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638B1 -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 Google Patents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638B1
KR102610638B1 KR1020210168935A KR20210168935A KR102610638B1 KR 102610638 B1 KR102610638 B1 KR 102610638B1 KR 1020210168935 A KR1020210168935 A KR 1020210168935A KR 20210168935 A KR20210168935 A KR 20210168935A KR 102610638 B1 KR102610638 B1 KR 10261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insect screen
sunshade
insect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139A (ko
Inventor
임희경
Original Assignee
임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경 filed Critical 임희경
Priority to KR102021016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6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4Hats; Caps; Hood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삿갓형태의 차양모자부; 및 상기 차양모자부 외부를 둘어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측으로 기 설정 길이를 가지는 방충망부;를 포함하는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Easy-to-wear hat-type insect repellent module}
본 발명은 방충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컴팩트하게 이루어지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자는 머리에 쓰는 신변 물품으로서, 착용의류와 조화를 이루어 멋을 낸다거나, 또는 레저, 운동, 산행시 야외에서의 활동성을 높이고 비나 눈, 햇빛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기능이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모자는 착용했을 때 안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모자를 쓰고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모자를 통해 햇빛을 차단하거나 머리를 어느 정도 보호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안면부의 노출에 따른 각종 유해성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다.
또한, 인체 얼굴의 안면부를 포함한 목 부분은 모자의 착용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노출상태가 되어 각종 유해성 해충의 접촉이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개량된 모자들은 이와 같은 유해성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과 거리가 멀고, 대부분 모자의 주 기능을 보완하거나 개량한 기술들이다.
예를 들면, 햇빛을 효과적이고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 구조 개선에 관한 것, 머리에 씌워지는 모자 본체 부분의 통기성을 향상하거나 기능적으로 개량한 것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해충의 활동이 왕성한 계절 조건에서 등산이나 낚시 등의 야외 활동 중에는 주 야간 관계없이 각종 유해성 해충들이 피부 노출 부위인 얼굴의 안면부를 포함하여 귀와 목 부분에 접근하여 피부에 직접 위해를 가해서 가려움증 등의 인체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818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햇빛을 막는 차양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적용하여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기능 방충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내구성 있는 구성을 이루는 다기능 방충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삿갓형태의 차양모자부; 및 상기 차양모자부 외부를 둘어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측으로 기 설정 길이를 가지는 방충망부;를 포함하는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부는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차양모자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모자부 둘레부에는 제1벨크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부는 상측에 상기 차양모자부의 제1벨크로부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은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에 의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차양모자로 사용하되 필요 시에는 모자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방충이 가능한 모자를 이루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에 의하면, 모자와 방충망 역할을 하는 방충망부의 설치 구조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설치 후 내구성 보장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에 적용되는 방충망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요부 확대도;
도 7은 차양모자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을 착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결합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101)은 차양모자부(110)와 방충망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차양모자부(110)는 전체적으로 삿갓형태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지며, 상기 방충망부(120)는 모기나 파리, 벌 등 다양한 해충이 들어올 수 없는 크기의 메시홀을 가지는 망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충망부(120)는 상기 차양모자부(110) 상측으로부터 덮어져 사용자의 얼굴이나 몸통 등을 둘어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측으로 기 설정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방충망부(120)는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차양모자부(110)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101)에 의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햇빛을 막는 차양모자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등산이나 낙시 등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필요 시에는 차양모자부(110)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방충망부(120)를 설치하여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는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양모자와 방충망 역할을 하는 방충망부의 설치 구조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결합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102)도 차양모자부(110)와 방충망부(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양모자부(110)는 전체적으로 삿갓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충망부(120)는 소정 크기의 메시홀을 가지는 망부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양모자부(110) 상부 외측 둘레부에는 제1벨크로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부(120)는 상측에 상기 차양모자부(110)의 제1벨크로부(112)에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되는 제2벨크로부(122)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충망부(120)는 양단측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3벨크로부(124)와 제4벨크로부(12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필요 시 상기 차양모자부(110)의 제1벨크로부(112)에 방충망부(120)의 제2벨크로부(122)를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방충망부(120)의 제3벨크로부(124)와 제4벨크로부(126)를 부착하여 사용자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해충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에 적용되는 방충망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충망부(120)의 양측으로 방충망부(120) 내부에 위치된 사용자의 손을 밖으로 빼낼 수 있는 손배출유닛(130)이 구비된다.
상기 손배출유닛(130)은 상하방향으로 절개부(131)가 형성된 유연보드부(1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연보드부(132)는 우레탄폼 재질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절개부(131)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양모자부(110) 상부로부터 사용자를 덮어 감싸도록 상기 방충망부(120)를 설치하되, 필요 시에는 방충망부(120) 내부에 위치된 사용자가 손을 상기 절개부(131)를 통하여 방충망부(120) 외부로 배출시키어 다양한 작업 활동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은 차양모자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부(210)는 단면상 전체 차양모자부의 주요 외관을 이루며 삿각형태의 삿갓모자몸체부(212)와, 상기 삿갓모자몸체부(212)의 내부 중앙부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착용되는 내부착용부(218)와, 상기 내부착용부(218) 상측으로 상기 삿갓모자몸체부(212) 내부 중앙부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부(214)와, 상기 탄성부(214) 외부에 구비되는 외피부(216)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착용부(218)는 소정의 모자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삿갓모자몸체부(212)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214)는 스폰지나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부(216)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부 표면에 상당히 작은 크기의 돌기부(216a)가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차양모자부(210)를 적용 시에는 차양모자부(210) 상측에 전술한 방충망부(120)를 덮어 감싸는 경우에 차양모자부(210) 상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외피부(216)의 돌기부(216a)에 방충망부(120)가 접촉하게 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방충망부(210)의 이동을 막아 안정적인 설치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양모자부(210) 상부에 탄성부(214)와 고무재질의 외피부(216)가 적용되어 상기 방충망부(120)를 하측이나 측부로 외력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도 탄성부(214)와 외피부(216)의 변형을 통하여 차양모자부(210)에 접하고 있는 방충망부(120)의 파손 방지 역할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방충망부(120)의 상측부는 고무재로 코팅되도록 하여 상기 외피부(216) 방충망부(120)가 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삿갓 형태의 차양모자부(110)와, 방충망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방충망부(120) 외부를 덮어 감싸는 비닐덮개부(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닐덮개부(150)는 상기 방충망부(120)와 동일하게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충망부(120)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상기 방충망부(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부(120) 내측에는 포켓부(128)가 구비되며, 상기 포켓부(120)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충망부(120) 내측으로 모기 등의 해충이 유입된 경우에 상기 비닐덮개부(150)를 상기 방충망부(120)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설치 후에 상기 포켓부(128)에 소정의 모기향을 설치하고 방충망부(120) 내측에 유입된 해충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우천 시 등에 비닐덮개부(150)를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을 이루는 방충망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을 착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메시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방충망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방충망부(120)의 하부 둘레부에 둘레띠부(12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둘레띠부(12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끼움부(1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띠부(125) 위치로 사용자가 방충망부(120)들 덮어 감싼 경우에 사용자의 하부 허리 등의 위치로 방충망부(120) 하측이 가압되며 감싸도록 하는 탄성밴드부(17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부(172)는 기 설정 이격간격마다 상기 끼움부(182)에 단추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돌기부(184)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밴드부(172)를 이용 상기 방충망부(120) 하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하측으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끼움돌기부(184)가 구비된 탄성밴드부(172)를 일부 구간만 상기 끼움부(182)에 고정되도록 하여 필요 시에만 사용을 방충망부(120) 하부 폐쇄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밴드부(172)의 양단부에는 자석부가 적용되어 탄성밴드부(172)의 양단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들 구성은 각 실시예들에 서로 병행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110: 차양모자부
120: 방충망부
112: 제1벨크로부
122: 제2벨크로부
124: 제3벨크로부
126: 제4벨크로부

