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50U - 방충망을 갖춘 모자 - Google Patents

방충망을 갖춘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650U
KR20190001650U KR2020170006663U KR20170006663U KR20190001650U KR 20190001650 U KR20190001650 U KR 20190001650U KR 2020170006663 U KR2020170006663 U KR 2020170006663U KR 20170006663 U KR20170006663 U KR 20170006663U KR 20190001650 U KR20190001650 U KR 20190001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cap
net
cap body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한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Priority to KR2020170006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650U/ko
Publication of KR20190001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을 갖춘 모자에 관한 것으로써, 머리에 씌워지는 공간을 갖는 모자본체(110)와, 상기 모자본체(110)로부터 원형테두리 형태로 둥글게 연장된 차광막(120)을 포함하고,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단에 조임끈(131)이 구비된 방충망(130)을 갖춘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130)을 말아 올려서 수납하기 위한 모자본체(110)의 상단부위를 가로질러 형성된 지퍼(141)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방충망주머니부(140)와, 상기 방충망주머니부(140) 내에 방충망(130)의 일단이 박음질부(111)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방충망주머니부(140)로부터 방충망(130)을 꺼내어 뒤집어서 모자본체(110) 및 차광막(120) 전체를 덮어씌우는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늘어뜨려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충망을 갖춘 모자{Protecting cap with a mosquito net}
본 고안은 방충망을 갖춘 모자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모자본체의 상단 부위에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방충망주머니부를 형성하고, 이 방충망주머니부 내에 그물망 형태를 갖는 방충망의 일단을 박음질함으로써, 모자본체의 상단 부위에 방충망을 접어서 수납하기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꺼내어 모자본체 및 차광막 전체를 덮어씌운 상태로 길게 늘어뜨려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방충용으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방충방을 갖춘 모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모자는 인체의 머리에 착용하는 모자본체부와,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부(혹은, 차광부)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모자는 착용했을 때 안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모자를 쓰고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모자를 통해 햇빛을 차단하거나 머리를 어느 정도 보호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안면부의 노출에 따른 각종 유해성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다.
또한, 인체 얼굴의 안면부를 포함한 목 부분은 모자의 착용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노출상태가 되어 각종 유해성 해충의 접촉이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개량된 모자들은 이와 같은 유해성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과 거리가 멀고, 대부분 모자의 주 기능을 보완하거나 개량한 기술들이다.
예를 들면, 햇빛을 효과적이고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 구조 개선에 관한 것, 머리에 씌워지는 모자 본체 부분의 통기성을 향상하거나 기능적으로 개량한 것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해충의 활동이 왕성한 계절 조건에서 등산이나 낚시 등의 야외 활동 중에는 주 야간 관계없이 각종 유해성 해충들이 피부 노출 부위인 얼굴의 안면부를 포함하여 귀와 목 부분에 접근하여 피부에 직접 위해를 가해서 가려움증 등의 인체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양봉업자는 벌에 접근할 때 모자를 쓰는 것은 물론 인체 안면부를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틈이 없도록 방충망으로 가린 후 벌에 접근하고 있는바, 각종 해충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지역에서는 이와 같이 모자 외에 간편하게 피부 노출 부위를 가릴 수 있는 적절한 도구가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7-0002220호(1987.6.25.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2540호(1998.11.16. 공개),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2541호(1998.11.16. 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6276호(2004.11.10.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063호(2011.3.3. 공개) 등에는 방충 혹은 해충 차단용 모자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6276호에 개시된 탈부착형 방충모자와 관련된 기술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탈부착형 방충모자는 모자(10)의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차양을 위해 충분한 크기의 챙(12)이 형성되고, 상기 모자(10)의 일측으로 방충구(20)를 접어서 넣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는 주머니(1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자(10)와 체결수단에 의해 탈리 혹은 부착되는 방충구(20)는 원통형의 둘레를 따라 망사(22)가 형성되고, 상기 망사의 하단부에는 조임끈(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지퍼가 사용되는 것으로, 일측 지퍼(14)는 챙(1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부착되고, 타측 지퍼(24)는 방충구(20)의 망사 상단부를 따라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퍼(14,24)를 체결하는 손잡이(16)가 일측의 지퍼에 부착된다.
