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72Y1 -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 Google Patents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72Y1
KR200458272Y1 KR2020090005971U KR20090005971U KR200458272Y1 KR 200458272 Y1 KR200458272 Y1 KR 200458272Y1 KR 2020090005971 U KR2020090005971 U KR 2020090005971U KR 20090005971 U KR20090005971 U KR 20090005971U KR 200458272 Y1 KR200458272 Y1 KR 200458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t
extract
access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511U (ko
Inventor
지희관
Original Assignee
(주)지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가캡 filed Critical (주)지가캡
Priority to KR2020090005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모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는 복수개의 직물 조각 원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자의 본체부인 크라운부와 상기 크라운의 전면부에 부착된 챙부와 상기 크라운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위치한 헤드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에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다.
모자, 해충, 모기, 초음파, 살충

Description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A CAP FOR PROTECTING ACCESS OF HARMFULL INSECT}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모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로 등산, 낚시, 여행, 하이킹과 같은 야외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레저활동시 하절기나 산, 들판과 같은 곳에서는 모기와 같은 해충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레저의 즐거움을 반감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특히 야간 낚시와 같이 강가에서 오랫동안 한곳에 앉아있게 되면 모기와 같은 해충에 의해 많은 피해를 보게 되는데 특히 의복을 착용한 부위가 아닌 얼굴, 목 등은 피부가 바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해충에 의해 특히 많은 피해를 입는다.
이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등산이나 낚시, 운동, 여행이나 하이킹, 조깅 등과 같은 레져 및 스포츠 활동시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고, 햇빛을 차광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모자에 도 1과 같이 모자 주변에 그물이 둘러처진 모자를 착용하여 이 러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모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착용이 어려우며 또한 모자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야간에는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의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이러한 모자는 모자 착용자의 활동을 방해하며 착용자의 심미감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착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얼굴, 목등이 모기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입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착용자의 활동성을 방해하거나 심미감을 떨어뜨리지 않고 일반상황에서도 착용 가능한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기능이 모자에 소형 및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는 복수개의 직물 조각 원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자의 본체부인 크라운부와 상기 크라운의 전면부에 부착된 챙부와 상기 크라운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위치한 헤드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에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는 20KHz~65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직물 조각 원단에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해충방지액이 염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해충방지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40~60 중량%, 편뇌(Cinnamomum camphora) 추출물 20~30 중량 %, 곽향(Agastache rugosa) 추출물5~10 중량%, 육계(Cinnamomum sieboldii) 추출물 5~10중량%, 삼내자(Kaempferiagalanga)추출물 5~10중량 %, 백지(Angelica dahurica) 추출물 1~3중량% ,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는 얼굴, 목 등 피부가 직접 노출된 부위가 이 모기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입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기능이 모자에 소형 및 일체형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활동성을 방해하거나 심미감을 떨어뜨리지 않고 일반상황에서도 착용 가능한 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100)는 복수개의 직물 조각 원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자(100)의 본체부인 크라운부와 상기 크라운의 전면부에 부착된 챙부와 상기 크라운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위치한 헤드 밴드와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 후단부 즉, 착용자의 뒷머리 부분에 구비되는 초음파 발생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200)는 전원부(미도시), 초음파 발진기(미도시) 및 on/off 스위치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는 원형형태의 소형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20KHz~65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스피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소형의 다양한 형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초음파 발진기는 이미 종래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초음파의 주파수는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인 20KHz~65Khz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주파수의 초음파는 고주파수로 착용자는 들을 수 없고 인체에는 전혀 무해하며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싫어할 뿐만 아니라 쥐와 같은 유해한 동물도 싫어하기 때문에 쥐와 같은 유해한 동물의 접근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 대역을 해충이 일정 주파수 대역에 면역이 생길 경우 이를 수시로 가변하여 해충의 접근을 좀 더 잘 차단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주파수 가변부가 추가로 구비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송출되도록 구비하여 줄 수도 있다.
상기 on/off 스위치부는 상기 초음파의 발생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상에서는 이와 같은 초음파를 발생시키지 않다가 산, 들과 같은 해충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 야외 또는 하절기, 밤등과 같이 해충이 자주 출몰하는 시기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100)는 이와 같은 초음파발생장치(200)외에도 상기 모자(100)의 원단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해충방지액을 염착하여 줌으로서 해충의 접근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충방지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40~60 중량%, 편뇌(Cinnamomum camphora) 추출물 20~30 중량 %, 곽향(Agastache rugosa) 추출물5~10 중량%, 육계(Cinnamomum sieboldii) 추출물 5~10중량%, 삼내자(Kaempferiagalanga)추출물 5~10중량 %, 백지(Angelica dahurica) 추출물 1~3중량% ,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1~2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은 상기 해충방지액의 수용성 증가, 안정성 지속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편뇌, 곽향, 육계, 삼내자, 백지, 천궁 추출물은 화학적 방제법에의해 제조된 것이 아니라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모기이외에도 저장물해충, 위생해충, 건재해충에 대해서도 기피 또는 살충효과를 가진다. 즉, 모기이외에도 파리, 진드기, 전갈, 지네, 거미 등과 같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충방지액을 모자의 원단에 염착하여 줌으로써 초음파발생장치와 함께 해충의 접근을 이중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따른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의 구성도

