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98Y1 -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98Y1
KR200460198Y1 KR2020110007158U KR20110007158U KR200460198Y1 KR 200460198 Y1 KR200460198 Y1 KR 200460198Y1 KR 2020110007158 U KR2020110007158 U KR 2020110007158U KR 20110007158 U KR20110007158 U KR 20110007158U KR 200460198 Y1 KR200460198 Y1 KR 200460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fixture
mounting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성
Original Assignee
장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성 filed Critical 장기성
Priority to KR2020110007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구를 구성함으로써, 지주 내에서 고정구의 간격조절로 쉽게 장착구멍에 장착한 다음, 파이프를 끼워서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나사부의 단부가 원호부에 맞닿아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난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에 고정구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이 회전부재의 장착관과 장착나사부 사이로 파이프를 끼워넣을 수 있게 하여 빠르면서도 편리하게 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구가 계단의 경사각에 따라 쉽게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어떠한 곳에서라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FIXTURE OF PIPE FOR HANDRAIL}
본 고안은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내에 삽입된 원호 형상의 몸체가 좌우로 벌어지게 하여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의 중간 지주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계단의 높이나 경사도에 따라 고정구의 위치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에는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난간이 설치된다. 난간은 계단의 양단과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계단 위에 각각 지주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인접한 지주 사이에 파이프 등으로 연결하여 제작한다. 이때, 파이프는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다. 이때, 지주에는 미리 난간 고정구를 설치하고, 이 고정구를 통해 파이프를 고정시키게 된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는, 후방이 개방되어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1)이 관통하는 관통구(33)가 형성된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수용공간(31)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1)이 관통하는 관통구(53)가 형성되고, 후면에 체결공(55)이 형성된 고정부재(50)와; 난간의 지주(5)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몸체(3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관통구(53)에 관통하는 파이프 또는 봉(1)을 고정하는 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체결부재로 고정부재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지주에 고정시켜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 계단의 높이나 기울기에 따라 파이프나 봉의 기울기도 달라져야 하는데, 이에 맞게 고정부재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지주에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3) 지주와 지주 사이에서의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계단의 가장 위나 가장 아래의 지주에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파이프나 봉의 양단을 고정시킬 때와 그 일단부만을 고정시킬 때의 고정력이 달라질 우려가 있었다.
4) 고정구가 지주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난간의 외관을 헤칠 우려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43919호(2009년 03월 17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구를 구성함으로써, 지주 내에서 고정구의 간격조절로 쉽게 장착구멍에 장착한 다음, 파이프를 끼워서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나사부의 단부가 원호부에 맞닿아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난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에 고정구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이 회전부재의 장착관과 장착나사부 사이로 파이프를 끼워넣을 수 있게 하여 빠르면서도 편리하게 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구가 계단의 경사각에 따라 쉽게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어떠한 곳에서라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는, 계단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지주에 형성된 한쌍의 장착구멍에 끼워서 파이프를 고정시켜 주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있어서, 서로 대칭인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되어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좌측몸체 및 우측몸체; 그리고, 좌측몸체와 우측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 주기 위한 간격조절관;을 포함하고;, 좌측몸체에는 이 좌측몸체가 상하로 대칭이 되도록 단턱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몸체에는 단턱관과 연장선상에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개구된 측면에는 이 끼움구멍에 끼워진 간격조절관과 나사체결이 되도록 너트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간격조절관은 외주면에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끼움구멍을 통해 너트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이 나사산부는 단턱관을 밀어내면서 거리조절이 이루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간격조절관은 우측몸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단부를 절단한 다음 스폿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의 단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는, 계단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장착구멍이 형성된 지주에 장착되어 파이프의 일단을 고정시켜 주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있어서, 각 장착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원호부가 형성된 지지대; 내부가 빈 중공의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체결되어 파이프를 고정시켜 주는 장착나사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재에는 이 회전부재가 상하 대칭이 되며 끝단에는 너트부가 구비된 장착관이 구비되며;, 장착나사부는 너트부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원호부를 따라 움직이도록 장착관에 설치되고, 이 장착나사부의 헤드와 너트부 사이에 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합쳐졌을 때에 원반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원반 형상의 몸체를 상하로 회전시킴에 따라 지주의 장착구멍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파이프나 봉의 장착각도를 바로 조절하면서 시공할 수 있다.