따라서, 탈부착형 방충모자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는바, 먼저, 챙(12)의 둘레와 방충구(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부착된 지퍼(14,24)를 채우게 되면 모자(10)와 방충구(20)가 일체로 되고, 상기 모자를 착용하고 조임끈(26)을 조여 준 다음, 양봉지역 및 벌레가 많은 구역으로 투입될 때, 벌 및 벌레의 공격으로부터 안면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전술한 양봉지역 등에서 벗어나게 되는 즉시, 지퍼(14,24)를 열고 방충구(20)를 분리시키게 되면서 차양목적의 모자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충구(20)는 주머니(18)의 크기대로 접어서 주머니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탈부착형 방충모자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알려진 방충망을 구비한 모자는 대부분 방충망이 탈부착식으로 모자의 차양부나 모자본체의 테두리 부위에 벨크로 타입으로 탈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로 인해, 방충이 필요한 곳에서 모자에 방충망을 탈부착하여 착용하는 경우, 방충망의 탈부착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고, 분리 보관되는 방충망을 수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본체 일측면에 보관주머니를 만들어 방충망을 보관하는 방법도 강구하고 있으나, 이렇게 모자 측면에 보관주머니를 형성하여 방충망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모자의 측면이 수납된 방충망으로 인해 외측으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모자의 외관미가 떨어지는 등 디자인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7-0002220호(1987.6.25. 공고, 명칭: 방충용 모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2540호(1998.11.16. 공개, 명칭: 방충망 착탈식 모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2541호(1998.11.16. 공개, 명칭: 방충망을 구비한 모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6276호(2004.11.10. 공고, 명칭: 탈부착형 방충모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053호(2011.3.3. 공개, 명칭: 해충 차단용 모자)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충망을 갖춘 모자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모자본체의 상단 부위에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방충망주머니부를 형성하고, 이 방충망주머니부 내에 그물망 형태를 갖는 방충망의 일단을 박음질함으로써, 모자본체의 상단 부위에 방충망을 접어서 수납하기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꺼내어 모자본체 및 차광막 전체를 덮어씌운 상태로 길게 늘어뜨려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방충용으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방충방을 갖춘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에 씌워지는 공간을 갖는 모자본체와, 상기 모자본체로부터 원형테두리 형태로 둥글게 연장된 차광막을 포함하고,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단에 조임끈이 구비된 방충망을 갖춘 모자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을 말아 올려서 수납하기 위한 모자본체의 상단부위를 가로질러 형성된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방충망주머니부와, 상기 방충망주머니부 내에 방충망의 일단이 박음질부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방충망주머니부로부터 방충망을 꺼내어 뒤집어서 모자본체 및 차광막 전체를 덮어씌우는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늘어뜨려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된 방충망을 갖춘 모자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차광막이 시작되는 모자본체 부위에는 그물망 형태의 제1통기부가 모자본체의 전체에 걸쳐 둥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제1통기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모자본체의 방충망주머니부의 바로 아래쪽에도 그물망 형태의 제2통기부가 모자본체의 전체에 걸쳐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자본체의 상단 부위에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방충망주머니부를 형성하고, 이 방충망주머니부 내에 그물망 형태를 갖는 방충망의 일단을 박음질함으로써, 모자본체의 상단 부위에 방충망을 접어서 수납하기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꺼내어 모자본체 및 차광막 전체를 덮어씌운 상태로 길게 늘어뜨려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할 수 있어 방충용으로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등산, 낚시와 같은 레저 생활에 따른 야외 활동에서 해충 차단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고, 해충이나 벌레 등의 접촉이 잦은 농업분야 및 군인들이 야외 근무나 풀숲을 수색할 때와 같은 다양한 현장 및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방충망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는 간편하게 방충망을 접어서 모자본체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방충망주머니부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방충망이 수납되더라도 모자본체 내측으로 방충망주머니부가 내려앉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모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모자 본연의 디자인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6276호에 개시된 탈부착형 방충모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탈부착형 방충모자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을 갖춘 모자를 보여주는 실물사진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서 보여 준 방충망을 갖춘 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을 갖춘 모자에서 방충망주머니부에서 방충망을 꺼낸 상태를 보여주는 실물사진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이 모자본체 및 차광막 전체를 덮어씌운 상태로 늘어뜨려진 모양을 정면 및 배면에서 각각 보여주는 실물사진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단", "하방" 등과 같은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혹은 명칭)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부여되는 용어로써, 용어 자체의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 및 배열 관계의 변화에 따라 방향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른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 자체 또한 변경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본 고안을 구현하는 