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71Y1 -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71Y1
KR200458271Y1 KR2020100011918U KR20100011918U KR200458271Y1 KR 200458271 Y1 KR200458271 Y1 KR 200458271Y1 KR 2020100011918 U KR2020100011918 U KR 2020100011918U KR 20100011918 U KR20100011918 U KR 20100011918U KR 200458271 Y1 KR200458271 Y1 KR 200458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spherical body
coupling
transmission line
hemisphe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to KR2020100011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는 부위에 송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내부가 빈 상태의 구형 몸체와,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의 방진 부재와, 관통홀 부위에서 구형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송전선을 홀딩하여 구형 몸체를 송전선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공의 강풍에 의한 진동충격을 억제하여 소음을 줄이고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본 고안은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 또는 야간에 저공 비행중인 항공기로부터 송전선 등과 같은 고공 장애물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송전 또는 통신을 위한 송전선은 지면으로부터 매우 높은 높이로 설치된 다수의 송전탑들 사이에서 고공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송전선은 저공에서 고속으로 비행하는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에겐 위험 요소가 되지만, 항공기에서 송전선을 신속하게 식별하여 회피하기란 실질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렇기 때문에 항공기에서 상기 송전선을 원거리에서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송전선에 별도의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원거리에서도 식별할 수 있도록 부피가 큰 구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구형 몸체는 제조의 용이성 등을 위해서 한 쌍의 반구체들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반구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형 몸체는 고공에서 부는 강한 바람에 의해 몸체 후면에 불특정한 형태의 진공발생으로 제1 및 제2 반구체가 벌어짐과 닫임 현상이 반복되면서 결합부위에 진동충격이 가해지며, 이러한 진동충격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에는 몸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공에서 부는 바람에 의해 분리형 구조를 갖는 구형 몸체에 발생되는 진동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가 결합되는 부위에 송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내부가 빈 상태의 구형 몸체와,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의 방진 부재와, 상기 관통홀 부위에서 상기 구형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송전선을 홀딩하여 상기 구형 몸체를 상기 송전선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반구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는 각각 원형의 결합 부위에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의 결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내부가 빈 상태의 구형 몸체와,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의 방진 부재와, 상기 구형 몸체에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구형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송전선에 체결되는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제2 체결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형 몸체를 상기 송전선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반구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는 각각 원형의 결합 부위에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의 결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형 몸체에서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 사이에 방진 부재가 개재됨으로써, 결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서 진동충격을 완화함으로써 구형 몸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반구체의 안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반구체의 안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는 구형 몸체(110), 방진 부재(120) 및 홀더부(130)를 포함한다.
구형 몸체(110)는 제1 반구체(111) 및 제2 반구체(112)를 포함한다. 구형 몸체(110)는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가 마주보며 결합된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의 결합은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구형 몸체(110)가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의 결합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은 제조의 용이성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서이다. 구형 몸체(110)는 항공기로부터 원거리에서의 식별을 가능하도록 사이즈(부피)가 큰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송전선(W)에 설치되는 만큼 무게가 가벼운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런 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하여 구형 몸체(110)는 내부가 빈 상태로 부피를 크게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금형을 이용하여 구형 몸체(1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들로 분리가 가능해야 하므로, 구형 몸체(110)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구형 몸체(110)는 고공의 송전선(W)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가벼우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형 몸체(110)는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가 결합되는 부위에 송전선(W)이 관통하는 관통홀(113)을 갖는다. 관통홀(113)은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에 각각 반씩 형성되는 것이 송전선(W)에 설치할 때 용이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처럼 송전선(W)이 관통하는 관통홀(113) 부위에 이하에서 설명하게될 홀더부(130)가 구비되어 송전선(W)을 홀딩 하게 된다.