2) 몸체를 지주의 장착구멍에 끼우고 간격조절관을 체결함에 따라 우측몸체와 좌측몸체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장착구멍에 끼인 것처럼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계단의 시공각도와 상관없이 각도조절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3) 각 장착구멍과 나란한 위치에 원호부가 형성된 지지대에 회전부재를 설치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특히 이 회전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관과 장착나사부 사이에 파이프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파이프를 보다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4) 고정구가 지주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난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와 단부 고정구가 적용된 난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지주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가 장착됨에 따라 체결되는 부위와 중첩되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를 지주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부 고정구가 지주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부 고정구가 지주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중간 고정구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와 단부 고정구가 적용된 난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지주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가 장착됨에 따라 체결되는 부위와 중첩되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고정구를 지주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S1"은 계단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를, "S2"는 양단의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지주를, 그리고 "P"는 이들 지주(S1,S2) 사이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설치되는 파이프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라 양단에 설치된 지주(S1) 사이에 설치된 중간의 지주(S2)에 설치되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100')는, 내부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중공이며 서로 대칭인 원호 형상의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 그리고 이들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 사이의 간격(G)을 조절해 주기 위한 간격조절관(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구(100')는 상기 지주(S2)에 파이프(P)를 끼울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장착구멍(H)에 원반 형상의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가 위치하게 하고, 간격조절관(30)으로 이들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 사이의 간격(G)을 넓혀줌에 따라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구(100')는 각 장착구멍(H)에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의 외주면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상하로 돌려 파이프(P)의 장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장착구멍(H)은 지주(S2)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로 약간의 높이차를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장착구멍(H)은 가로보다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100')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금속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난간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결합 부분은 스폿용접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측몸체(10)는 내부가 중공인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몸체(20)와 마주보는 면은 개구되어 있다.
특히, 좌측몸체(10)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단턱관(11)이 구비되는데, 이 단턱관(11)은 좌측몸체(10)가 상하 대칭인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턱관(11)에는 파이프(P)가 끼워져서 좌측몸체(10)에 관통되게 설치되게 하며, 단턱관(11)의 내경이 큰 부분이 우측몸체(2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단턱관(11)은 좌측몸체(10)에 스폿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우측몸체(20)는 상기 좌측몸체(10)와 마찬가지로 중공이며 동일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우측몸체(20)는 좌측몸체(10)와 합쳐져서 하나의 원판 형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턱관(11)의 연장선상에는 파이프(P)를 끼울 수 있도록 끼움구멍(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끼움구멍(21)에는 후술하게 될 간격조절관(30)이 단턱관(11)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끼움구멍(21)의 직경은 이 간격조절관(30)의 외경을 고려하여 형성한다.
또한, 우측몸체(20)에는 좌측몸체(10)와 마주보는 개구된 면에 너트 플레이트(22)가 구비된다. 너트 플레이트(22)는 일종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단턱관(11)과 연장선상에 너트부(22a)가 형성되며, 이 너트부(22a)에는 간격조절관(30)이 나사체결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반원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간격조절관(30)은 단턱관(11)과 연장되게 하여 파이프(P)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조절관(30)은 나사산부(31)를 끼움구멍(21)을 통해 끼운 다음 너트부(22a)에 나사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간격조절관(30)은 내경이 단턱관(11)의 작은 내경과 동일 유사하고, 그 외경은 단턱관(11)의 큰 내경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한다. 이는, 우측몸체(20)로부터 끼워진 간격조절관(30)을 너트플레이트(22)에 나사체결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킴에 따라 이 간격조절관(30)의 단부가 단터관(11)과 맞닿으면서 좌측몸체(10)를 밀어 우측몸체(20)와의 간격(G)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100')는,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가 반원 형태로 제작하고, 지주(S2)의 직경에 따라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 사이의 간격(G)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가 마치 하나의 원판과 같이 동일한 가상의 원호상에 있게 함으로써, 장착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중간고정구의 장착)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100')를 지주(S2)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 그리고 간격조절관(30)의 작동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먼저, 4a와 같이, 좌측몸체(10)를 지주(S2)에 끼운다. 이때, 좌측몸체(10)의 폭은 도 4의 (가)와 같이 지주(S2)의 내경과 거의 유사하긴 하지만, 좌측몸체(10)를 어느 하나의 장착구멍(H)을 통하여 도 4의 (나)와 같이 지주(S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우측몸체(2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좌측몸체(10)를 먼저 장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우측몸체(20)를 먼저 장착할 수도 있다.