데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구성에 대해서 도시하거나 기술하지 않고 생략될 수 있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을 갖춘 모자(100)는, 통상의 모자에서와 마찬가지로, 머리에 접촉하여 씌워지는 공간을 갖는 모자본체(110)와, 상기 모자본체(110)로부터 원형테두리 형태로 둥글게 연장된 차광막(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차광막(120)의 내측으로부터 좌우 대향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목에 모자를 고정할 수 있도록 턱조임끈(1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턱조임끈(113) 상에는 턱조임끈(113)을 조일 수 있는 조임구(112)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도면부호 114는 모자폭조절끈(114)으로 필요에 따라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모자(100)의 착용부위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방충망을 갖춘 방충용 모자의 경우, 방충망을 대부분 차광막을 따라 탈부착식으로 구성함에 따른 방충망의 보관 방식의 불편함 및 탈부착식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다 보관의 용이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추구하여 실용적인 측면을 보완하고자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자본체(110)의 상단 부위에는 모자본체(110)의 상단부위를 가로질러 형성된 지퍼(141)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방충망주머니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방충망주머니부(140)는 방충망(130)을 말아 올려서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도 3의 실물사진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퍼(141)로 개폐되는 지퍼라인(142)이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퍼라인(142)이 모자본체(110) 재질로 덮여 있어 유심히 살피지 않으면, 지퍼라인(1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아볼 수 없을 만큼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고, 방충망주머니부(140)가 모자본체(110) 상단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자본체(110) 외관 자체가 매우 자연스럽고 미려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주머니부(140) 내에는 방충망(130)의 일단이 박음질부(111)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충망(13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방충망주머니부(140)로부터 방충망(130)을 꺼내고, 이렇게 꺼낸 상태에서는 그대로 방충망(130)을 덮어 씔 수가 없기 때문에 박음질된 일단을 중심으로 방충망(130)을 뒤집어서 모자본체(110) 및 차광막(120) 전체를 덮어씌우는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늘어뜨림으로써,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충망(12)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시계(視界)가 차단되지 않으면서도 통풍이 자유롭고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격자형 망사 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형 망사 천은, 흔히 모기장에 쓰이는 소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접혀지고 펼쳐짐이 가능하고 주름이 잡히지 않으면서 일정한 탄력이 있는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단에 조임끈(131)이 구비된 방충망(130)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방충망 하단에 조임끈(131)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조여주는 것은 주지 관용적인 주지의 기술임은 물론이다.
즉, 상기 방충망(130)의 하단부에는 하단 테두리부를 따라서 조임끈(131)을 삽입하는 형식으로 구비하여 방충망(130)의 하부를 오므려지게 좁히거나 또는 벌려서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방충망(130)을 밑으로 내린 상태에서 조임끈(131)을 조이면 방충망(130)의 하단이 오므라들어 목 혹은 가슴 부분에 최대로 밀착되는 상태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해충의 침입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벌려서 위로 올리는데 장애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충망(130)을 접어서 올릴 때 상부 측으로 쉽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방충망(130)을 제작할 때 일측면에 봉제선이 형성되도록 박음질하여 대략 원통형으로 방충망(130)이 형성되는 관계로, 상기 봉제선을 기준으로 납작하게 밀착시킨 후 일정크기로 접게 되면 최대한 얇은 두께로 접을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충망주머니부(140)에 수납하게 되면, 모자본체(110)의 상단부위에 방충망(130)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납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본체(110) 내측으로 방충망주머니부(140)가 내려앉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적으로 아무런 표시도 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보다 쉽고 간편하면서도 빠르게 방충망(130)을 접어서 수납할 수 있어 탈부착의 번거로움과 보관의 불편함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방충망(130)이 모자본체(110)에 직접 결합되는 형식이므로, 따로 방충망(130)을 부착하거나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부착을 위한 사전 조작도 불필요함은 물론, 항상 모자본체(110)에 수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모자 전체의 외관 불량을 야기하지도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을 구비한 모자(100)는 차광막(120)이 시작되는 모자본체(110)부위에 그물망 형태의 제1통기부(115)가 모자본체(110)의 전체에 걸쳐 둥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제1통기부(115)와 일정 간격을 두고 모자본체(110)의 방충망주머니부(140)의 바로 아래쪽에도 그물망 형태의 제2통기부(116)가 모자본체(110)의 전체에 걸쳐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모자를 씐 착용자의 머리쪽으로 우수한 통기성을 구현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특징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을 구비한 모자(100)는, 모자의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야외 활동이나 기타 활동 중 필요에 따라 각종 유해성 해충의 침입을 차단할 목적으로 모자본체(110)에 방충망(130)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꺼내서 뒤집어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130)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는 간편하게 방충망(130)을 접어서 모자본체(110)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방충망주머니부(130)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방충망(130)이 