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379A -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 Google Patents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379A
KR20240025379A KR1020220103562A KR20220103562A KR20240025379A KR 20240025379 A KR20240025379 A KR 20240025379A KR 1020220103562 A KR1020220103562 A KR 1020220103562A KR 20220103562 A KR20220103562 A KR 20220103562A KR 20240025379 A KR20240025379 A KR 20240025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erminal
terminal body
hardwa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홍주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2010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379A/ko
Publication of KR2024002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자 바디; 그리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채 구속되어 상기 단자 바디와 일체화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대한 단자의 조립 시, 별도로 볼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볼트의 삽입 과정 및 파지 과정이 삭제되어 단자의 전체적인 조립 공수가 축소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Hardware integral type terminal}
본 발명은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 바디에 볼트가 이탈 불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는 각종 전장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다. 차량에 탑재되는 전장 부품은 크게 분류할 경우, 엔진의 시동 계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력전달 관련 전기 및 전자 시스템 부품과, 제동계/조향계에 연관되는 전자 제어 시스템 부품 및 전조등/방향지시등과 같은 시인성 전기 장치의 부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장 부품들은 통상적으로 전선(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배선이 이루어짐으로써 대응하는 부품 혹은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선의 끝단에는 단자가 고정될 수 있다.
단자(Terminal)는 전극을 접속하는 동제(銅製) 접속용 이음쇠로서, 각종 스위치(Switch), 콘센트, 배전반(Switchboard), 전기 장치 등의 전선 접속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선 연결용 단자는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조립을 위한 하드웨어로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종래의 단자는 일측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타측에 전선 결속용 바렐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단자는,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대한 조립 시, 체결을 위한 볼트가 단자와 별도로 준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는, 별도로 준비된 볼트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관통홀에 삽입시킨 후, 공구 등을 사용하여 체결시켜야 하므로,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대한 단자의 전체적인 조립 공수가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는, 단자의 전체적인 조립 공수 증가로 인해 차량 자체의 생산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제조 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는, 체결을 위한 볼트를 단자와 별도로 관리해야 하므로, 볼트의 분실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는, 단자에 대응하지 않는 오사양 볼트가 사용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지 위해 작업자의 별도 확인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58684 Y1 KR 10-2017-0143146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 바디와 볼트가 상호 일체화된 패키지의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대한 단자의 조립 시, 별도로 볼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볼트의 삽입 과정 및 파지 과정이 삭제되어 단자의 전체적인 조립 공수가 축소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자 바디; 그리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채 구속되어 상기 단자 바디와 일체화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관통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상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 바디에는, 전선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바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단자 바디와 볼트가 상호 일체화된 패키지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에 대한 단자의 조립 시, 별도로 볼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볼트가 단자 바디의 관통홀에 이미 삽입된 채 구속되어 있으므로, 단자의 조립 시에 볼트의 삽입 과정 및 파지 과정이 삭제되어 단자의 전체적인 조립 공수가 축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단자의 전체적인 조립 공수 축소로 인해 차량 자체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차량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체결을 위한 볼트가 일체형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볼트의 별도 관리 및 보관이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볼트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단자 바디에 적합한 볼트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별도 확인이 있지 않아도 오사양 볼트가 사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는, 삽입부가 관통홀의 상하 관통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단자 바디의 상하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를 단자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하여 단자 바디와 볼트 측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를 단자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하여 단자 바디와 볼트 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는, 배선을 위한 전선(미도시)의 끝단에 고정되어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과 같은 조립 상대물(미도시)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조립 및 결합되는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는, 일반적으로 60A 이상의 높은 전류를 사용하고 특히 시동시에 100A 이상의 대전류를 사용하게 되는 자동차 배터리에 연결되는 대전류 단자일 수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는, 단자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바디(110)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에서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바디(1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이음쇠일 수 있으며, 특히, 금속 중에서도 전류의 양호한 흐름을 위하여 구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단자 바디(110)는, 중앙 부근에서 상면이 이루는 각이 둔각을 갖도록 다소 절곡될 수 있다.
단자 바디(110)에는, 회전 방지편(11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편(111)은, 단자 바디(110)의 일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방지편(111)은, 단자 바디(110)의 전방부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편(111)은, 단자 바디(110)의 전방부 좌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 방지편(111)은,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가 조립되는 상기 조립 상대물의 회전 방지홈(미도시)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다.
