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94Y1 - 화일 - Google Patents

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94Y1
KR200460194Y1 KR2020090016460U KR20090016460U KR200460194Y1 KR 200460194 Y1 KR200460194 Y1 KR 200460194Y1 KR 2020090016460 U KR2020090016460 U KR 2020090016460U KR 20090016460 U KR20090016460 U KR 20090016460U KR 200460194 Y1 KR200460194 Y1 KR 200460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file
document
suppor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351U (ko
Inventor
박태인
Original Assignee
박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인 filed Critical 박태인
Priority to KR2020090016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9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서류 등을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일 내부에 보관될 서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화일에 고정된 책철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 화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류를 받쳐주는 받침면과, 상기 받침면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받침면에 받쳐진 서류를 보호하기 위해 덮어주는 덮개면과,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의 일측에 고정되어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서류의 일부분을 고정시키는 책철과,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형성된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를 통해 책철을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구비한 화일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가 리벳의 몸체보다 크고 리벳의 머리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진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에 상기 리벳의 머리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피난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난공측으로 책철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리벳의 몸체가 책철과 함께 상기 피난공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책철을 받침면 또는 덮개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화일, 책철, 리벳, 피난공, 분리수거

Description

화일{file}
본 고안은 각종 서류 등을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일 내부에 보관될 서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화일에 고정된 책철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 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일은 각종 서류를 보관하거나 휴대하는데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일은 서류를 받쳐주는 받침면(11)과, 상기 받침면(11)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받침면(11)에 받쳐진 서류를 보호하기 위해 덮어주는 덮개면(12)과, 상기 받침면(11) 또는 덮개면(12)의 일측에 고정되어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서류를 바인딩하는데 사용되는 책철(13)로 구성된다.
이중, 상기 받침면(11)이나 덮개면(12)은 주로 서류의 보관 및 휴대에 적합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일정두께를 가진 내지(11a)와, 내지(11a)의 표면에 접착된 마감용 외지(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책철(13)이 받침면(11)이나 덮개면(12)으로부터 사용중 분리되지 않도록 받침면(11)이나 덮개면(12)에는 미리 천공부(14)가 형성되고 상기책철(13)에는 상기 천공부(14)에 대응되도록 천공부를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책철(13)의 천공부와 받침면(11)이나 덮개면(12)에 형성된 천공부(14)를 일치시킨 후, 리벳(15)을 끼운 다음 스냅(snap) 공구를 이용하여 리벳팅을 실시하면 받침면(11)이나 덮개면(12)에 책철(13)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화일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받침면(11)과 덮개면(12)은 보관 및 운반되는 서류의 두께를 감안하여 두께면(16)을 사이에 두고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두께면(16)에는 필요시 덮개면(12)이 용이하게 절첩되도록 절첩라인(17)이 가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면(12)의 외부 또는 두께면(16)의 외부에는 보관 및 운반되는 서류의 문서번호, 문서제목 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문자기재부(18)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화일(1)을 이용하여 서류를 보관하거나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면(12)을 펼쳐서 상기 덮개면(12)이 받침면(11)과 수평이 되도록 한 다음 책철(13)을 이용하여 서류가 받침면(1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서류를 바인딩시키면 된다.
상기 서류가 책철(13)을 통해 받침면(11) 위에 바인딩되면, 덮개면(12)을 접어서 상기 덮개면(12)이 받침면(11)에 고정된 서류를 덮어서 보호하도록 하면 되고, 이 상태에서 서류를 서류보관함에 넣어 보관하거나 손으로 들고 휴대하면 된다.
그러나, 그러나 종래의 화일(1)은 상기 받침면(11)과 덮개면(12)은 종이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상기 책철(13)은 철재로 이루어진 관계로 폐기시 책철(13)이 받침면(11)이나 덮개면(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분리수거에 애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기시 책철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파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류를 받쳐주는 받침면과, 상기 받침면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받침면에 받쳐진 서류를 보호하기 위해 덮어주는 덮개면과,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의 일측에 고정되어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서류를 바인딩하는 책철과,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형성된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를 통해 책철을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구비한 화일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가 리벳의 몸체보다 크고 리벳의 머리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진 통공과 상기 통공의 일측에 상기 리벳의 머리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피난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난홈측으로 책철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리벳의 몸체가 책철과 함께 상기 피난홈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책철을 받침면 또는 덮개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은 내지와 이 내지를 감싸는 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의 내지에만 형성되어, 피난공측으로 