들을 지지하는 벽면지지대(53)들이 대차부(7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런 벽면지지대(53)들은 스프링부재(54b)가 내삽되어 있다. 이런 벽면지지대(53)들의 한 쪽의 단부의 내경에는 장공(59b)이 형성된 가이드부재(53a)가 삽입되고, 또한, 반대 쪽의 단부에는 내삽된 스프링부재(54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55a)들이 나사조임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부재(53a)는 고정핀(60b)이 삽입되어 벽면지지대(53)들과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가이드부재(53a)는 벽면브래킷(43)과 힌지결합된다.
이런 벽면브래킷(43)에는 힌지결합된 평면과 접하는 양 측면부위에 폭방향으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5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구멍(56)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57)가 벽면솔(33)을 감싸듯이 결합하고 있는 벽면브래킷(43)의 양 쪽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너트(58)와 볼트결합하게 된다. 또한, 이런 고정볼트(57)를 조이거나 풀어서 벽면솔(33)을 벽면브래킷(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런 벽면브래킷(43)을 보호하고, 또한, 대차부(7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내삽된 스프링부내(54c)를 포함하는 보호지지대(50)는 대차부(70)의 측면을 관통하여 대차부(70)의 정면과 후면에 대치되게 배치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런 스프링부재(54c)의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결합된 보호지지대(50)의 끝단부는 회전이 가능한 보호바퀴(11)가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보호지지대(50)가 부착된 대차부(70)의 하면에 배치된 각각의 바닥면브래킷(41)들의 사이에는 대차부(7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바퀴(10)들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도 3d에 보이듯이, 또한, 대차부(70)의 하면에서 유동하는 물의 흐름에 비껴 나갈 수 있게 배치된 바닥면솔(31)을 포함하는 바닥면브래킷(41)을 지지하는 바닥면지지대(51)들이 대차부(70)의 하면과 상면에 관통하게 고정된다. 이런 바닥면지지대(51)들은 스프링부재(54d)가 내삽되어 있다. 이런 바닥면지지대(51)들의 한 쪽의 단부의 내경에는 장공(59c)이 형성된 가이드부재(51a)가 삽입되고, 또한, 반대 쪽의 단부에는 내삽된 스프링부재(54d)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55b)들이 나사조임식으로 결합되어 된다. 또한, 가이드부재(51a)는 고정핀(60b)이 삽입되어 바닥면지지대(51)들과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가이드부재(51a)는 바닥면브래킷(41)과 힌지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대차부(70)를 이동시키기 위해 대차부(70)의 정면의 중앙에 고정된 바닥면지지대(51')의 소정위치에는 제 1 착탈부(20a)가 삽입되어 제 1 고정레버(55c)로 고정된다. 이런 제 1 착탈부(20a)에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작동이 가능한 다관절을 갖는 지지대(20)의 한 쪽의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이런 지지대(20)의 반대 쪽의 단부는 제 2 고정레버(21)를 포함하는 제 2 착탈부(55d)와 힌지결합된다. 이런 제 2 착탈부(55d)는 상기 대차부(70)가 방류수로(4)를 따라 이동할 경우 방류수로(4)에서 대차부(70)가 흐르는 물에 뜨지 않을 정도의 견인각도(θ)를 유지하도록 슬러지 수집기(1)에 하부방향으로 고정된 원형파이프 형상의 연장봉(12)에 삽입되어 제 2 고정레버(55d)로 고정된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의 설치방법 및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3a 내지 도 4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침전지(3)의 방류수로(4)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1)의 선회방향으로 대차부(70)의 정면이 향하도록 방류수로(4)에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대차부(70)는 다수의 솔(31,32,33)들이 방류수로(4)의 바닥면(4a)과 벽면(4b)과 상부면(4c)에 접촉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이송바퀴(10)가 부착된 대차부(70)가 침전지(3)의 회전중심(1a)을 기준으로 동력수단(2)에 의해 소정속도로 선회하는 슬러지 수집기(1)와 함께 구동한다. 또한, 대차부(70)의 측면에 부착된 보호바퀴(11)가 방류수로(4)의 원주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진행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대차부(70)에 배치된 다수의 솔(31,32,33)들에 의해 침전지(3)의 방류수로(4)의 바닥면(4a), 벽면(4b), 상부면(4c)에 형성된 이끼를 접촉과 마찰에 의해 소거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부면(4c)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회전이 가능한 원판형솔(32)은 슬러지수집기(1)와 함께 한 쪽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이동하고, 대차부(70)가 견인되면서 상부면(4c)과 방류수로(4)의 웨어 플레이트로 인한 마찰력으로 회전하게 하므로써 상부면(4c)에 형성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방류수로(4)에 밀접하게 접촉된 다수의 바닥면 및 벽면솔(31,32,33)들을 고정하는 브래킷(41,43)은 슬러지 수집기(1)와 함께 한 쪽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이동하므로 상기 바닥면 및 벽면솔(31,33)들의 접촉면이 한 쪽의 기울기로 마모가 될 경우가 발생된다. 