구형 몸체(11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는 각각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서 서로 맞춤 결합을 위한 결합홈(114) 및 결합 돌기(11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반구체(111)는 원형의 결합 부위, 예컨대 림(rim)의 접촉면을 따라서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결합홈(114)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구체(112)는 원형의 결합 부위, 예컨대 림(rim)의 접촉면을 따라서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15)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115)의 폭은 결합홈(114)에 끼움 가능하도록 결합홈(114)의 폭과 같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 각각은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결합홈(114) 및 결합 돌기(115)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림부가 방사상으로 확장(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는 결합홈(114) 및 결합 돌기(115)를 통해서 측면으로의 밀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구형 몸체(11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 각각은 내부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 각각은 결합 부위는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지만, 중심 부위는 재질 특성 및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인해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강 부재(116)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 각각에 대하여 내부면에 십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강 부재(116)는 방사상 형태로 구성되거나, 십자 및 방사상 형태가 복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형 몸체(11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 각각은 고공에서 바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개구된 다수의 슬릿들(11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들(117)은 중심 부위를 기점으로 방사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슬릿들(117)은 격자 구조 또는 빗살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릿들(117)은 별다른 소음 없이 바람의 통과는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작은 조류 등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슬릿들(117)의 폭은 소음 없이 원활한 바람의 통과가 가능하고 작은 조류 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약 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 부재(120)는 제1 반구체(110)와 제2 반구체(120) 사이에 개재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방진 부재(120)는 제1 반구체(110)와 제2 반구체(120)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제1 반구체(110)와 제2 반구체(120) 사이의 진동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진 부재(120)는 효과적인 진동충격의 흡수를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방진 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띠 형상일 수 있다.
방진 부재(120)는 예를 들어 제1 반구체(110)의 결합홈(114)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진 부재(120)는 결합홈(114)의 바닥면과 결합 돌기(115)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방진 부재(120)는 충분한 방진 효과를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반구체(112) 각각에 평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진 부재(120)에 의한 진동충격의 완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방진 부재(120)는 결합홈(114)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115)를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방진 부재(120)가 결합 돌기(115)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 경우, 상하 및 측면 방향 즉 전 방향에서의 진동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이처럼, 방진 부재(120)가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의 결합 부위에 개재됨으로써, 강풍에 의해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충격은 방진 부재(120)에 의해 흡수되어 억제된다. 이로써, 구형 몸체(110)가 설치된 송전선(W)의 주변 환경을 개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곳에 인접한 지역 주민들이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 사이의 진동충격으로 인한 기물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홀더부(130)는 구형 몸체(110)의 관통홀(113) 부위에 구성되며, 송전선(W)을 홀딩함으로써 구형 몸체(110)를 송전선(W)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홀더부(130)는 관통홀(113) 부위에서 구형 몸체(110)로부터 송전선(W)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홀더부(130)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송전선(W)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즉, 홀더부(130)는 제1 반구체(111)로부터 연장된 부분과 제2 반구체(112)로부터 연장된 부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강한 힘으로 송전선(W)을 홀딩하기 위하여 볼트 및 너트를 통해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홀더부(130)가 송전선(W)을 홀딩하기 위한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 구형 몸체(11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는 맞춤 결합을 위한 결합홈(114) 및 결합 돌기(115)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방진 부재(120)를 이용하여 결합홈(114) 및 결합 돌기(115)를 생략하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 부위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진 부재(120)는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의 결합 부위에 개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는 각각 결합 부위 즉, 림의 접촉면을 따라서 방진 부재(120)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홈(118, 119)이 구비된다. 이 경우 방진 부재(120)는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의 결합에 의해서 제1 및 제2 수납홈(118, 119)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방진 부재(120)는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진동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제1 반구체(111)와 제2 반구체(112) 사이에서 일종의 키(key; 예컨대 묻힘키) 역할을 함으로써, 제1 및 제2 반구체(111, 112)는 측면으로의 밀림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수납홈(118, 119)은 방진 부재(1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방진 부재(120)는 효율적인 밀림 방지를 위하여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형 몸체가 송전선에 설치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므로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200)는 구형 몸체(210), 방진 부재(220), 제1 체결 부재(230), 제2 체결 부재(240) 및 연결 부재(250)를 포함한다.