이어, 도 4b와 같이 우측몸체(20)를 나머지 장착구멍(H)에 장착한다. 이때, 우측몸체(20)는 좌측몸체(10)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착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몸체(10)가 장착구멍(H)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우측몸체(20)는 좌측몸체(10)와 간섭없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4c와 같이, 간격조절관(30)을 장착한다. 이때, 간격조절관(30)은 장착구멍(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끼움구멍(21)을 통해 장착한다. 그리고, 이 간격조절관(30)은 나사산부(31)가 너트부(22a)와 나사체결되게 된다.
한편, 간격조절관(30)을 돌려서 나사체결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도 4d와 같이, 그 단부가 단턱관(11)에 끼워져서 턱진 부분을 밀어내어 결국 좌측몸체(10)를 지주(S2)의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에,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가 모두 지주(S2)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그 사이의 간격(G)이 멀어지고, 그 결과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는 각각 해당 장착구멍(H)에 밀착된 상태가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간격(G) 조절이 끝나게 되면, 도 4d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부분, 즉 우측몸체(20)로부터 돌출된 간격조절관(30)을 절단한 다음 이 우측몸체(20)와 간격조절관(30)을 일체로 고정시킨다. 이때의 고정방법으로는 스폿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간격조절관(30)에는 파이프(P)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P)의 상하 경사각이 난간의 경사각 등과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P)를 잡아 상하로 올리거나 내리게 되면,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가 원판과 같이 작용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 단부 고정구 >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부 고정구가 지주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부 고정구가 지주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S1"은 계단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를, "S2"는 양단의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지주를, 그리고 "P"는 이들 지주(S1,S2) 사이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설치되는 파이프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S1)에 장착되는 파이프(P)의 단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100")는, 지주(S1)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40), 이 지주(S1)에 형성된 장착구멍(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50), 그리고, 회전부재(50)에 장착되어 지지대(40)를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부재(50)와 파이프(P)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장착나사부(6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40)는 통상 지주(S1)에는 복수의 파이프(P)가 설치되게 되는데, 이들 각 파이프(P)의 경사각도에 따라 회전부재(50)가 안정적으로 회전지지가 이루어지도록 원호부(41)가 형성된다.
이때, 이 원호부(41)는 이 회전부재(5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원호부(41)는 지주(S1)에 형성되는 장착구멍(H)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한다.
회전부재(50)는 상술한 좌측몸체(10)와 같이 내부가 중공이며 일면이 개구된 원호 또는 반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50)에는 상하 대칭이 되도록 장착관(51)이 구비되며, 이 장착관(51)의 안쪽단에는 너트부(51a)가 구비된다.
장착나사부(60)는 장착관(51)에 끼워져서 너트부(51a)에 체결되고, 그 단부가 상기 원호부(41)와 맞닿게 설치된다.
특히, 장착나사부(60)는 헤드(61)를 육각렌치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직경에 있어서도 상기 장착관(5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이용한다. 본 고안에서, 헤드(61)의 직경은 이 헤드(61)와 장착관(51) 사이에 파이프(P)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100")는, 지지대(40)를 먼저 지주(S1)에 끼워서 스폿 용접방식으로 고정한다. 이때, 지지대(40)는 원호부(41)가 가각 장착구멍(H)과 마주보는 위치에 오도록 용접한다.
이어, 지지대(40) 안으로 회전부재(50)를 끼워서 각 장착구멍(H)에 회전부재(50)의 일부가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장착관(51)을 통해 장착나사부(60)를 나사결합하고, 나사결합된 장착나사부(60)의 단부가 원호부(41)의 내면과 맞닿을 때까지 나사체결한다. 이때, 회전부재(50)와 원호부(41) 사이의 간격(G)은 나사체결되는 길이에 따라 조절된다.
