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84Y1 -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84Y1
KR200458684Y1 KR2020090016463U KR20090016463U KR200458684Y1 KR 200458684 Y1 KR200458684 Y1 KR 200458684Y1 KR 2020090016463 U KR2020090016463 U KR 2020090016463U KR 20090016463 U KR20090016463 U KR 20090016463U KR 200458684 Y1 KR200458684 Y1 KR 200458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rrel
insulation
insulation barre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353U (ko
Inventor
송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90016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8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슐레이션바랠의 끝단이 스와이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선피복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압되면서 전선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고전류의 통전을 위한 단자부재(10)와; 상기 단자부재(10)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전선(W)의 심선(W1)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바랠(20)과;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인슐레이션바랠(30)과;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마주되는 방향에서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와이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은 와이어바랠(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피복을 감싸면서 끝부분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의 선종에 관계없이 동일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자, 전선, 심선, 피복, 바랠

Description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HIGH CURRENT TERMINAL}
본 고안은 인슐레이션바랠의 끝단이 스와이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선피복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압되면서 전선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Terminal)는 전극을 접속하는 동제(銅製) 접속용 이음쇠로서, 각종 스위치(Switch), 콘센트, 배전반(Switchboard) 등의 전선 접속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전선용 압착단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고정홀(100)이 일측에 형성되고, 고정홀(100)의 타단으로 전선 결속용 고정부(200)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의 압착단자는 기본적인 틀을 프레스 금형으로 제작한 후, 상기 프레스금형으로 제작된 기본 틀에서 고정부(200)를 원통형으로 감은 후, 접착면을 용접하여 용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압착단자는 각종 스위치, 콘센트, 배전반 등의 전선 접속에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부(200)에 전선(300)의 일측을 결속시키되, 상기 전선(300)의 일측은 피복부위를 제거한 심선에 고정부(200)에 결속하여야만 전선(300)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용 압착단자는 피복부위를 제거한 심선에만 고정부(200)가 고정되므로, 외부의 힘에 의해 압착단자가 전선에서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심선을 가압하는 심선가압부재(2)와, 피복을 제거하지 않은 피복을 양쪽에서 가압하는 피복가압부재(3)로 구성된 단자(1)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기술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가압부재(3)가 전선(W)의 양측에서 가압할 때, 피복가압부재(3)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W)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전선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피복가압부재가 서로 맞닿아서 전선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가압하지 못하여, 피복가압부재(3)와 전선(W)이 헐거워져 단자(1)전체가 앞뒤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전선(W)의 직경이 작은 상태에서 피복가압부재(#)가 끝부분이 오므려지면서 전선(W)의 피복 및 심선을 가압하여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인슐레이션바랠의 끝단이 스와이징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선피복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압되면서 전선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해결과제는 전선의 외측이 전체적으로 압착될때 인슐레이션바랠과 스와이징의 끝부분이 오므려지면서 전선의 피복 및 심선을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전선의 선종에 관계없이 동일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는, 고전류의 통전을 위한 단자부재(10)와; 상기 단자부재(10)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전선(W)의 심선(W1)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바랠(20)과;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인슐레이션바랠(30)과;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마주되는 방향에서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와이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은 와이어바랠(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바랠(20)은 상기 전선(W)의 심선(W1)과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세레이션(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은 삼각형상이고, 상기 삽입홈(51)은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대응되도록 역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피복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압하여 전선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선의 외측이 전체적으로 압착되므로, 전선의 유동시 저항변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길이 조절되면서 전선을 가압하므로, 전선의 선종에 관계없이 동일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전선을 가압한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고전류의 통전을 위한 단자부재(10) 와, 상기 단자부재(10)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전선(W)의 심선(W1)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바랠(20)과,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일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인슐레이션바랠(30)과,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타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마주되는 방향에서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와이징(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자부재(10)는 다른 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도시생략)결합되기 위하여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바랠(20)은 단자부재(10)의 후방에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그러면, 복수개의 와이어바랠(20)은 전선(W)의 심선(W1)을 좌우에서 감싸면서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바랠(20)은 전선(W)의 심선(W1)과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세레이션(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레이션(21)은 와이어바랠(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요철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요철은 장방형으로 와이어바랠(20)의 내측에 형성되되, 전선(W)의 심선(W1)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바랠(20)이 전선(W)의 심선(W1)을 감싸서 가압하면, 세레이션(21)이 전선(W)의 심선(W1)과 마찰되어, 전선(W)의 심선(W1)은 와이어바랠(20)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인슐레이션바랠(30)은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 방향으로 와이어바랠(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W2)을 한쪽에서 감싸면서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스와이징(50)은 인슐레이션바랠(30)에 대응되도록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반대 방향으로 와이어바랠(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W2)을 다른 한쪽에서 감싸면서 가압한다. 이때, 스와이징(50)은 전선을 가압하는 인슐레이션바랠(30)과 접촉되지 않도록 인슐레이션바랠(30)이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은 전선(W)의 외피를 감싸면서 가압하게 되면 인슐레이션바랠(30)은 스와이징(50)의 삽입홈(5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인슐레이션바랠(30)의 양측면은 삽입홈(51)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전선(W)의 외측은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션바랠(30)이 스와이징(50)의 삽입홈(51)의 내측으로 깊이 삽입되므로 전선(W)의 굵기가 얇은 경우에는 인슐레이션바랠(30)이 스와이징(50)의 삽입홈에 완전히 밀착되면서 얇은 전선(W)의 외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전선(W)의 굵기가 굵은 경우에는 인슐레이션바랠(30)이 스와이징(50)의 삽입홈(51)에 약간 삽입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굵기가 굵은 전선(W)의 외측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인슐레이션바랠(30)은 삼각형상이고, 스와이징(50)의 삽입홈(51)은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대응되도록 역삼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슐레이션바랠(30)과 삽입홈(51)은 서로 대응되는 삼각형상이므로, 전선(W)의 피복(W2)을 감싸면서 가압할 때, 서로 용이하게 가까워지나 멀어지게 되어 길이조절 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션바랠(30)이 삽입홈(51)의 내측의 중앙에 위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쳐진 상태에도, 인슐레이션바랠(30)이 조여질 때, 삽입홈(51)의 내측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삽입홈(51)의 중앙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은 정확하게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이 전선(W)의 외측을 감싸서 가압할 때, 인슐레이션바랠(30)의 끝단이 스와이징(50)의 삽입홈(51)의 내측에 위치하고 스와이징(50)의 양끝단이 인슐레이션바랠(30)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선(W)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W)이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피복(W2)이 손상되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선용 압착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종래의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피복가압부재가 전선을 정확히 가압하지 못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피복가압부재가 전선에 과압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의 사시도.
도 7은 전선을 가압한 본 고안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부재 20 : 와이어바랠
21 : 세레이션 30 : 인슐레이션바랠
50 : 스와이징 51 : 삽입홈