책철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피난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일은 책철을 고정시키기 위해 받침면 또는 덮개면에 형성된 천공부에 피난홈을 형성시켜 상기 책철에 피난홈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리벳의 몸체가 책철과 함께 상기 피난홈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책철이 받침면 또는 덮개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화일로부터 책철의 분리수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책철의 재활용이 가능해지므로 화일의 제작비가 절감됨은 물론 환경보호 및 자원활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류를 받쳐주는 받침면(110)과, 상기 받침면(110)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받침면(110)에 받쳐진 서류를 보호하기 위해 덮어주는 덮개면(120)과, 상기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고정되어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서류의 일부분을 고정시키는 책철(130)과, 상기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의 일측에 형성된 천공부(140)와, 상기 천공부(140)를 통해 책철(130)을 상기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에 고정시키는 리벳(150)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천공부(140)는 가이드공(141)과 상기 가이드공(141)으로부터 연장된 피난공(1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천공부(140)는 책철(1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공(141)과 피난공(142)은 모두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을 이루는 내지(110a)에 형성된다. 따라서, 내지(110a)에 외지(110b)가 감싸여진 상태이므로 상기 천공부(1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141)의 폭은 리벳(150)의 몸체(151) 직경보다는 크고 리벳(150)의 머리(152)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리벳(150)의 머리(152)가 가이드공(141)에 항상 걸림상태로 있게 되므로 리벳(150)은 가이드공(1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141)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는 책철(130)이 피난공(14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141)들은 모두 평행하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141)은 책철(130)을 피난공(142)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책철(130)이 직선경로를 따라 피난공(142)으로 이동되므로 책철(130)이 피난공(142)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책철(1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책철(130)에 불균형하게 작용하더라도 책철(130)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가이드공(141)의 안내를 받아 피난공(142)으 로의 이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난공(142)은 가이드공(141)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피난공(142)은 리벳(150)의 머리(152)가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리벳(150)의 머리(152)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피난공(142)은 리벳(150)의 머리(152)가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리벳(150)의 머리(152)와 동일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책철(130)에 피난공(142)측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150)의 몸체(151)가 책철(130)과 함께 상기 피난공(142)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벳(150)은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리벳(150)이 피난공(142)으로부터 이탈된다는 의미는 책철(130)이 천공부(140)로부터 이탈되어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으로부터 탈거된다는 의미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일(100)을 폐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화일(100)의 덮개면(120)을 펼쳐서 책철(130)에 바인딩된 서류들을 모두 책철(13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책철(130)에 외력을 가한다. 외력을 가하는 방향은 피난공(142)이 형성된 방향이다.
상기와 같이 책철(130)에 피난공(142)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책철(130)을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리벳(150)의 몸체(151)가 가이드공(141)을 따라 피난공(142)으로 이동하면서 이 리벳(150)을 따라 책철(130)도 함께 피난공(142)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책철(130)은 화일(100)의 제작과정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리벳(150)을 통해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에 단단히 압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력에 의해 쉽게 피난공(142)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책철(130)에 충격을 주어 일정이상의 외력을 가하거나 주변의 구조물에 책철(130)을 충돌시켜 책철(130)에 일정이상의 외력을 가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책철(130)에 일정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리벳(150)의 몸체(151)부는 가이드공(141)을 덮고 있던 외지(110b)를 찢으면서 책철(130)이 피난공(142)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책철(130)에 피난공(142)측으로 일정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피난공(142)은 외지(110b)에 감싸여진 상태가 되고 따라서 평상시에 상기 천공부(1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고안의 화일(100)은 항상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책철(130)에 결합된 리벳(150)몸체(151)가 피난공(142)에 도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책철(130)을 잡아당기면, 리벳(150)의 머리(152)가 피난공(14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책철(130)이 리벳(150)과 함께 받침면(110) 또는 덮개면(120)으로부터 쉽게 탈거된다. 그 결과 책철(130)은 화일(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일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책철 결합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받침면의 정면도로서 책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받침면의 배면도로서 책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받침면의 정면도로서 책철이 피난공으로 이동되어 받침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도록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받침면의 배면도로서 책철이 피난공으로 이동되어 받침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도록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일 110...받침면
110a...내지 110b...외지
120...덮개면 130...책철
140...천공부 141...가이드공
142...피난공 150...리벳
151...몸체 152...머리