Claims (3)

  1. 삿갓 형태의 차양모자부; 및 상기 차양모자부 외부를 둘러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측으로 기 설정 길이를 가지는 방충망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충망부는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차양모자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소정 크기의 메시홀을 가지는 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충망부를 상기 차양모자부에 설치 시 상기 방충망부의 양측으로 상기 방충망부 내부로부터 외부로 사용자의 손을 밖으로 빼낼 수 있는 손배출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손배출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유연보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연보드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절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양모자부는 단면상 상기 차양모자부의 주요 외관을 이루며 삿갓 형태의 삿갓모자몸체부와, 상기 삿갓모자몸체부의 내부 중앙부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착용되는 내부착용부와, 상기 내부착용부와 상기 삿갓모자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와, 상기 삿갓모자몸체부 상측 외부에 구비되는 외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착용부는 모자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삿갓모자몸체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부 표면에 상당히 작은 크기의 돌기부가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구비되는,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모자부 둘레부에는 제1벨크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부는 상측에 상기 차양모자부의 제1벨크로부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부가 구비되는,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KR1020210168935A 2021-11-30 2021-11-30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KR102610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935A KR102610638B1 (ko) 2021-11-30 2021-11-30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935A KR102610638B1 (ko) 2021-11-30 2021-11-30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139A KR20230081139A (ko) 2023-06-07
KR102610638B1 true KR102610638B1 (ko) 2023-12-05

Family

ID=867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935A KR102610638B1 (ko) 2021-11-30 2021-11-30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6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52Y1 (ko) * 2006-05-02 2006-07-14 이숙영 양봉용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183B1 (ko) 2017-10-27 2018-11-13 박연오 방충 및 차양기능을 갖는 모자
KR20190001650U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방충망을 갖춘 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52Y1 (ko) * 2006-05-02 2006-07-14 이숙영 양봉용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139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648A (en) Cap with pocket for receiving neck shield
KR200450004Y1 (ko)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KR101530061B1 (ko)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US20160066639A1 (en) Water Aerobic Cover for the Hair
US6049904A (en) Insect protective head screen attachable to a baseball style hat
KR101017329B1 (ko) 말벌 방호복
KR102610638B1 (ko)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KR101784256B1 (ko) 고글부착 페이스가드
US3407408A (en) Swimming cap
KR200457080Y1 (ko)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200295965Y1 (ko) 마스크 부착형 자외선 차단 모자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US20050028451A1 (en) Weather screen apparatus
KR101455257B1 (ko) 모자 결합형 수건
KR100801178B1 (ko) 안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200239234Y1 (ko) 모자용 착탈식 햇볕 및 해충가리개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KR200200628Y1 (ko) 안면보호용 방충망
KR20090011468U (ko) 방충용 낚시모자
KR101954572B1 (ko) 방충망과 차양막을 구비한 군용 또는 산업용 안전모
KR20110002053U (ko) 해충 차단용 모자
KR200373422Y1 (ko) 햇빛 차단용 토시
KR200373654Y1 (ko) 착용식 양산용 방충망
KR200259893Y1 (ko) 휴대용 방충망
KR20160099262A (ko) 방충용 모자를 구비한 우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