Claims (4)

  1. 고전류의 통전을 위한 단자부재(10);
    상기 단자부재(10)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전선(W)의 심선(W1)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바랠(20);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인슐레이션바랠(30);
    상기 와이어바랠(20)의 후방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마주되는 방향에서 전선(W)의 피복(W2)을 가압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와이징(50)을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스와이징(50)은 와이어바랠(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바랠(20)은 상기 전선(W)의 심선(W1)과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세레이션(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은 삼각형상이고, 상기 삽입홈(51)은 상기 인슐레이션바랠(30)과 대응되도록 역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4. 삭제
KR2020090016463U 2009-12-17 2009-12-17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KR200458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63U KR200458684Y1 (ko) 2009-12-17 2009-12-17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63U KR200458684Y1 (ko) 2009-12-17 2009-12-17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53U KR20110006353U (ko) 2011-06-23
KR200458684Y1 true KR200458684Y1 (ko) 2012-03-26

Family

ID=4762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63U KR200458684Y1 (ko) 2009-12-17 2009-12-17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379A (ko) 2022-08-18 2024-02-27 (주)티에이치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508A (ja) * 1998-09-08 2000-03-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止水端子
JP2002231327A (ja) * 2001-02-06 2002-08-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金具
JP2004199934A (ja) 2002-12-17 2004-07-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508A (ja) * 1998-09-08 2000-03-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止水端子
JP2002231327A (ja) * 2001-02-06 2002-08-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金具
JP2004199934A (ja) 2002-12-17 2004-07-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379A (ko) 2022-08-18 2024-02-27 (주)티에이치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53U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3689B2 (en) Terminal crimped wire
EP2602872A1 (en) Crimp terminal
TW201526433A (zh) 壓接端子及帶有壓接端子的電線
JP6709818B2 (ja) 端子付き電線
WO2018198894A1 (ja)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09193879A (ja) 圧着端子、及びこの圧着端子を用いた圧着構造
WO2012017907A1 (ja) 圧着端子
JP5076072B2 (ja) 圧着端子、及びこの圧着端子を用いた圧着構造
JP5794434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JP2010073320A (ja) 圧着端子の圧着構造
KR200458684Y1 (ko)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KR20090042482A (ko) 전선 압착 단자 및 단자 가압용 다이스
KR101482583B1 (ko)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파이버 전도체 와이어 연결 방법
JP5041537B2 (ja) 圧着端子の被覆電線への接続構造
CZ20032460A3 (cs) Kotvící svorka konce nadzemního kabelu
JP2018081818A (ja) 圧着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2011243519A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平形ケーブル
JP7116112B2 (ja) 端子付き電線
WO2016186021A1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KR200461533Y1 (ko) 전선연결장치
JP5249838B2 (ja) 圧着端子
KR102180137B1 (ko) 전선 결합 커넥터
KR100960950B1 (ko) 전력선 클램프장치
JP5195191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KR100814926B1 (ko) 스플라이스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