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48B1 -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848B1
KR102471848B1 KR1020220049871A KR20220049871A KR102471848B1 KR 102471848 B1 KR102471848 B1 KR 102471848B1 KR 1020220049871 A KR1020220049871 A KR 1020220049871A KR 20220049871 A KR20220049871 A KR 20220049871A KR 102471848 B1 KR102471848 B1 KR 10247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waterway
moss removal
brush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학
김대열
Original Assignee
김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학 filed Critical 김유학
Priority to KR102022004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08B1/002
    • B08B1/02
    • B08B1/0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별도의 구동수단 설치 없이 기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수집장치와 연동되어 구동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으며,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로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이격된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사용 시간에 따른 마모량과 상관없이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가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부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커넥트 샤프트와, 상기 커넥트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트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침전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침전조 내측 벽면에 형성된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 및, 상기 견인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이끼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MOSS REMOVAL DEVICE FOR SEDIMENTATION TANK WATERWAY}
본 발명은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산업현장에서 유출되는 폐수 등의 원수를 처리하는 침전조 수로의 이끼를 제거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산업현장에서 유출되는 폐수의 처리 과정은 폐수의 방류 시 수질 보전을 위해 배수로의 끝단부에서 폐수를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일반 가정 또는 산업현장으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약품처리 과정을 거쳐 슬러지 수집기 내에 일정한 시간동안 저장하여 침전 및 농축을 하며, 폐수에 섞인 불순물은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고, 바닥으로 가라앉은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며, 상기 슬러지 이외의 청수는 약품으로 처리되어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바닥면으로 침전되는 슬러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수질을 급격하게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까지 발생시키게 되므로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슬러지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를 해줌으로써 폐수의 정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슬러지 수집기는 폐수 유입관과 센터컬럼을 통해 침전조 내부로 폐수를 유입시킨 후,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되는 센터 케이지에 결합된 레이크 암이 상기 센터 케이지와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레이크 암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크 블레이드에 의해 침전조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용부로 이동시키게 되며, 슬러지 이외의 약품으로 처리된 청수는 침전조 내측 벽면에 수로를 형성하는 있는 위어(weir)를 오버플로우하여 수로 내로 유입되어 폐수처리의 다음단계로 이동된다.
한편, 하수처리시설 내 최종침전지는 활성화된 하수를 최종 침전시키고 깨끗한 처리수를 방류하는 시설로 청결도 유지가 가장 중요한데, 하수처리서설 내 최종침전지인 침전조의 경우에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특성 상 청수가 오버플로우 되어 유입되는 수로에 광합성 작용으로 인해 이끼와 녹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인력이 매월 수차례 이상 청소도구나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침전조 수로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발생된 이끼와 녹조를 제거를 함으로써 방류수의 수질 개선 및 청결유지를 하고 있는 실정이나, 인력 청소의 한계로 관리가 비효율적이며, 수로 바닥이 깊어 안전사고 위험 등 시설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16호(2014.03.10.)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구동수단 설치 없이 기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수집장치와 연동되어 구동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로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이격된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사용 시간에 따른 마모량과 상관없이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가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부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커넥트 샤프트와, 상기 커넥트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트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침전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침전조 내측 벽면에 형성된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 및, 상기 견인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이끼제거유닛을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커넥트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트 샤프트와 연동되어 위어를 따라 이동되는 본체부와, 상기 위어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상기 이끼제거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어를 따라 이동되는 본체부에 의해 이끼제거유닛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의 바닥면과 양측면부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끼제거유닛을 견인하는 견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이끼제거유닛은 상기 견인유닛과 연결되며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연결되며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밀착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연동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연동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 및,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설치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수로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함과 동시에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가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에 가압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은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간격 조절 바 및, 상기 간격 조절 바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절 바를 샤프트와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수로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도록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이격시켜 수로의 양측면에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가압 밀착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간격 조절 바는 상기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웨이트가 설치되는 웨이트 설치부 및, 상기 웨이트 설치부로부터 제2 측면 이끼 브러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웨이트의 중량에 의해 웨이트 설치부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이격시키면서 수로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끼제거유닛은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연결되어 견인됨으로써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 하단부에 발생된 이끼를 2차적으로 제거하는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형성하는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어의 상부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위어 이끼제거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필요 없이 매우 심플하게 제작되어 커넥트 샤프트만을 슬러지 수집장치의 턴테이블과 연결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됨에 따라 침전조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침전조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는 매우 심플한 구조로 제작되고 설치 또한 매우 용이하며,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및 