수납되더라도 모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모자 본연의 디자인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르면, 모자 자체에 방충망이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필요에 따라 방충망(130)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을 구비한 모자는, 모자에 방충망을 기능적으로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등산, 낚시와 같은 레저 야외 활동에서 해충 차단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해충이나 벌레 등의 접촉이 잦은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군인들이 야외 근무나 풀숲을 수색할 때에도 본 고안이 적용된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효과적으로 방충 혹은 해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입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100 : 모자 110 : 모자본체
111 : 박음질부 112 : 조임구
113 : 턱조임끈 114 : 모자폭조절끈
115 : 제1통기부 116 : 제2통기부
120 : 차광막 130 : 방충망
131 : 조임끈 140 : 방충망주머니부
141 : 지퍼 142 : 지퍼라인

Claims (2)

  1. 머리에 씌워지는 공간을 갖는 모자본체(110)와, 상기 모자본체(110)로부터 원형테두리 형태로 둥글게 연장된 차광막(120)을 포함하고,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단에 조임끈(131)이 구비된 방충망(130)을 갖춘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130)을 말아 올려서 수납하기 위한 모자본체(110)의 상단부위를 가로질러 형성된 지퍼(141)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방충망주머니부(140)와, 상기 방충망주머니부(140) 내에 방충망(130)의 일단이 박음질부(111)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방충망주머니부(140)로부터 방충망(130)을 꺼내어 뒤집어서 모자본체(110) 및 차광막(120) 전체를 덮어씌우는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늘어뜨려 각종 해충으로부터 안면부 및 목 부분의 노출 부위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을 갖춘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20)이 시작되는 모자본체(110) 부위에는 그물망 형태의 제1통기부(115)가 모자본체(110)의 전체에 걸쳐 둥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제1통기부(115)와 일정 간격을 두고 모자본체(110)의 방충망주머니부(140)의 바로 아래쪽에도 그물망 형태의 제2통기부(116)가 모자본체(110)의 전체에 걸쳐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을 구비한 모자.
KR2020170006663U 2017-12-21 2017-12-21 방충망을 갖춘 모자 KR201900016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663U KR20190001650U (ko) 2017-12-21 2017-12-21 방충망을 갖춘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663U KR20190001650U (ko) 2017-12-21 2017-12-21 방충망을 갖춘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50U true KR20190001650U (ko) 2019-07-01

Family

ID=6722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663U KR20190001650U (ko) 2017-12-21 2017-12-21 방충망을 갖춘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6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139A (ko) * 2021-11-30 2023-06-07 임희경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220Y1 (ko) 1985-05-21 1987-06-25 강형중 방충용 모자
KR19980062540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루프 패널 강성 보강구조
KR19980062541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배플 플레이트 구조
KR100366276B1 (ko) 1994-10-24 2003-07-16 디트마르 페니히 보운스크루를고정시키기위한클램프커플링
KR20110002053A (ko) 2008-03-31 2011-01-06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포토마스크 블랭크, 포토마스크 및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220Y1 (ko) 1985-05-21 1987-06-25 강형중 방충용 모자
KR100366276B1 (ko) 1994-10-24 2003-07-16 디트마르 페니히 보운스크루를고정시키기위한클램프커플링
KR19980062540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루프 패널 강성 보강구조
KR19980062541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배플 플레이트 구조
KR20110002053A (ko) 2008-03-31 2011-01-06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포토마스크 블랭크, 포토마스크 및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139A (ko) * 2021-11-30 2023-06-07 임희경 착용이 편리한 모자형 방충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8899C (en) Headgear with enclosure for an insect screen
US5713076A (en) Insect barrier headgear
US6233738B1 (en) Insect protective head screen attachable to several different types of hats
US2472033A (en) Sportsman's hat
US9402432B2 (en) Sun protection device
US20140359918A1 (en) Hat with adjustable shading and related methods
US6049904A (en) Insect protective head screen attachable to a baseball style hat
US20150057621A1 (en) Headgear
US3505678A (en) Multipurpose hair net
KR101415117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KR20190001650U (ko) 방충망을 갖춘 모자
KR100961852B1 (ko) 다기능 차양모자
KR101897921B1 (ko) 차양방충망을 구비한 다목적 모자
US20150313293A1 (en) Insect Protection Garment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20100001044U (ko)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20050024937A (ko) 해충방제용 보호망
KR101954572B1 (ko) 방충망과 차양막을 구비한 군용 또는 산업용 안전모
JP2019103427A (ja) 動物用フェイスカバー
KR200437770Y1 (ko) 안면 보호용 방충망
RU2184446C2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от укусов насекомых
KR20110002053U (ko) 해충 차단용 모자
KR20090011468U (ko) 방충용 낚시모자
JP3236101U (ja) フェイスガード付き日除け帽子
KR20160099262A (ko) 방충용 모자를 구비한 우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