마지막으로, 중간의 지주(S2)에 끼워진 파이프(P)의 단부를 장착관(51)과 헤드(61) 사이에 끼워 파이프(P)의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파이프(P)의 장착위치가 잘 맞지 않으면, 회전부재(50)를 상하로 회전시켜서 그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반원 또는 원반 형태로 조립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지주의 내경에 맞게 간격조절을 통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정구의 설치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착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장착 각도에 맞게 쉽게 고정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좌측몸체 11 : 단턱관
20 : 우측몸체 21 : 끼움구멍
22 : 너트 플레이트 22a : 너트부
30 : 간격조절관 31 : 나사산부
40 : 지지대 41 : 원호부
50 : 회전부재 51 : 장착관
51a : 너트부 60 : 장착나사부
61 : 헤드 100', 100" : 파이프 고정구
G : 간격

Claims (3)

  1. 계단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지주에 형성된 한쌍의 장착구멍에 끼워서 파이프를 고정시켜 주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있어서,
    서로 대칭인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되어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좌측몸체(10) 및 우측몸체(20); 그리고,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 사이의 간격(G)을 조절해 주기 위한 간격조절관(30);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몸체(10)에는 이 좌측몸체(10)가 상하로 대칭이 되도록 단턱관(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몸체(20)에는 단턱관(11)과 연장선상에 끼움구멍(21)이 형성되고, 개구된 측면에는 이 끼움구멍(21)에 끼워진 간격조절관(30)과 나사체결이 되도록 너트 플레이트(22)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관(30)은 외주면에 나사산부(31)가 형성되어 끼움구멍(21)을 통해 너트 플레이트(22)에 체결되고, 이 나사산부(31)는 상기 단턱관(11)을 밀어내면서 거리조절이 이루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관(30)은 우측몸체(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단부를 절단한 다음 스폿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3. 계단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장착구멍이 형성된 지주에 장착되어 파이프의 일단을 고정시켜 주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원호부(41)가 형성된 지지대(40);
    내부가 빈 중공의 원호 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50); 및
    상기 회전부재(50)에 체결되어 파이프를 고정시켜 주는 장착나사부(6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50)에는 이 회전부재(50)가 상하 대칭이 되며 끝단에는 너트부(51a)가 구비된 장착관(51)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나사부(60)는 상기 너트부(51a)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원호부(41)를 따라 움직이도록 장착관(51)에 설치되고, 이 장착나사부(60)의 헤드(61)와 상기 너트부(51a) 사이에 파이프(P)의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20110007158U 2011-08-08 2011-08-08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0460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158U KR200460198Y1 (ko) 2011-08-08 2011-08-08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158U KR200460198Y1 (ko) 2011-08-08 2011-08-08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198Y1 true KR200460198Y1 (ko) 2012-05-09

Family

ID=466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158U KR200460198Y1 (ko) 2011-08-08 2011-08-08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9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423A (ja) * 1995-02-27 1996-09-10 Ykk Architect Prod Kk 手摺および手摺用継手部材
JP2002194872A (ja) 2000-12-27 2002-07-10 Asahi Steel Industry 手摺り及び接続具
JP2005120599A (ja) 2003-10-14 2005-05-12 Shirokuma Co Ltd 手摺用自在継手
KR200395517Y1 (ko) 2005-06-16 2005-09-13 이건수 난간의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423A (ja) * 1995-02-27 1996-09-10 Ykk Architect Prod Kk 手摺および手摺用継手部材
JP2002194872A (ja) 2000-12-27 2002-07-10 Asahi Steel Industry 手摺り及び接続具
JP2005120599A (ja) 2003-10-14 2005-05-12 Shirokuma Co Ltd 手摺用自在継手
KR200395517Y1 (ko) 2005-06-16 2005-09-13 이건수 난간의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744B2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KR101061477B1 (ko) 가로등 지주대
US9896864B2 (en) Direct-insertion baluster connecting device
KR200467788Y1 (ko) 난간 고정구
KR200460198Y1 (ko)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CN106714617A (zh) 地震基板
KR101199507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연결장치
KR100985714B1 (ko) 상하 2단계로 각도조절이 되는 각도조절용 가로등 제조방법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101614689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난간
KR101985957B1 (ko)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KR100763645B1 (ko) 비용접 구조의 난간대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JP5011421B2 (ja) 支柱固定金具
JP2008075388A (ja) 手摺り支柱の取付構造
KR20090007770U (ko) 난간의 고정구조
JP5779041B2 (ja) 支柱及び支柱の設置方法
KR20100004041U (ko) 핸드레일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KR200366549Y1 (ko) 조립식 난간
JP2007162396A (ja) 手摺支柱及び手摺装置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1945152B1 (ko) 가설재용 잭서포트
CN104452916B (zh) 可调节式台盆固定装置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