Claims (4)

  1. 복수개의 직물 조각 원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자의 본체부인 크라운부와,
    상기 크라운의 전면부에 부착된 챙부와,
    상기 크라운의 내부 하단 둘레부에 위치한 헤드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에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크라운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직물 조각 원단에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해충방지액이 염착되되,
    상기 해충방지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40~60 중량%, 편뇌(Cinnamomum camphora) 추출물 20~30 중량 %, 곽향(Agastache rugosa) 추출물5~10 중량%, 육계(Cinnamomum sieboldii) 추출물 5~10중량%, 삼내자(Kaempferiagalanga)추출물 5~10중량 %, 백지(Angelica dahurica) 추출물 1~3중량% ,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는 20KHz~65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3. 삭제
  4. 삭제
KR2020090005971U 2009-05-18 2009-05-18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KR200458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71U KR200458272Y1 (ko) 2009-05-18 2009-05-18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71U KR200458272Y1 (ko) 2009-05-18 2009-05-18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11U KR20100011511U (ko) 2010-11-26
KR200458272Y1 true KR200458272Y1 (ko) 2012-02-15

Family

ID=4420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971U KR200458272Y1 (ko) 2009-05-18 2009-05-18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58B1 (ko) * 2015-07-31 2016-09-08 이진우 모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362A (zh) * 2015-03-08 2015-05-27 泉州市永茂电子科技有限公司 带有驱蚊装置的帽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050A (ko) * 1997-01-09 2000-11-25 베로니카 (수잔) 로빈슨 머리착용 물품용 방충 기판
KR20020046396A (ko) * 2000-12-13 2002-06-21 김경복 고주파 장치 및 제어
KR20090124459A (ko) * 2008-05-30 2009-12-03 (주)재성물산 휴대용 해충 퇴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050A (ko) * 1997-01-09 2000-11-25 베로니카 (수잔) 로빈슨 머리착용 물품용 방충 기판
KR20020046396A (ko) * 2000-12-13 2002-06-21 김경복 고주파 장치 및 제어
KR20090124459A (ko) * 2008-05-30 2009-12-03 (주)재성물산 휴대용 해충 퇴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58B1 (ko) * 2015-07-31 2016-09-08 이진우 모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11U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72033A (en) Sportsman's hat
US20090199323A1 (en) Securing device
KR200458272Y1 (ko) 해충접근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자
US1342277A (en) Mosquito-mask
KR200455730Y1 (ko) 레저용 헬멧 내피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CN209105923U (zh) 一种利于提升多方适应性的犬用可调佩戴工具
KR101035114B1 (ko)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101849852B1 (ko) 방충복
JP3859664B2 (ja) 防虫衣料
JP3204500U (ja) 防虫生地及び防虫スーツ
CA2935974C (en) Head covering assembly with attachable headband
KR20090011468U (ko) 방충용 낚시모자
CN218073682U (zh) 一种防蚊虫的军用野外作训帽
KR19980032121U (ko) 2중 망사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JP3234879U (ja) 帽子
CN201718348U (zh) 诱虫器的改良结构
CN209518294U (zh) 一种用于防护飞虫的头部用具
KR200483493Y1 (ko)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KR200200628Y1 (ko) 안면보호용 방충망
RU2184446C2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от укусов насекомых
CN108935437A (zh) 驱虫装置及其驱虫方法
KR102610638B1 (ko)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KR101863436B1 (ko) 주름진 내피를 이용하여 외피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를 각각 이격시킨 방충복
KR200373654Y1 (ko) 착용식 양산용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