단자 바디(110)는, 회전 방지편(111)이 상기 회전 방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립 상대물에 가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자 바디(110)는, 상기 조립 상대물과의 조립 시,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자 바디(110)는, 관통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2)은, 단자 바디(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관통홀(112)은, 단자 바디(110)의 일측인 전방부에 원형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2)에는, 상기 조립 상대물과의 체결을 위한 볼트(120)가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단자 바디(110)에는, 심선 및 심선을 둘러싼 피복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선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단자 바디(110)의 후방부 상면에 접촉하도록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은, 전단측 일부분의 피복이 벗겨져 심선이 노출된 상태로 단자 바디(110)의 후방부 상면에 올려질 수 있다.
단자 바디(110)는, 상면에 올려진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렐(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렐(113)은, 단자 바디(110)의 타측인 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바렐(113)은, 인슐레이션 바렐(113a)과 와이어 바렐(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상기 전선의 피복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단자 바디(110)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단자 바디(110)의 후단부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단자 바디(110)의 후단부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후 폭이 점점 줄어드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단자 바디(110)에서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별도의 공구에 의해 눌러져 단자 바디(11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압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인슐레이션 바렐(113a) 중, 좌측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공구에 의해 좌측면이 눌러져 우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로 단자 바디(110)에 올려진 상기 전선의 피복을 가압하면서 압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인슐레이션 바렐(113a) 중, 우측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공구에 의해 우측면이 눌러져 좌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로 단자 바디(110)에 올려진 상기 전선의 피복을 가압하면서 압착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인슐레이션 바렐(113a)과 우측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겹치거나 서로 어긋하는 형태로 겹치지 않게 절곡될 수 있다.
좌측 인슐레이션 바렐(113a)과 우측 인슐레이션 바렐(113a)은, 상기 전선의 피복을 각각 가압하여 구속함에 따라 상기 전선을 단자 바디(110) 후방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피복을 감싼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바렐(113a)의 전방측에는, 와이어 바렐(113b)이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 바렐(113b)은, 코어 바렐, 심선 바렐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와이어 바렐(113b)은, 상기 전선의 심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동시에 단자 바디(110)와 상기 전선 간의 안정적인 통전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바렐(113b)은, 인슐레이션 바렐(113a)과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단자 바디(110)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바렐(113b)은, 단자 바디(110)의 후방부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바렐(113b)은, 단자 바디(110)의 후방부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바렐(113b)은, 단자 바디(110)에서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와이어 바렐(113b)은, 인슐레이션 바렐(113a)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공구에 의해 눌러져 압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와이어 바렐(113b) 중, 좌측 와이어 바렐(113b)은, 공구에 의해 좌측면이 눌러져 우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로 단자 바디(110)에 올려진 상기 전선의 심선을 가압하면서 압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와이어 바렐(113b) 중, 우측 와이어 바렐(113b)은, 공구에 의해 우측면이 눌러져 좌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로 단자 바디(110)에 올려진 상기 전선의 심선을 가압하면서 압착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와이어 바렐(113b)과 우측 와이어 바렐(113b)은, 서로 겹쳐지거나 각 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되어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좌측 와이어 바렐(113b)과 우측 와이어 바렐(113b)은, 상기 전선의 심선을 각각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전선을 단자 바디(110) 후방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심선을 감싼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는, 볼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20)는, 각종 전장 부품 혹은 전기 장치 등과 같은 상기 조립 상대물에 대한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의 조립 시,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를 상기 조립 상대물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볼트(120)는, 단자 바디(110)의 관통홀(112)에 삽입된 채 구속되어 단자 바디(1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화란, 단자 바디(110)와 볼트(120) 간의 분리가 불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볼트(120)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의 처음 제작 때부터 단자 바디(110)의 관통홀(112)에 삽입되어 관통홀(112)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볼트(120)는, 헤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21)는, 볼트(120)의 최상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렌치와 같은 공구에 의해 파지가 가능한 부분이다.
헤드부(121)는, 통상적으로 볼트에 적용되는 육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121)는, 관통홀(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121)는, 관통홀(11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관통홀(112)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질 수 있다.
헤드부(121)는, 관통홀(1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부(121)의 하부에는, 와셔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와셔부(122)는, 헤드부(121)의 하면에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와셔부(122)는, 압력을 분산시켜 체결면을 보호하거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와셔부(122)는, 헤드부(121)의 하단 전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셔부(122)는, 헤드부(121) 및 관통홀(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와셔부(122)는, 관통홀(11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관통홀(112)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와셔부(122)는,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셔부(122)는, 하면이 단자 바디(110)의 상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걸릴 수 있다.