구형 몸체(210)는 제1 반구체(211)와 제2 반구체(21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결합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결합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형 몸체(21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반구체(211, 212)는 각각 내부면에 보강 부재(216)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소음 감소를 위해 바람을 통과시키는 슬릿들(217)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형 몸체(2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형 몸체(110)와 관통홀(113)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방진 부재(220)는 제1 반구체(211)와 제2 반구체(212) 사이에 개재된다. 즉, 방진 부재(220)는 제1 반구체(211)와 제2 반구체(212)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고공의 강풍에 의해서 제1 반구체(211)와 제2 반구체(212)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방진 부재(2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방진 부재(22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방진 부재(220)의 배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진 부재(120)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체결부(230)는 구형 몸체(21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체결부(230)는 구형 몸체(210)의 상단부 즉, 제2 반구체(212)의 중심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구형 몸체(21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반구체(211, 212)의 배치가 좌우인 경우에, 제1 체결부(230)는 제1 및 제2 반구체(211, 212)가 결합된 부위에 체결될 수도 있다.
제2 체결부(240)는 송전선(W)에 체결된다. 즉, 제2 체결부(240)는 구형 몸체(210)를 고정하고자 하는 송전선(W)의 일 지점에 체결된다.
연결 부재(250)는 제1 체결부(230)와 제2 체결부(240)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250)는 제1 체결부(230)와 제2 체결부(240)의 연결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구형 몸체(210)를 송전선(W)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형 몸체(210)는 송전선(W)에 매달린 구조로 설치된다. 연결 부재(250)는 예를 들어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부(230, 240)의 실시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각각 구형 몸체(210) 및 송전선(W)과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체결부(230, 240)의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200)의 설치는, 먼저 지상에서 제1 체결부(230)를 구형 몸체(210)에 체결시킨다. 이어, 제1 체결부(230)가 체결된 구형 몸체(210)와 제2 체결부(240) 및 연결 부재(250)를 송전선(W)으로 이동한다. 이어, 제2 체결부(240)를 송전선(W)에 체결시키고, 연결 부재(250)를 송전선(W)에 체결된 제2 체결부(240)에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제2 체결부(240)에 연결된 연결 부재(250)에 구형 몸체(210)를 연결시켜 설치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처럼, 구형 몸체(210)를 송전선(W)에 매달린 구조로 구성하는 경우엔, 도 1에서와 같이 송전선(W)에 직접 구형 몸체(도 1의 110)를 설치하는 방식보다 그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형 몸체에서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 사이에 방진 부재가 개재됨으로써, 고공에서의 강풍에 의해 결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서 진동충격을 완화함으로써 구형 몸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피해를 줄이면서 송전선을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는 설치 지역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0, 200: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110: 구형 몸체 111: 제1 반구체
112: 제2 반구체 113: 관통홀
114: 결합홈 115: 결합 돌기
116: 보강 부재 117: 슬릿
118: 제1 수납홈 119: 제2 수납홈
120, 122: 방진 부재 130: 홀더부
210: 구형 몸체 211: 제1 반구체
212: 제2 반구체 220: 방진 부재
230: 제1 체결 부재 240: 제1 체결 부재
250: 연결 부재

Claims (8)

  1.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가 결합되는 부위에 송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내부가 빈 상태의 구형 몸체;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의 방진 부재; 및
    상기 관통홀 부위에서 상기 구형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송전선을 홀딩하여 상기 구형 몸체를 상기 송전선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반구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는 각각 원형의 결합 부위에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의 결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5.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내부가 빈 상태의 구형 몸체;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반구체와 상기 제2 반구체 사이의 진동충격을 완화하는 탄성을 갖는 재질의 방진 부재;