이럴 경우에, 상기 바닥면 및 벽면솔(31,33)들을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지지대의 단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 핀(60b,60c)을 분리시킨다. 그런다음에 바닥면 및 벽면브래킷(41,43)에 힌지결합된 가이드부재(51a,53a)를 착탈시켜 슬러지 수집기(1)의 선회방향과 반대 쪽의 방향으로 180°회전시킨 다음, 다시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방류수로(4)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대차부와 솔을 포함하는 지지대로 조합되어 있다. 따라서, 대차부와 다수의 지지대들에는 현장의 침전지의 여건에 적합하게 부수적인 연장지지대들이 고정시켜 이끼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대차부의 견인대와 결합된 연장봉의 높이를 현장에 맞게 조정하므로써 슬러지 수집기의 하부에 고정된 스컴 컬렉터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방류수로의 현지의 여건에 비추어 상부면지지대들에 삽입이 가능한 소정중량의 추를 승강작동이 가능한 원판형솔의 상면에 안착시키므로써 이런 원판형솔이 상부면에 더욱 밀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차형 이끼제거장치는 대차부를 견인하는 견인대의 제 1 착탈부가 주지지대에 고정된 연장보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방류수로의 현장여건에 따라 대차부가 방류수로의 흐르는 물에 뜨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방류수로에 고착될 경우에 연장봉으로 부터 대차부의 견인대가 착탈되어 고가의 슬러지 수집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면지지대들이 스프링장력을 이용하여 대차부의 하면에 배치된 바닥면솔들을 지지하므로써 바닥면솔들이 방류수로의 바닥면에 더욱 밀접하게 접촉하게하여 방류수로의 바닥면에 생성된 이끼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류수로의 상부면을 닦아내기 위한 상부면지지대들에 결합된 원판형솔들은 방류수로의 상부면과 웨어 플레이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방류수로의 V자형 홈을 갖는 웨어 플레이트에 걸리지 않게 되는 효과는 물론, 방류수로의 상부면의 이끼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침전지(3)의 방류수로(4)에 생성된 이끼를 제거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3)의 방류수로(4)에 생성된 이끼를 문질러 제거하는 다수의 솔(31,32,33)과; 상기 다수의 솔(31,32,33)을 상기 방류수로(4)에 밀착시킬 수 있는 다수의 브래킷(41,43)과; 상기 다수의 브래킷(41,43)을 지지하는 대차부(70)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바닥면, 상부면, 벽면지지대(51,52,53)와; 상기 대차부(70)의 하면 및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대차부(7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의 롤러(10,11)와; 상기대차부(70)를 견인하는 견인대(20)와; 상기 견인대(20)와 상기 침전지(3)의 하수처리장치(1)를 결합시키는 연장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지(3)의 하수처리장치(1)를 결합시키는 연장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지(3)의 하수처리장치(1)에 구비된 동력원에 의해 상기 연장부재(12)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 대차부(70)가 상기 하수처리장치(1)의 선회중심축(1a)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방류수로(4)를 따라 이동하며, 이 때, 상기 다수의 솔(31,32,33)의 각각은 상기 방류수로(4)의 바닥면(4a)과 벽면(4b) 및 상부면(4c)에 각각 밀착되어 문지름으로써 이끼 및 협착물을 제거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지지대(52)에 결합된 상기 솔(32)은 원형솔이며, 상기 상부면지지대(52)는 상기 원형솔(3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무급유 베어링(61,62 ; oilless bea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1,43)에 결합된 상기 솔(31,33)은 사각형솔이며, 상기 브래킷(41,43)은 상기 사각형솔(31,32)이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과, 상기 공간에 삽입된 상기 사각형솔(31,32)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걸림턱에 밀착될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57,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지지대(53)는 축방향으로 상기 