헤드부(121) 및 와셔부(122)는, 전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자 바디(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헤드부()에 대한 공구의 접근성이 높아져 볼트(120)의 체결 시, 공구로 헤드부(121)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볼트(120)는, 삽입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2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홀(112)에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삽입부(123)는, 헤드부(121)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3)는, 헤드부(121)의 하면에 형성되는 와셔부(122)의 하면에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3)는, 와셔부(122)와 후술할 체결부(124) 사이에 위치하여 관통홀(112) 내에 구속될 수 있다.
삽입부(123)는, 관통홀(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1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123)는, 관통홀(112)의 상하 관통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3)가 관통홀(112)의 상하 관통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단자 바디(110)는,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단자 바디(110)는, 삽입부(123)의 상하 길이와 관통홀(112)의 상하 관통 길이 간의 차이만큼 삽입부(123)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볼트(120)는, 체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24)는, 상기 조립 상대물과의 체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124)는, 삽입부(12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4)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립 상대물에 직접적으로 나사결합되거나 별도의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4)는, 관통홀(11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4)는, 관통홀(11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관통홀(112)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24)는, 제1테이퍼부(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24a)는, 체결부(12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24a)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24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테이퍼부(124a)의 상단 직경은, 관통홀(1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관통홀(112)로의 삽입이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제1테이퍼부(124a)의 상단 테두리 혹은 외주면은, 관통홀(112)의 내주면 하단 테두리에 접촉하여 걸릴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삽입부(123)는, 상부에서 와셔부(122)가 관통홀(112) 상단 주위의 단자 바디(110) 상면에 접촉하여 걸리게 되고, 하부에서 체결부(124)의 제1테이퍼부(124a)가 관통홀(112) 내주면 하단 테두리에 접촉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관통홀(112) 내에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체결부(124)에는, 제2테이퍼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24b)는, 체결부(12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24b)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24b)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테이퍼부(124b)는, 상기 조립 상대물 또는 너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24b)는, 외주면 일부분이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설명한 볼트(120)는, 삽입부(123)가 관통홀(112) 내에 삽입된 채 와셔부(122) 및 제1테이퍼부(124a)가 각각 단자 바디(110)의 상면 및 하면 측에 걸림으로써 단자 바디(110)에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단자 바디(110)와 상호 일체화된 패키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100)는, 상기 조립 상대물과의 조립 시, 별도로 볼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볼트의 삽입 과정 및 파지 과정이 삭제되어 전체적인 조립 공수가 축소될 수 있으며, 볼트의 별도 관리 및 보관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110: 단자 바디
111: 회전 방지편 112: 관통홀
113: 바렐 113a: 인슐레이션 바렐
113b: 와이어 바렐 120: 볼트
121: 헤드부 122: 와셔부
123: 삽입부 124: 체결부
124a: 제1테이퍼부 124b: 제2테이퍼부

Claims (5)

  1.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자 바디; 그리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채 구속되어 상기 단자 바디와 일체화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관통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바디에는, 전선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바렐이 형성되는,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KR1020220103562A 2022-08-18 2022-08-18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KR20240025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62A KR20240025379A (ko) 2022-08-18 2022-08-18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562A KR20240025379A (ko) 2022-08-18 2022-08-18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379A true KR20240025379A (ko) 2024-02-27

Family

ID=9005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562A KR20240025379A (ko) 2022-08-18 2022-08-18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37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84Y1 (ko) 2009-12-17 2012-03-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KR20170143146A (ko)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편조선 적용 대전류 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84Y1 (ko) 2009-12-17 2012-03-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KR20170143146A (ko)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편조선 적용 대전류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3117B1 (en) A screw for electric connectors
US5672442A (en) Battery terminal and post with rotation inhibiting means
US5997341A (en) Terminal connecting-fixing construction
EP0533421A2 (en) Earthing stud
US6280263B1 (en) Anti-rotation terminal with captured nut
EP2641298B1 (en) Battery terminal with current sensor
US5800219A (en) Stamped battery terminal
JP5809793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04235135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20200091630A1 (en) Connecting Terminal And Coaxial Connector
US5013259A (en) Remote auxiliary terminal assembly
EP1117152B1 (en) A battery terminal
US9660363B2 (en) Battery terminal
KR20240025379A (ko) 하드웨어 일체형 단자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JP3629289B2 (ja) スタッドボルト端子のブッシュ
US11239534B2 (en) Compression clamp battery connection system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KR100445149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US20230369789A1 (en) Battery and battery clamp systems
US20220407195A1 (en) Battery terminal
US6857914B1 (en) Battery post connector apparatus
JP200309210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