설치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비용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장치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러지 수집장치의 턴테이블과 함께 연동되어 작동되면서 지속적으로 수로의 이끼를 제거하여 수로의 청결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 운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는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에 간격 조절 바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 조절 바의 일측에는 웨이트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매우 심플하고 단순한 구조만으로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이격된 거리가 수로의 양측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웨이트의 중량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가해져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의 중량이 간격 조절 바를 통해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에도 동일하게 전달됨으로써 상기 바닥 이끼 제거브러시와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끼제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소정시간 이상 사용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에 마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웨이트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간격 조절 바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마모된 길이만큼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이격된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가 수로의 양측면부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마모량을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는 제작 및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청소 인력을 고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로 이끼제거 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더불어 운영 및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심플한 구조로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 및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의 밀착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비용을 한층 더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로의 이끼제거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이끼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이끼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커넥트 샤프트(110), 견인유닛(120) 및, 이끼제거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는 구동수단(210)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2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220)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310)에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수집장치(200)의 경우에는 구동수단(210)에 의해 턴테이블(220)이 회전되며, 상기 턴테이블(220)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220)과 연동되어 센터케이지(230)가 회전되며, 상기 센터케이지(2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터케이지(230)와 연결된 레이크 블레이드(240)가 회전되어 침전조(310)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용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커넥트 샤프트(110)를 슬러지 수집장치(200)의 턴테이블(220)과 연결함으로써 구동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가 턴테이블(220)과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침전조(310) 내측 벽면에 위어(W)에 의해 형성된 수로(32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견인유닛(120)은 침전조(310)의 수로(320)를 형성하는 침전조(310) 내측 벽면에 형성된 위어(W)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유닛(120)은 상기 턴테이블(220)에 의해 커넥트 샤프트(1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에 의해 침전조(310)의 수로(310)를 형성하는 침전조(310) 내측 벽면에 형성된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견인유닛(120)은 본체부(121), 휠(122) 및, 견인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1)는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와 연동되어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휠(122)은 상기 위어(W)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부(121)에 적어도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견인 연결부(123)는 이끼제거유닛(130)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21)에 설치되어 위어(W)를 따라 이동되는 본체부(121)에 의해 이끼제거유닛(130)이 수로(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320)의 바닥면과 양측면부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끼제거유닛(130)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견인 연결부(123)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견인 샤프트(123a)와, 상기 견인 샤프트(123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구(123b), 및, 상기 연결구(123b)와 상기 이끼제거유닛(130)을 연결할 수 있는 체인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연결부재(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끼제거유닛(130)은 상기 견인유닛(120)과 상기 견인 연결부(123)를 통해 연결되도록 상기 수로(3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120)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320)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끼제거유닛(130)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 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 및,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는 상기 견인유닛(120)과 견인 연결부(123)에 의해 연결되어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견인유닛(120)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는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와 연결되며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밀착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와 연동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는 상기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와 연동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134)은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으며, 수로(320)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134)은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가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에 가압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134)은 지지대(134a), 샤프트(134b), 간격 조절 바(134c) 및, 웨이트(13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4)는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134) 상단부에는 샤프트 설치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34b)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34a) 상단부에 형성된 샤프트 설치 홈(G)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바(134c)는 상기 샤프트(134b)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34b)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와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간격 조절 바(134c)는 웨이트 설치부(1341c) 및, 간격 조절부(134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설치부(1341c)는 상기 샤프트(134b)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134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 설치부(1341c)에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134d)가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부(1342c)는 상기 웨이트 설치부(1341c)로부터 제2 측면 이끼 브러시(133)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134d)의 중량에 의해 웨이트 설치부(1341c)가 샤프트(134b)와 함께 회전되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134d)와 함께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를 이격시키면서 수로(320)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웨이트(134d)는 상기 간격 조절 바(134c)의 웨이트 설치부(1341c)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131)시에 