벽면지지대(53)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브래킷(43)의 수축 및 압축을 한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53a)와,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재(53a)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54b)와, 상기스프링부재(54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5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20)에는 상기 대차부(70)가 상기 침수지(3)의 방류수로(4)를 따라 흐르는 물에 뜨지 않으면서 구동시키기 위해 견인각(θ)을 조절하는 고정레버(21,55c)가 부착된 파이프형상의 고정부(20a,55d)가 다관절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KR1019970034272A 1997-07-22 1997-07-22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KR10021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272A KR100215997B1 (ko) 1997-07-22 1997-07-22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272A KR100215997B1 (ko) 1997-07-22 1997-07-22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47A KR19990011247A (ko) 1999-02-18
KR100215997B1 true KR100215997B1 (ko) 1999-08-16

Family

ID=1951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272A KR100215997B1 (ko) 1997-07-22 1997-07-22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850B1 (ko) * 1999-10-18 2002-06-05 박양순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100806543B1 (ko) 2007-02-22 2008-02-26 박봉식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KR200471816Y1 (ko) 2013-09-16 2014-03-1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8021A (zh) * 2018-10-09 2019-01-01 山东拜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七维度二沉池清理机器人及清理方法
CN113070309B (zh) * 2021-03-11 2022-07-19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一种用于沉淀池集水槽的自动清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850B1 (ko) * 1999-10-18 2002-06-05 박양순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100806543B1 (ko) 2007-02-22 2008-02-26 박봉식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KR200471816Y1 (ko) 2013-09-16 2014-03-1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47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196B2 (en) Device with rotatable and adjustable cleaning members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pipes
US5097559A (en) Cleaning apparatus for a liquid containing vessel
KR100215997B1 (ko) 대차형 이끼제거장치
KR101015809B1 (ko) 수중 대차형 슬러지 스크레이퍼
CA2034862C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CN102008839A (zh) 沉淀池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20210067040A (ko) 경량 레일표면 연마장치
CN102000452B (zh) 沉淀池的刮泥装置
CA2113007C (en) Watering system for connection to a water supply and an electrical supply for use in watering plants and the like
RU2322282C1 (ru) Радиальный отстойник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A2285809A1 (fr) Balais mecanique d'ecumes pour bassin d'eaux usees
CN214116768U (zh) 一种河道清淤装置
KR200168717Y1 (ko) 전자동식이끼제거장치
JP6328608B2 (ja) 水平型撹拌装置
KR200407296Y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KR200290101Y1 (ko) 동력식 이끼제거장치
KR200186817Y1 (ko) 침전조의 와류 방지형 스크레퍼 장치
KR100826996B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KR102471848B1 (ko)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KR200431224Y1 (ko) 폐수처리설비용 구동장치
KR200290100Y1 (ko) 전자동식 이끼제거장치
KR200175486Y1 (ko)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0115514Y1 (ko) 침전지의 이끼 방지 및 이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