    상기 구형 몸체에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재;
    상기 구형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송전선에 체결되는 제2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제2 체결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형 몸체를 상기 송전선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반구체는 원형의 결합 부위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반구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는 각각 원형의 결합 부위에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체의 결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KR2020100011918U 2010-11-19 2010-11-19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KR200458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18U KR200458271Y1 (ko) 2010-11-19 2010-11-19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18U KR200458271Y1 (ko) 2010-11-19 2010-11-19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271Y1 true KR200458271Y1 (ko) 2012-02-24

Family

ID=4593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18U KR200458271Y1 (ko) 2010-11-19 2010-11-19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4977A (zh) * 2013-11-17 2014-03-05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力线路高度警示装置
CN105185275A (zh) * 2015-10-22 2015-12-23 刘良成 一种架空线缆警航器及其安装方法
AT519274A1 (de) * 2016-11-04 2018-05-15 Oskar Ing Liebhart Warnkug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178U (ko) * 1989-04-03 1990-11-08 신성전기 주식회사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0262308Y1 (ko) 2001-10-26 2002-03-18 기금호 선로용 항공장애표지장치
KR200308150Y1 (ko) 2002-12-28 2003-03-19 서윤석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0413843Y1 (ko) 2006-01-24 2006-04-11 하나코비 주식회사 휴대용 김밥 보관 전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178U (ko) * 1989-04-03 1990-11-08 신성전기 주식회사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0262308Y1 (ko) 2001-10-26 2002-03-18 기금호 선로용 항공장애표지장치
KR200308150Y1 (ko) 2002-12-28 2003-03-19 서윤석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0413843Y1 (ko) 2006-01-24 2006-04-11 하나코비 주식회사 휴대용 김밥 보관 전용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4977A (zh) * 2013-11-17 2014-03-05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力线路高度警示装置
CN103614977B (zh) * 2013-11-17 2016-06-08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力线路高度警示装置
CN105185275A (zh) * 2015-10-22 2015-12-23 刘良成 一种架空线缆警航器及其安装方法
AT519274A1 (de) * 2016-11-04 2018-05-15 Oskar Ing Liebhart Warnkugel
AT519274B1 (de) * 2016-11-04 2018-07-15 Oskar Ing Liebhart Warnkug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668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스페이서 댐퍼
US20180086441A1 (en) Aerial vehicle and a signal line protection assembly thereof
KR101598350B1 (ko) 수배전반 어셈블리
KR200458271Y1 (ko)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US10919646B2 (en) Unmanned vehicle
US9350067B2 (en) Antenna for satellite communication
KR20170034237A (ko) 로터 보호기능을 갖는 드론
KR101793718B1 (ko) 설치가 용이한 송배전용 피뢰침 고정 프레임
CN105416576A (zh) 无人机多级缓冲起落架
CN106678239B (zh) 一种橡胶与金属丝网组合的复合结构隔振器
CN101767654A (zh) 无人机飞行控制系统设备箱
CA2989385C (en) Light passive attenuator for spacecraft
KR20030040507A (ko) 진동 아이솔레이터를 위한 레이디얼 스너버
CN103448649A (zh) 弹性安全防护栏
KR200467869Y1 (ko) 전동식 모형 비행기
CN214729761U (zh) 一种无人机强制降落减震机构
US20160362189A1 (en) Aircraft with an auxiliary power unit attached to the aircraft fuselage by means of an attachment system
CN205273840U (zh) 减震机构
CN205554613U (zh) 一种发动机与机身的减震连接机构
CN204119703U (zh) 一种机载卫星通信设备减震机架
CN205452393U (zh) 一种电池箱及使用其的汽车
CN103363463A (zh) 用于灯具的减震装置
RU128866U1 (ru)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KR200452179Y1 (ko)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CN101749363B (zh) 一种带除尘功能的全方向防淋水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