소정의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절 바(134c)를 샤프트(134b)와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수로(320)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도록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를 이격시켜 수로(320)의 양측면에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를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끼제거유닛(130)은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5)는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체인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연결부재(135a)에 의해 연결되어 견인됨으로써 수로(3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 하단부에 발생된 이끼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위어 이끼제거 브러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어 이끼제거 브러시(140)는 상기 견인유닛(120)에 체인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연결부재(140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120)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수로(320)를 형성하는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어(W)의 상부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의 작동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침전조(310)에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수집장치(200)가 작동되면, 상기 슬러지 수집장치(200)의 턴테이블(220)에 의해 커넥트 샤프트(110)가 회전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가 수로(320)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에 연결된 상태로 침전조(310) 내측 벽면에 수로(320)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위어(W)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견인유닛(120) 또한 상기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트 샤프트(110)에 의해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휠(122)이 설치되어 상기 휠(122)이 위어(W)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유닛(120)이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될 시 회전됨으로써 위어(W)의 상부면과 견인유닛(12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견인유닛(120)이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견인유닛(120)과 연결된 수로(320) 내부에 배치된 이끼제거유닛(130)이 상기 견인유닛(120)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로(320) 내부에 배치된 이끼제거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134d)가 간격 조절 바(134c)의 웨이트 설치부(1341c)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웨이트(134d)의 중량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가해짐으로써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가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 설치부(1341c)에 웨이트(134d)가 설치되면 상기 웨이트(134d)의 중량에 의해 간격 조절 바(134c)의 웨이트 설치부(1341c)가 샤프트(134b)와 함께 회전되어 하강되고, 상기 웨이트 설치부(1341c)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간격 조절 바(134c)의 간격 조절부(1342c)는 상기 샤프트(134b)와 함께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의 폭과 대응되도록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를 수로(320)의 일측면 측으로 이동시켜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 설치부(1341c)에 설치되는 웨이트(134d)의 중량은 웨이트 설치부(1341c)를 통해 시소 형태로 상기 간격 조절부(1342c)에 전달되어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를 수로(320)의 일측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에 상기 웨이트(134d)의 중량이 가해지면서 수로(320)의 일측면에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가 가압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에 의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가 수로(320)의 타측면 측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수로(320)의 타측면에 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가 가압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견인유닛(120)에 의해 이끼제거유닛(130)이 수로(3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웨이트(134d)의 중량에 의해 수로(320)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있는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와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에 의해 수로(320)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발생된 이끼가 제거된다.
한편, 상기 수로(320)의 폭에 따라서 상기 간격 조절부(1342c)가 소정 각도 상승됨에 따라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 또한 수로(3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상승하게 되어 수로(320)의 바닥면과 인접하는 수로(320)의 일측면 하단부의 경우에는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에 의해 이끼가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에서는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5)를 연결하여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3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 하단부에 발생된 이끼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가 수로(320)의 폭에 따라서 수로(3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상승하여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에 의해 수로(320)를 형성하는 일측면 하단부에 발생된 이끼가 제거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기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5)에 의해 수로(320)를 형성하는 일측면 하단부에 발생된 이끼가 제거됨으로써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빠짐없이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견인유닛(120)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320)를 형성하는 위어(W)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위어 이끼제거 브러시(140)에 의해 위어(W)의 상부면에 발생된 이끼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필요 없이 매우 심플하게 제작되어 커넥트 샤프트(110)만을 슬러지 수집장치(200)의 턴테이블(220)과 연결하여 상기 턴테이블(220)이 회전됨에 따라 침전조(310) 수로(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침전조(310) 수로(320)에 발생된 이끼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고 설치 또한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끼제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비용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침전조(310)의 슬러지 수집장치(20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러지 수집장치(200)의 턴테이블(220)과 함께 연동되어 작동되면서 지속적으로 수로(320)의 이끼를 제거하여 수로(320)의 청결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 운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됨으로써 양측면의 곡률반경을 정확하게 맞추어 시공하기 어려운 침전조(310) 수로(320)의 특성 상,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의 이격된 거리가 수로(320)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끼제거장치(100)를 소정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브러시와 수로(32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브러시가 마모되어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에 브러시가 밀착되는 강도가 점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수로(320)의 이끼제거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반적인 이끼제거장치의 경우에는 위치에 따라서 변동되는 수로(320)를 형성하는 양측면의 이격된 거리를 보상하거나 브러시와 수로(32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브러시가 마모됨에 따라 약해지는 브러시의 밀착 강도를 보상하기 위해 기구적으로 복잡한 설계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제작 및 설치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100)는 지지대(134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134b)에 간격 조절 바(134c)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 조절 바(134c)의 일측에는 웨이트(134d)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매우 심플하고 단순한 구조만으로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의 이격된 거리가 수로(320)의 양측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134d)의 