Claims (2)

  1. 서류를 받쳐주는 받침면과, 상기 받침면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받침면에 받쳐진 서류를 보호하기 위해 덮어주는 덮개면과,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의 일측에 고정되어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서류의 일부분을 고정시키는 책철과,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형성된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를 통해 책철을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구비한 화일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가 리벳의 몸체보다 크고 리벳의 머리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진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에 상기 리벳의 머리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피난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난공측으로 책철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리벳의 몸체가 책철과 함께 상기 피난공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책철을 받침면 또는 덮개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은 내지와 이 내지를 감싸는 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받침면 또는 덮개면의 내지에만 형성되어, 피난공측으로 책철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피난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
KR2020090016460U 2009-12-17 2009-12-17 화일 KR200460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60U KR200460194Y1 (ko) 2009-12-17 2009-12-17 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60U KR200460194Y1 (ko) 2009-12-17 2009-12-17 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51U KR20110006351U (ko) 2011-06-23
KR200460194Y1 true KR200460194Y1 (ko) 2012-05-09

Family

ID=4660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60U KR200460194Y1 (ko) 2009-12-17 2009-12-17 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4128B (zh) * 2017-09-28 2023-12-01 义乌市升华印刷有限公司 一种文件夹自动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779A (ja) * 1992-07-21 1994-03-18 Advanced Micro Devicds Inc 割込を発生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割込を発生するための方法
JP2002326485A (ja) 2001-04-27 2002-11-12 King Jim Co Ltd ファイル用綴じ具の固定装置
KR20030064247A (ko) * 2002-01-25 2003-07-31 이성철 편철용 클립
JP2005153311A (ja) 2003-11-26 2005-06-16 Lion Office Products Corp ファイル用綴じ具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779A (ja) * 1992-07-21 1994-03-18 Advanced Micro Devicds Inc 割込を発生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割込を発生するための方法
JP2002326485A (ja) 2001-04-27 2002-11-12 King Jim Co Ltd ファイル用綴じ具の固定装置
KR20030064247A (ko) * 2002-01-25 2003-07-31 이성철 편철용 클립
JP2005153311A (ja) 2003-11-26 2005-06-16 Lion Office Products Corp ファイル用綴じ具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51U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194Y1 (ko) 화일
KR100789901B1 (ko) 밴딩기능을 갖는 양장 제본 다이어리
KR101624127B1 (ko) 클립형 노트
KR200484309Y1 (ko) 노트
JPH088143Y2 (ja) ファイル
JP2008023901A (ja) 書類・冊子類の取付補助具
KR200413649Y1 (ko) 메모수첩
JP4085319B2 (ja) 表紙を下敷きにして書き込みの行なえるバインダ装置。
JP4924010B2 (ja) ジャ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中綴じ冊子
JP4674669B2 (ja) 冊子構成体及び冊子体
JP2007203518A (ja) 綴じ具及びそれを備えたファイリング用具
KR200228855Y1 (ko) 바인더의 씨디롬 디스크 보관장치
KR200350477Y1 (ko) 표찰 수용 스티커
JP2000108569A (ja) 綴じ具のベース固定具及びこれを用いたファイル
JPH088144Y2 (ja) ファイル
KR101420824B1 (ko) 필기구 수납홈이 마련되는 책
KR101664019B1 (ko) 필기구 수납홈이 마련되는 책
JP5581298B2 (ja) 名刺書類等入及びその製造法
KR100910181B1 (ko) 메모지 모듈
KR100673083B1 (ko) 학습용 화일
KR200350189Y1 (ko) 서류 보관용 파일
JP3106507U (ja) スライドインノート
KR200221332Y1 (ko) 인체 공학적 기능을 겸비한 출석부
JP3161934U (ja) ファイル
KR200408758Y1 (ko) 신문 파일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