중량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에 가해져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131)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134d)의 중량이 간격 조절 바(134c)를 통해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에도 동일하게 전달됨으로써 상기 바닥 이끼 제거브러시(131)와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로(320)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로(3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끼제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를 소정시간 이상 사용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에 마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웨이트(134d)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간격 조절 바(134c)가 샤프트(134b)와 함께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의 마모된 길이만큼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의 이격된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가 수로(320)의 양측면부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132)(133)의 마모량을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커넥트 샤프트 (120) : 견인유닛
(121) : 본체부 (122) : 휠
(123) : 견인 연결부 (130) : 이끼제거유닛
(131) :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 (132) : 제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
(133) :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 (134) :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
(134a) : 지지대 (134b) : 샤프트
(134c) : 간격 조절 바 (134d) : 웨이트
(135) :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 (140) : 위어 이끼제거 브러시

Claims (7)

  1.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커넥트 샤프트;
    상기 커넥트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트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침전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침전조 내측 벽면에 형성된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 및
    상기 견인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이끼제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끼제거유닛은,
    상기 견인유닛과 연결되며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연결되며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밀착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연동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제1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와 연동되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 및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설치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수로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함과 동시에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가 수로를 형성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에 가압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커넥트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트 샤프트와 연동되어 위어를 따라 이동되는 본체부;
    상기 위어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휠; 및
    상기 이끼제거유닛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어를 따라 이동되는 본체부에 의해 이끼제거유닛이 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로의 바닥면과 양측면부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끼제거유닛을 견인하는 견인 연결부를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겸용 가압수단은,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간격 조절 바; 및
    상기 간격 조절 바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절 바를 샤프트와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수로의 양측면부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도록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이격시켜 수로의 양측면에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가압 밀착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바는,
    상기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웨이트가 설치되는 웨이트 설치부; 및
    상기 웨이트 설치부로부터 제2 측면 이끼 브러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웨이트의 중량에 의해 웨이트 설치부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상기 제1, 2 측면 이끼제거 브러시를 이격시키면서 수로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제거유닛은,
    상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에 연결되어 견인됨으로써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면과 양측면 하단부에 발생된 이끼를 2차적으로 제거하는 보조 바닥 이끼제거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에 의해 견인되어 수로를 형성하는 위어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어의 상부면에 발생된 이끼를 제거하는 위어 이끼제거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KR1020220049871A 2022-04-22 2022-04-22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KR10247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71A KR102471848B1 (ko) 2022-04-22 2022-04-22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871A KR102471848B1 (ko) 2022-04-22 2022-04-22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848B1 true KR102471848B1 (ko) 2022-11-28

Family

ID=8423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871A KR102471848B1 (ko) 2022-04-22 2022-04-22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500A (ko) * 1999-10-18 2001-05-07 박양순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20030015966A (ko) * 2001-08-18 2003-02-26 박선순 스크류형 부유물 자동제거장치
KR20080065861A (ko) * 2007-01-10 2008-07-15 조창균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KR200471816Y1 (ko) 2013-09-16 2014-03-1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KR101778921B1 (ko) * 2017-05-10 2017-09-14 서림종합건설주식회사 원형 최종침전지용 배수로 이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500A (ko) * 1999-10-18 2001-05-07 박양순 수로의 이끼제거장치
KR20030015966A (ko) * 2001-08-18 2003-02-26 박선순 스크류형 부유물 자동제거장치
KR20080065861A (ko) * 2007-01-10 2008-07-15 조창균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KR200471816Y1 (ko) 2013-09-16 2014-03-1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KR101778921B1 (ko) * 2017-05-10 2017-09-14 서림종합건설주식회사 원형 최종침전지용 배수로 이끼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N103288313B (zh) 通沟污泥淘洗分离及污水处理回用装置及其处理回用方法
KR101305225B1 (ko)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가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0860290B1 (ko)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CA2034862C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CN102614691A (zh) 一种平流气浮池刮泥机
CN105597383A (zh) 一种周边传动刮泥机
MXPA06013744A (es) Metodo y disposicion para remocion de impurezas superficiales.
KR102471848B1 (ko) 침전조 수로용 이끼제거장치
CN206793131U (zh) 污泥刮泥机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CN212467237U (zh) 一种澄清槽底磺清理系统
CN106693456A (zh) 污水处理后污泥的沉淀及清除系统
CN110917668A (zh) 污水处理用沉淀装置
CN218011233U (zh) 一种刮泥板可翻转的自清洁刮泥机
CA2155811A1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Floating Sludge in Dissolved Air Floatation Basins at Water Purification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CN105107240A (zh) 污水中漂浮物的处理装置
CN212680167U (zh) 一种用于市政污水处理的沉淀池
CN214486037U (zh) 一种泵站废水循环装置
KR101170509B1 (ko) 슬러지 수집기
CN111807569B (zh) 一种废水处理过程中前氧化及混凝沉淀装置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JP2008229466A (ja) 毛髪類を含む下水の生物処理方法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